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타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웃타마는 10세기 촐라 제국의 통치자였다. 그는 간다라디티야 촐라의 아들이었지만, 어린 나이로 인해 왕위 계승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아린자야와 순다라 촐라가 차례로 왕위에 올랐다. 웃타마는 아디타 2세의 암살과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지만, 종교적이고 훌륭한 인물로 묘사되며 어머니 셈비얀 마데비의 사원 재건을 지원했다. 웃타마는 985년경 사망했으며, 라자라자 1세가 그의 뒤를 이어 촐라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5년 사망 - 토르니키오스
토르니케는 바그라티드 왕조의 조지아 귀족 출신으로, 에리스타비 직책과 파트리키오스 칭호를 받았으며, 다비트 3세를 도와 바르다스 스클레로스의 반란 진압에 참여했고, 아토스 산에 이비론 수도원 설립에 기여했다. - 931년 출생 - 유승우 (후한)
유승우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가 곽위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931년 출생 - 보리스 2세
보리스 2세는 불가리아의 차르로,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둔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가계는 크룸 왕조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10세기 인도의 군주 - 브라마 팔라
브라마 팔라는 고대 인도, 특히 카마루파 지역의 역사, 문화, 사회, 정치적 연계 연구에 참고되는 서적이다. - 10세기 인도의 군주 - 고 팔라
고 팔라는 고대 인도 아쌈 지역의 역사 및 문화 연구와 관련된 문헌과 학자들을 지칭하며, 다양한 서적과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그 내용이 연구되고 있다.
웃타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웃타마 촐란 |
원래 이름 | 아디타 (ta) |
![]() | |
통치 | |
목록 | 촐라의 군주 |
재위 | 973년 ~ 985년 |
전임자 | 파란타카 2세 |
후임자 | 라자라자 1세 |
공동 섭정 | 파란타카 2세 |
공동 섭정 기간 | 971년 ~ 980년 |
전임 공동 섭정 | 아디티야 2세 |
생애 | |
출생일 | 931년 |
출생지 | 촐라 제국 칼라하스티 |
사망일 | 985년 (54세) |
사망지 | 촐라 제국 탄자부르 |
가족 | |
왕조 | 촐라 |
아버지 | 간다라디티야 |
어머니 | 셈비얀 마데비야르 |
배우자 | 소라바야르 트리부바나 마하데비, 카두베티갈 난디포타이라이야르, 시다바다반 수티야르 |
자녀 | 마두란타카, 간다라디타르 |
종교 | |
종교 | 힌두교 |
2. 논란이 된 즉위 과정
웃타마가 촐라 왕위에 오른 경위는 논란과 미스터리로 가득하다. 간다라디티야가 사망했을 당시 웃타마는 매우 어려서 왕위 계승 권리가 제쳐졌고, 간다라디티야의 동생인 아린자야가 왕으로 즉위했다.[3]
아린자야는 짧은 기간(아마 1년 미만) 통치 후 사망했고, 그의 아들 순다라 촐라가 왕위를 이었다.[4] 순다라 촐라에게는 아디타 카리칼란과 아룰모지 바르만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파란타카 촐라 2세 통치 기간, 그의 아들 아디타 2세는 웃타마보다 왕위 계승 권리가 더 컸음에도 촐라 왕국의 공동 섭정 겸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아디타 카리칼란은 미스터리한 상황 속에서 암살되었다.[5][6] 라젠드라 촐라 1세의 티루발랑가두 판에 따르면,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있었고, 훗날 라자라자 1세가 되는 아룰모지바르만은 그의 숙부인 마두란타카 웃타마를 위해 왕위를 양보했다. 티루발랑가두 판에는 아디타 촐라 2세 사후 백성들이 아룰모지바르만을 왕으로 원했지만, 왕자가 이를 거절했다는 기록이 있다.[7]
2. 1. 아린자야와 순다라 촐라의 통치
간다라디티야가 사망했을 당시 웃타마는 매우 어린아이였음에 틀림없다. 어린 나이 때문에 그의 촐라 왕위 계승 권리는 아마도 제쳐졌고, 간다라디티야의 동생인 아린자야가 왕으로 즉위했다.[3]아린자야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통치했는데, 아마 1년도 안 되었을 것이며, 그가 죽자 그의 아들 파란타카 2세(순다라 촐라)가 뒤를 이었다.[4] 마두란타카가 왕위를 주장할 정도로 성장했을 때, 순다라 촐라에게는 아디타 카리칼란(비라 판디야의 머리를 베었던 사람)과 아룰모지 바르만 두 아들이 있었다.
