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간다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간다의 행정 구역은 독립 이후 여러 차례 개편되어 2024년 현재 134개의 구(district)와 1개의 수도 특별구로 구성되어 있다. 1962년 독립 당시에는 4개의 주로 시작하여, 중앙 정부의 지방 정부 권한 강화 및 행정 효율성 증대를 위해 구의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이러한 구의 세분화는 지방 자치와 지역 개발에 기여했지만, 재정적 부담 증가와 자원 배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있다. 우간다는 4개의 주요 지역(중앙, 동부, 북부, 서부)으로 구분되며, 식민지 시대에는 14개의 역사적 지역으로 나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구 - 마나프와구
    마나프와구는 우간다 동부에 위치한 구로, 2005년에 신설되었으며 2006년 부두다구가 분리되었고, 면적은 약 602.1 km2이며 1991년 약 178,500명에서 2012년 약 367,500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 우간다의 구 - 모로토구
    모로토구는 우간다 북동부 카라모자 하위 지역에 위치하며 케냐와 인접하고 낮은 강수량과 산악 지형, 카리모종족 거주, 다양한 광물 자원 매장, 2023년 기준 82,158명의 인구를 특징으로 한다.
우간다의 행정 구역
개요
우간다의 현
우간다의 현
수도캄팔라
ISO 3166-2UG
행정 구역
구분
총 현 수136개 (2020년 7월 기준, 1개의 시 포함)
하위 행정 구역군, 기초자치단체
역사
과거 현 수10개 (1962년)
현 분할인구 증가 및 정치적 이유로 지속적인 현 분할
인구 통계 (2014년)
전체 인구34,634,650명
인구 밀도173명/km²
지역별 현황
중부 지역부기사 현
부코만심비 현
부탐발라 현
부붐바 현
부셴이 현
갼지 현
골라 현
칼랑갈라 현
칼룽구 현
캄팔라 현
카숭굴루 현
키보가 현
키욤베 현
루웨로 현
르웽고 현
리안톤데 현
마사카 현
미티아나 현
음피기 현
무코노 현
나카세케 현
나카송골라 현
남비올레 현
은시카 현
와키소 현
동부 지역아무리아 현
부달리 현
부기리 현
부케아 현
부코에아 현
불람불리 현
부세니 현
부시아 현
부타레자 현
이강가 현
진자 현
카베라마이도 현
칼리로 현
카플리코 현
카탁위 현
키부쿠 현
쿠미 현
콰냐 현
루카 현
마나프와 현
마유게 현
음발레 현
은암볼레 현
응고라 현
세레이 현
시론코 현
소로티 현
토로로 현
북부 지역아비무 현
아주마니 현
알레브통그 현
아무루 현
아파크 현
아루아 현
파데르 현
구루 현
카봉 현
키트굼 현
코보코 현
콜레 현
코티도 현
라무워 현
란고 현
리라 현
마루샤 현
모요 현
나카피리피리트 현
나팍 현
네비 현
누아케 현
오얌 현
파글루 현
움바우루 현
유무베 현
지움 현
서부 지역부훙구 현
불리사 현
반디부교 현
이싱기로 현
카바롤레 현
카바르웨 현
카세세 현
키발레 현
키엔조조 현
키루후라 현
키송고 현
퀴엔 현
마신디 현
음바라라 현
미토마 현
은토롱고 현
느웅가모 현
루비리지 현
루쿤기리 현
룬디리 현
셰마 현

2. 역사

우간다의 행정 구역은 독립 이후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196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당시에는 4개의 주로 구성되었지만, 중앙 정부는 지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행정 구역을 세분화했다.

1960년대 후반 밀턴 오보테 정부 시기에는 중앙 집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의 주가 폐지되고 18개의 구(district)로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방 정부의 자율성은 크게 축소되었고, 중앙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이디 아민 정권 하에서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으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그 효과는 미미했다.

1986년 요웨리 무세베니가 집권한 이후, 우간다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 행정 구역 개편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구의 수가 급증하여, 2024년 현재 134개의 구와 1개의 수도 특별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행정 구역의 세분화는 지방 자치, 지역 개발, 그리고 정부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구의 증가는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자원 배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2015년 이후 신설된 구역은 다음과 같다.

