용자리 초은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자리 초은하단은 은하단들의 집합체이다. 이 초은하단은 초기 목록과 확장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벨 1302, 아벨 1366, 아벨 1446, 아벨 1559, 아벨 1621, 아벨 1566, 아벨 1646, 아벨 1674 등의 주요 은하단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에 위치한 거대한 초은하단인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국부 은하군을 포함하며 2억 광년의 직경에 달하고, 약 100개의 은하군과 은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처녀자리 은하단이 자리 잡고 있고, 평탄한 원반과 구형 헤일로로 구성되어 높은 질량 대 광도비로 암흑 물질의 존재를 시사한다. - 초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센타우루스자리에 위치한 섀플리 초은하단은 1930년대 할로 섀플리가 발견하고 1989년 소마크 라체우드후리가 재발견하여 섀플리의 업적을 기려 명명되었으며, 국부 은하군을 포함한 주변 은하들의 특이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력체로 우주 거대 구조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자리 초은하단 | |
---|---|
개요 | |
![]() | |
별자리 | 용자리 |
적경 | 12h 10m 04.4s |
적위 | +64° 01′ 19″ |
거리 | 20억 광년 |
질량 | 약 1017 M☉ |
다른 이름 | SCl 114 |
2. 목록의 구성
2. 1. 초기 목록 (1958)
2. 2. 확장 목록 (1989)
3. 주요 은하단
3. 1. 아벨 1302

아벨 1302는 은하단이다.
3. 2. 아벨 1366

아벨 1366은 은하단이다.
3. 3. 아벨 1446

아벨 1446은 은하단이다.
3. 4. 아벨 1559

3. 5. 아벨 1621

아벨 1621은 은하단이다.
3. 6. 아벨 1566

아벨 1566은 은하단이다.
3. 7. 아벨 1646

아벨 1646은 용자리 초은하단에 위치한 은하단이다.
3. 8. 아벨 1674

아벨 1674는 은하단이다.
4. 갤러리
5. 한국 천문학에의 기여
참조
[1]
논문
The supercluster–void network – I. The supercluster catalogue and large-scale distribution
https://aas.aanda.or[...]
1997-05-01
[2]
서적
Clustering at High Redshift: Proceedings of a Conference Held at Marseille, France, 29 June – 2 July 1999
https://books.googl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0
[3]
서적
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vt. Ltd.
2010
[4]
웹사이트
Notes on very rich superclusters
https://aas.aanda.or[...]
[5]
웹사이트
NAME DRACO SUPERCLUSTER
http://simbad.u-st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