시행일신설 구역모(母) 구역
2015년 7월 1일칼랑갈라 구칼랑갈라 구
2015년 7월 1일카콩고 구루웬구 구
2015년 7월 1일마누파 구나카세케 구
2015년 7월 1일부세니 구키리두 구
2015년 7월 1일루카야 구마사카 구
2015년 7월 1일무벤데 구무벤데 구
2015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15년 7월 1일라카이 구라카이 구
2015년 7월 1일은토로코 구카바롤레 구
2016년 7월 1일고롬베 구고롬베 구
2016년 7월 1일모로토 구모로토 구
2017년 7월 1일카베라 마이도 구부시아 구
2017년 7월 1일오투케 구오투케 구
2017년 7월 1일키템부 구키템부 구
2017년 7월 1일팔리사 구팔리사 구
2018년 7월 1일부지베 구무코노 구
2018년 7월 1일카욤바 구카욤바 구
2018년 7월 1일말레레 구말레레 구
2018년 7월 1일낙피리피리트 구낙피리피리트 구
2019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19년 7월 1일가자 구가자 구
2019년 7월 1일킬리마 구킬리마 구
2019년 7월 1일카뭉구 구카뭉구 구
2020년 7월 1일아무다트 구코티도 구
2020년 7월 1일키안조구 구카바롤레 구
2020년 7월 1일음피지 구음피지 구
2020년 7월 1일루베로 구루베로 구
2020년 7월 1일카사안다 구카사안다 구
2020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20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21년 7월 1일콜로 구아모라타 구
2021년 7월 1일라파르 구라파르 구
2021년 7월 1일키보고 구키보고 구
2021년 7월 1일루카이 구루카이 구
2021년 7월 1일뭄벤데 구뭄벤데 구
2021년 7월 1일부텡게사 구부텡게사 구
2021년 7월 1일루웬조리 구부웨텐바 구
2021년 7월 1일오쿤구 구오쿤구 구
2021년 7월 1일아레아 구아레아 구
2021년 7월 1일부제구 구부제구 구
2021년 7월 1일카쿠뭄바 구카쿠뭄바 구
2021년 7월 1일키자지 구키자지 구
2021년 7월 1일키로 구키로 구
2021년 7월 1일코토도 구코토도 구
2021년 7월 1일냠피라 구냠피라 구
2021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22년 7월 1일카타콰 구카타콰 구
2022년 7월 1일무테타 구무테타 구
2022년 7월 1일카타위 구카타위 구
2022년 7월 1일부다카 구부다카 구
2022년 7월 1일부투키 구부투키 구
2022년 7월 1일부투투 구부투투 구
2022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22년 7월 1일코볼로 구코볼로 구
2022년 7월 1일키반디 구키반디 구
2022년 7월 1일키사 구키사 구
2022년 7월 1일루카카 구루카카 구
2022년 7월 1일마라차 구마라차 구
2022년 7월 1일네비 구네비 구
2022년 7월 1일라파르 구라파르 구
2022년 7월 1일테소 구테소 구
2022년 7월 1일토로로 구토로로 구
2023년 7월 1일아쿨린 구아쿨린 구
2023년 7월 1일아모르 구아모르 구
2023년 7월 1일부라시아 구부라시아 구
2023년 7월 1일부시니 구부시니 구
2023년 7월 1일이방가 구이방가 구
2023년 7월 1일카레라 구카레라 구
2023년 7월 1일키라 구키라 구
2023년 7월 1일노코 구노코 구
2023년 7월 1일팔리아 구팔리아 구
2023년 7월 1일루베고 구루베고 구
2023년 7월 1일테테 구테테 구


2. 1. 식민지 시대

영국은 1894년에 우간다를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1900년에는 부간다 왕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자치권을 부여했다. 식민 행정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체제로 구성되었다. 중앙 정부는 총독이 통치했고, 지방 정부는 부간다 왕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전통적인 지도자들을 간접 통치 방식으로 활용했다. 1900년 조약 이후 부간다는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지만, 다른 지역은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다. 식민지 시대 동안,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고, 그 목적은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자원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었다. 1902년에는 동아프리카 보호령에서 우간다 보호령으로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고, 1900년대 초반에는 여러 개의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역은 민족, 부족,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되었으며, 식민지배자들은 지역 간의 분열을 조장하여 통치를 더욱 공고히 하려고 했다. 식민지 시대의 행정 구역은 오늘날 우간다 행정 구역의 기틀을 마련했지만, 그 경계는 종종 임의적이었고,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text

영국은 1894년 우간다를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1900년에는 부간다 왕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자치권을 부여했다. 식민 행정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체제로 구성되었다. 중앙 정부는 총독이 통치했고, 지방 정부는 부간다 왕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전통적인 지도자들을 간접 통치 방식으로 활용했다. 1900년 조약 이후 부간다는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지만, 다른 지역은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다. 식민지 시대 동안,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고, 그 목적은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자원 수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었다. 1902년에는 동아프리카 보호령에서 우간다 보호령으로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고, 1900년대 초반에는 여러 개의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역은 민족, 부족,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되었으며, 식민지배자들은 지역 간의 분열을 조장하여 통치를 더욱 공고히 하려고 했다. 식민지 시대의 행정 구역은 오늘날 우간다 행정 구역의 기틀을 마련했지만, 그 경계는 종종 임의적이었고,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2. 2. 독립 이후

1962년 우간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독립 당시 우간다는 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중앙 정부는 지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행정 구역을 세분화했다.

1960년대 후반, 밀턴 오보테 정부 시기에는 강력한 중앙 집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의 주(province)가 폐지되고, 18개의 구(district)로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방 정부의 자율성은 크게 축소되었고, 중앙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이디 아민 정권 하에서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으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그 효과는 미미했다.

1986년 요웨리 무세베니가 집권한 이후, 우간다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 행정 구역 개편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구의 수가 급증하여, 2024년 현재 134개의 구와 1개의 수도 특별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행정 구역의 세분화는 지방 자치, 지역 개발, 그리고 정부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구의 증가는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자원 배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2. 3. 2015년 이후 신설된 구역

시행일신설 구역모(母) 구역
2015년 7월 1일칼랑갈라 구칼랑갈라 구
2015년 7월 1일카콩고 구루웬구 구
2015년 7월 1일마누파 구나카세케 구
2015년 7월 1일부세니 구키리두 구
2015년 7월 1일루카야 구마사카 구
2015년 7월 1일무벤데 구무벤데 구
2015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15년 7월 1일라카이 구라카이 구
2015년 7월 1일은토로코 구카바롤레 구
2016년 7월 1일고롬베 구고롬베 구
2016년 7월 1일모로토 구모로토 구
2017년 7월 1일카베라 마이도 구부시아 구
2017년 7월 1일오투케 구오투케 구
2017년 7월 1일키템부 구키템부 구
2017년 7월 1일팔리사 구팔리사 구
2018년 7월 1일부지베 구무코노 구
2018년 7월 1일카욤바 구카욤바 구
2018년 7월 1일말레레 구말레레 구
2018년 7월 1일낙피리피리트 구낙피리피리트 구
2019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19년 7월 1일가자 구가자 구
2019년 7월 1일킬리마 구킬리마 구
2019년 7월 1일카뭉구 구카뭉구 구
2020년 7월 1일아무다트 구코티도 구
2020년 7월 1일키안조구 구카바롤레 구
2020년 7월 1일음피지 구음피지 구
2020년 7월 1일루베로 구루베로 구
2020년 7월 1일카사안다 구카사안다 구
2020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20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21년 7월 1일콜로 구아모라타 구
2021년 7월 1일라파르 구라파르 구
2021년 7월 1일키보고 구키보고 구
2021년 7월 1일루카이 구루카이 구
2021년 7월 1일뭄벤데 구뭄벤데 구
2021년 7월 1일부텡게사 구부텡게사 구
2021년 7월 1일루웬조리 구부웨텐바 구
2021년 7월 1일오쿤구 구오쿤구 구
2021년 7월 1일아레아 구아레아 구
2021년 7월 1일부제구 구부제구 구
2021년 7월 1일카쿠뭄바 구카쿠뭄바 구
2021년 7월 1일키자지 구키자지 구
2021년 7월 1일키로 구키로 구
2021년 7월 1일코토도 구코토도 구
2021년 7월 1일냠피라 구냠피라 구
2021년 7월 1일나카피리피리트 구나카피리피리트 구
2022년 7월 1일카타콰 구카타콰 구
2022년 7월 1일무테타 구무테타 구
2022년 7월 1일카타위 구카타위 구
2022년 7월 1일부다카 구부다카 구
2022년 7월 1일부투키 구부투키 구
2022년 7월 1일부투투 구부투투 구
2022년 7월 1일구루 구구루 구
2022년 7월 1일코볼로 구코볼로 구
2022년 7월 1일키반디 구키반디 구
2022년 7월 1일키사 구키사 구
2022년 7월 1일루카카 구루카카 구
2022년 7월 1일마라차 구마라차 구
2022년 7월 1일네비 구네비 구
2022년 7월 1일라파르 구라파르 구
2022년 7월 1일테소 구테소 구
2022년 7월 1일토로로 구토로로 구
2023년 7월 1일아쿨린 구아쿨린 구
2023년 7월 1일아모르 구아모르 구
2023년 7월 1일부라시아 구부라시아 구
2023년 7월 1일부시니 구부시니 구
2023년 7월 1일이방가 구이방가 구
2023년 7월 1일카레라 구카레라 구
2023년 7월 1일키라 구키라 구
2023년 7월 1일노코 구노코 구
2023년 7월 1일팔리아 구팔리아 구
2023년 7월 1일루베고 구루베고 구
2023년 7월 1일테테 구테테 구


3. 행정 구역 목록

우간다는 여러 개의 현(distric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현은 다시 여러 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 부두다 현
  • 부세니 현
  • 부탈레자 현
  • 이나미 현
  • 카베라마이도 현
  • 칼리랑가 현
  • 카무리 현
  • 카프초르와 현
  • 키베레 현
  • 코티도 현
  • 쿠미 현
  • 쿠엔 현
  • 마나프와 현
  • 마유게 현
  • 므발레 현
  • 나카피리피리트 현
  • 남굴루 현
  • 응고라 현
  • 팔리사 현
  • 세레레 현
  • 시론코 현
  • 소로티 현
  • 토로로 현


북부 지역은 2002년 현재 2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비마 현
  • 아주마니 현
  • 아모라타르 현
  • 아무루 현
  • 아파크 현
  • 도콜로 현
  • 구루 현
  • 키트굼 현
  • 코티도 현
  • 리라 현
  • 마라차 현
  • 모요 현
  • 네비 현
  • 오얌 현
  • 팔리사 현
  • 파데레 현
  • 피안 현
  • 포트포탈 현
  • 푼야 현
  • 카봉 현
  • 유움베 현


서부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현이 속해 있다.

  • 부셰니 현 (Bushenyi District)
  • 호이마 현 (Hoima District)
  • 호이마 현 (Hoima District)
  • 이스잉기롤라 현 (Isingiro District)
  • 카바레 현 (Kabale District)
  • 카본고 현 (Kabong District)
  • 카가디 현 (Kagadi District)
  • 카쿰로 현 (Kakumiro District)
  • 캄웬게 현 (Kamwenge District)
  • 칸군구 현 (Kankunqu District)
  • 카세세 현 (Kasese District)
  • 키발레 현 (Kibale District)
  • 키라쿤구 현 (Kiryandongo District)
  • 키소로 현 (Kisoro District)
  • 키조지 현 (Kitagwenda District)
  • 키에조조 현 (Kyegegwa District)
  • 키에욤바 현 (Kyenjojo District)
  • 미토마 현 (Mitooma District)
  • 음바라라 현 (Mbarara District)
  • 모로토 현 (Moroto District)
  • 은퉁가모 현 (Ntungamo District)
  • 루비리지 현 (Rubirizi District)
  • 루쿤기리 현 (Rukungiri District)

3. 1. 중앙 지역

중앙 지역은 우간다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현(district)과 도시(city)를 포함한다.

  • 캄팔라 현
  • 카융가 현
  • 키암밤바 현
  • 루웨로 현
  • 마사카 현
  • 미티아나 현
  • 무코노 현
  • 나카세케 현
  • 나카손골라 현
  • 라카이 현
  • 셈바불레 현
  • 와키소 현
  • 루카야 현
  • 고움바 현
  • 부테레 현
  • 카사다 현

3. 2. 동부 지역

동부 지역은 우간다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현(district)들로 구성되어 있다.

  • 부두다 현
  • 부세니 현
  • 부탈레자 현
  • 이나미 현
  • 카베라마이도 현
  • 칼리랑가 현
  • 카무리 현
  • 카프초르와 현
  • 키베레 현
  • 코티도 현
  • 쿠미 현
  • 쿠엔 현
  • 마나프와 현
  • 마유게 현
  • 므발레 현
  • 나카피리피리트 현
  • 남굴루 현
  • 응고라 현
  • 팔리사 현
  • 세레레 현
  • 시론코 현
  • 소로티 현
  • 토로로 현

3. 3. 북부 지역

북부 지역은 2002년 현재 2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비마 현
  • 아주마니 현
  • 아모라타르 현
  • 아무루 현
  • 아파크 현
  • 도콜로 현
  • 구루 현
  • 키트굼 현
  • 코티도 현
  • 리라 현
  • 마라차 현
  • 모요 현
  • 네비 현
  • 오얌 현
  • 팔리사 현
  • 파데레 현
  • 피안 현
  • 포트포탈 현
  • 푼야 현
  • 카봉 현
  • 유움베 현

3. 4. 서부 지역

서부 지역은 우간다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현(district)들이 속해 있다.

  • 부셰니 현 (Bushenyi District)
  • 호이마 현 (Hoima District)
  • 호이마 현 (Hoima District)
  • 이스잉기롤라 현 (Isingiro District)
  • 카바레 현 (Kabale District)
  • 카본고 현 (Kabong District)
  • 카가디 현 (Kagadi District)
  • 카쿰로 현 (Kakumiro District)
  • 캄웬게 현 (Kamwenge District)
  • 칸군구 현 (Kankunqu District)
  • 카세세 현 (Kasese District)
  • 키발레 현 (Kibale District)
  • 키라쿤구 현 (Kiryandongo District)
  • 키소로 현 (Kisoro District)
  • 키조지 현 (Kitagwenda District)
  • 키에조조 현 (Kyegegwa District)
  • 키에욤바 현 (Kyenjojo District)
  • 미토마 현 (Mitooma District)
  • 음바라라 현 (Mbarara District)
  • 모로토 현 (Moroto District)
  • 은퉁가모 현 (Ntungamo District)
  • 루비리지 현 (Rubirizi District)
  • 루쿤기리 현 (Rukungiri District)

4. 현별 통계

우간다의 현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2014년 인구 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면적과 인구 밀도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현(District)면적 (km²)인구 (2014)인구 밀도 (/km²)
아루아 현3,028782,566258
가욤베 현786168,113214
곰바 현1,043137,521132
구루 현2,567329,447128
캄팔라 현1891,507,0807,974
카세세 현1,704702,029412
키소로 현387281,773728
코티도 현3,830268,31370
킬리마니 현1,16490,55178
킬리마니로 현2,756154,96756
캄팔라 현1891,507,0807,974
아무리아 현1,685205,727122
부덴고 현2,845243,47086
부스텐디 현1,284313,190244
아이루 현2,532397,710157
무코노 현1,465457,600312
마사카 현1,058338,602320
음바라라 현3,558436,203123
호이마 현3,049343,856113
리라 현1,095404,900370
소로티 현2,774295,075106
토로로 현1,664396,836238


4. 1. 지역별 현황

중앙 지역은 우간다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수도 캄팔라를 포함하고 있으며, 우간다에서 가장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다. 중앙 지역은 24,887.3 킬로미터2의 면적을 차지하며, 2014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9,075,218명이 거주한다. 중앙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현이 위치해 있다.

  • 캄팔라 현
  • 칼랑갈라 현
  • 칼루마 현
  • 캄팔라 현
  • 키암반고 현
  • 키바알레 현
  • 루웨로 현
  • 마사카 현
  • 미티아나 현
  • 무벤데 현
  • 무코노 현
  • 낙사케 현
  • 라카이 현
  • 셈바부레 현
  • 와키소 현


=== 동부 지역 ===

동부 지역은 36,205.6 킬로미터2의 면적을 차지하며, 2014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4,116,262명이 거주한다. 동부 지역은 다음과 같은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부두다 현
  • 부세니 현
  • 부시라 현
  • 부탈레자 현
  • 가유자 현
  • 이고룸비 현
  • 진자 현
  • 카베라마이도 현
  • 칼리랑가 현
  • 캄uli 현
  • 키바알레 현
  • 키비쿠 현
  • 코티도 현
  • 쿠미 현
  • 쿠옌구 현
  • 마유게 현
  • 마나프와 현
  • 남발레 현
  • 팔리사 현
  • 세레레 현
  • 시론코 현
  • 소로티 현
  • 토로로 현


=== 북부 지역 ===

북부 지역은 85,391.7 킬로미터2의 면적을 차지하며, 2014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3,171,413명이 거주한다. 북부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현이 위치해 있다.

  • 아비마 현
  • 아모다 현
  • 아루아 현
  • 아파크 현
  • 아자움보 현
  • 아자움바 현
  • 도콜로 현
  • 검보 현
  • 구루 현
  • 키트굼 현
  • 코붐 현
  • 코레오 현
  • 리라 현
  • 마라샤 현
  • 모로토 현
  • 모요 현
  • 네비 현
  • 노르 현
  • 오밤비 현
  • 파데어 현
  • 파쿰 현
  • 피데로 현
  • 피어 현
  • 포티포르탈 현
  • 예이 현


=== 서부 지역 ===

서부 지역은 55,276.6 킬로미터2의 면적을 차지하며, 2014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6,298,075명이 거주한다. 서부 지역은 다음과 같은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부셰니 현
  • 부이겐지 현
  • 카본고 현
  • 카세세 현
  • 키발레 현
  • 키리마 현
  • 키소가 현
  • 코본고 현
  • 미토마 현
  • 음바라라 현
  • 은토로코 현
  • 은툰가모 현
  • 루비리지 현
  • 루콸라 현
  • 시임 현
  • 카냐라 현
  • 이반다 현
  • 지엔지 현
  • 케일레 현
  • 키제게 현
  • 카룬구라 현

5. 지역 구분

우간다는 4개의 주요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들은 중앙, 동부, 북부, 서부 지역으로 구분된다. 과거 우간다는 14개의 역사적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식민지 시대에 형성되었다.


  • 부가다는 우간다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으며, 현재의 중부 지역에 해당한다.
  • 부소가는 현재의 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여러 소규모 부족들로 구성된 지역이었다.
  • 치가는 남서부 지역으로,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지역이었다.
  • 엘곤은 동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다양한 부족들이 거주했다.
  • 이토로는 서부 지역에 위치하며, 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했다.
  • 카라모자는 북동부 지역으로, 반 건조 기후와 유목 문화가 특징이다.
  • 키게지는 남서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농업과 관광이 중요한 지역이다.
  • 키오가는 중부와 북부 지역에 걸쳐 있으며, 키오가 호수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 란고는 북부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분조로로는 서부 지역에 위치하며, 전통적인 왕국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다.
  • 토로는 서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비옥한 토지를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 티소는 동부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한다.
  • 우간다는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우간다라는 국가명의 기원이 되었다.
  • 웨스트 닐은 북서부 지역으로, 나일강을 따라 형성된 지역이다.

5. 1. 4개 지역

우간다는 4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 중앙 지역(Central Region): 우간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캄팔라를 포함하며, 무코노, 와키소 등의 행정 구역이 위치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면적은 28,539 ㎢이며, 인구는 10,718,732명, 인구 밀도는 375/㎢이다.

  • 동부 지역(Eastern Region): 진자, 토로로, 소로티 등의 도시를 포함한다. 면적은 39,478 ㎢이며, 인구는 9,042,219명, 인구 밀도는 229/㎢이다.

  • 북부 지역(Northern Region): 구루, 리라, 고ulu 등의 도시를 포함하며, 면적은 85,391 ㎢, 인구는 7,230,676명, 인구 밀도는 85/㎢이다.

  • 서부 지역(Western Region): 무벤데, 호이마, 포트포탈 등의 도시가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85,391 ㎢, 인구는 9,581,839명, 인구 밀도는 112/㎢이다.

5. 2. 역사적 지역

우간다는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14개의 역사적 지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들은 다음과 같다:

  • 부가다: 우간다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으며, 현재의 중부 지역에 해당한다.
  • 부소가: 현재의 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여러 소규모 부족들로 구성된 지역이었다.
  • 치가: 남서부 지역으로,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지역이었다.
  • 엘곤: 동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다양한 부족들이 거주했다.
  • 이토로: 서부 지역에 위치하며, 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했다.
  • 카라모자: 북동부 지역으로, 반 건조 기후와 유목 문화가 특징이다.
  • 키게지: 남서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농업과 관광이 중요한 지역이다.
  • 키오가: 중부와 북부 지역에 걸쳐 있으며, 키오가 호수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 란고: 북부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분조로로: 서부 지역에 위치하며, 전통적인 왕국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다.
  • 토로: 서부 지역의 산악 지대로, 비옥한 토지를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 티소: 동부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한다.
  • 우간다: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우간다라는 국가명의 기원이 되었다.
  • 웨스트 닐: 북서부 지역으로, 나일강을 따라 형성된 지역이다.

6. 행정 구역 변천사

우간다는 1894년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으며, 당시에는 여러 왕국과 부족 사회가 존재했다. 1900년에는 부간다 왕국과의 조약을 통해 영국의 간접 통치가 시작되었고, 이후 다른 지역들도 순차적으로 영국의 지배 아래 놓였다.

1902년에는 동아프리카 보호령(British East Africa Protectorate)에서 우간다 보호령으로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고, 1926년에는 루키디, 부쇼, 라부콘의 3개 군이 추가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1962년 독립 당시에는 18개의 주로 구성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행정 구역은 계속 변화했다. 1970년대에는 국가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행정 구역의 경계가 변경되었고, 1980년대에는 33개 구(district)로 재편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지방 분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구가 점차 늘어나 2000년대 초반에는 56개 구가 되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도 구는 계속 분할되어 2020년에는 134개 구로 증가했다. 이는 지방 정부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행정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였다. 현재도 우간다 정부는 행정 구역 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894년 우간다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여러 왕국과 부족 사회가 존재했다. 1900년에는 부간다 왕국과의 조약을 통해 영국의 간접 통치가 시작되었고, 이후 다른 지역들도 순차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02년에는 동아프리카 보호령에서 우간다 보호령으로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고, 1926년에는 루키디, 부쇼, 라부콘의 3개 군이 추가되었다. 1962년 우간다의 독립 당시에는 18개의 주로 구성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행정 구역은 계속 변화했다. 1970년대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행정 구역의 경계가 변경되었고, 1980년대에는 33개 구(district)로 재편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지방 분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구가 점차 늘어나 2000년대 초반에는 56개 구가 되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도 구는 계속 분할되어 2020년에는 134개 구로 증가했다. 이는 지방 정부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행정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였다. 현재도 우간다 정부는 행정 구역 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6. 1. 시대별 현황

연도현의 수비고
1900년8개
1926년13개
1962년16개
1974년34개
1980년33개
1989년38개
1993년39개
1998년45개
2000년56개
2005년80개
2010년112개
2015년116개
2020년134개



참조

[1] 웹사이트 UG – Uganda https://www.iso.org/[...] ISO 2017-11-23
[2] 웹사이트 Ministry of Local Government Fact Sheet http://molg.go.ug/si[...] Ministry of Local Government (Uganda) 2017-07-01
[3] 뉴스 Can Uganda's economy support more districts? http://www.newvision[...] 2005-08-07
[4] 웹사이트 Uganda Districts http://www.statoids.[...] statoids.com
[5] 웹사이트 Central Region - Parish Level Profiles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019-04-05
[6] 웹사이트 Revised Subcounty Population Projections 2015 to 2030 For 146 Districts https://www.ubos.org[...] 2022-06-02
[7] 웹사이트 Eastern Region - Parish Level Profiles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019-04-05
[8] 웹사이트 Northern Region - Parish Level Profiles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019-04-05
[9] 웹사이트 Western Region - Parish Level Profiles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019-04-05
[10] 뉴스 Parliament Approves 23 New Districts https://ugandaradion[...] Uganda Radio Network 2015-09-04
[11] 뉴스 Parliament approves creation of Terego district https://www.independ[...] 2020-05-06
[12] 웹사이트 Districts in Uganda https://molg.go.ug/c[...] ウガンダ地方自治省
[13] 웹사이트 Number of districts hits 136-mark as Parliament approves creation of Terego District https://www.pmldaily[...] PML Daily 2020-05-05
[14] 문서 常に「4地方」に分けられる訳ではない。cf.''[http://www.aidsuganda.org/texbits/ATLAS%20Format%20-%20081205.pdf Uganda AIDS Commission National HIV/AIDS ATLAS]'', Dec 2005.
[15] 간행물 セメイ・L・カクングル : そのガンダ王国時代 http://hermes-ir.lib[...] 日本評論社 1975-04-01
[16] 문서 斎藤文彦「地方行政と開発」/ 吉田昌夫・白石壮一郎編著『ウガンダを知るための53章』 明石書店 2012年 95ページ
[17] 웹사이트 Museveni halts creation of new districts https://www.pmldaily[...] PML Daily 2018-11-09
[18] 웹사이트 No money for elections in new districts, says govt https://www.pmldaily[...] PML Daily 2019-03-27
[19] 웹사이트 Can Uganda afford new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units? https://eprcug.org/b[...] Economic Policy Research Centre 2020-01-17
[20] 웹사이트 Parliament Creates 23 New Districts https://www.redpeppe[...] Red Pepper (newspaper) 2015-09-06
[21] 웹사이트 Many districts are costly, do we get it? https://www.monitor.[...] Daily Monitor 2021-04-06
[22] 웹사이트 Councilors Approve Split of Rukiga County https://ugandaradion[...] Uganda Radio Network 2021-05-07
[23] 웹사이트 Nakasongola defies govt, votes to create new sub-county https://www.monitor.[...] Daily Monitor 2021-05-15
[24] 웹사이트 ウガンダ共和国概況 https://www.ug.emb-j[...] 在ウガンダ日本国大使館 2017-11
[25] 웹사이트 ウガ広報07 https://www.pref.aki[...] 2016-02-14
[26] 웹사이트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4 https://www.ubos.org[...]
[27] 웹사이트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UGANDA http://www.clgf.org.[...] 英連邦地方自治体フォーラム
[28] 웹사이트 MINISTRY OF LOCAL GOVERNMENT FACT SHEET 2019 https://molg.go.ug/s[...] 地方自治省
[29] 웹사이트 Ugand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0-06-12
[30] 웹사이트 Uganda/Administrative units http://www.geohive.c[...] GeoHive.com
[31] 웹사이트 Evolution of Uganda’s districts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g 2009-06-30
[32] 웹사이트 Parliament approves creation of Terego district https://www.parliame[...] ウガンダ議会 2020-05-05
[33] 웹사이트 Status of Local Governments http://molg.go.ug/20[...] Ministry of Local Government 201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