파란타카 촐라 2세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아들 아디타 2세가 웃타마보다 왕위에 더 많은 권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촐라 왕국의 공동 섭정 겸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다. 아디타 카리칼란은 미스터리한 상황 속에서 암살되었다.[5][6] 라젠드라 촐라 1세의 티루발랑가두 판에 따르면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있었고, 미래의 라자라자 1세인 아룰모지바르만은 그의 숙부인 마두란타카 웃타마를 위해 물러났다. 티루발랑가두 판에 따르면 아디타 촐라 2세가 죽은 후 백성들은 아룰모지바르만(아디타 촐라 2세의 형제)을 왕으로 원했지만, 왕자는 이를 거절했다.[7]
2. 2. 아디타 2세의 암살과 웃타마의 연루 의혹
라자라자 촐라 시대 비문에 따르면, 아디티아 2세 암살에 연루된 일부 인물들이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재산을 몰수당했다. 라자라자 재위 2년 우다이아르구디 비문에는 소만, 라비다산(판차반 브라흐마디라잔), 파라메스와란(이루무디촐라 브라흐마디라잔), 말라이야누르 레바다사 크라마비탄과 그의 아들, 어머니의 토지가 몰수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이들은 "판디아의 머리를 벤" 카리카라 촐라를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8][5][6]아디티아 2세는 969년에 살해되었으나, 웃타마는 재위 기간 동안 범죄자들에게 정의를 실현하지 않았다. K.A.N. 샤스트리는 저서 《촐라스》에서 우다야르쿠디 사원 비문을 근거로 웃타마의 암살 혐의를 제기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는 샤스트리가 타밀 비문을 잘못 해석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웃타마는 종교적이고 훌륭한 인물이었다. 그는 열렬한 시바 신봉자였으며(코네리라자푸람 또는 칸치푸람 비문 확인), 어머니 지시에 따라 사원 패턴, 금석학, 예술, 조각, 행정 기록 보관 등을 규정했다.
2. 2. 1. 암살 연루 정황
라자라자 차올라 시대의 비문에 따르면, 일부 인물들이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재산을 몰수당했으며, 이들은 아디티아 2세 암살 음모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다. 라자라자의 재위 2년에 제작된 우다이아르구디의 비문에는 소만, 라비다산(별칭 판차반 브라흐마디라잔), 파라메스와란(별칭 이루무디촐라 브라흐마디라잔), 말라이야누르 레바다사 크라마비탄과 그의 아들, 어머니의 토지를 정부가 몰수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이들이 반역죄와 "판디아의 머리를 벤" 카리카라 촐라를 살해하는 데 연루되었기 때문이다.[8][5][6] 이들 중 라비다산과 파라메스와란은 정부 관리였다.[8][5][6]아디티아 2세는 969년에 살해되었지만, 웃타마는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범죄자들에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K.A.N. 샤스트리는 저서 《촐라스》에서 우다야르쿠디 사원의 비문을 근거로 정황 증거가 웃타마의 암살 혐의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샤스트리가 이 주장에 대해 틀렸을 수 있으며, 타밀 비문을 잘못 해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웃타마에게 불리한 증거가 있었다면, 라자라자의 아들 라젠드라가 마두라타카 2세라는 즉위명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2. 2. 2. 반론
라자라자 촐라 시대의 비문에 따르면, 일부 인물들이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재산을 몰수당했으며, 이들은 아디티아 2세 암살 음모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다. 라자라자 촐라 재위 2년에 제작된 우다이아르구디 비문에는 소만, 라비다산(별칭 판차반 브라흐마디라잔), 파라메스와란(별칭 이루무디촐라 브라흐마디라잔), 말라이야누르 레바다사 크라마비탄과 그의 아들, 어머니의 토지가 정부에 몰수되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이들이 반역죄와 "판디아의 머리를 벤" 카리카라 촐라 살해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다.[8][5][6] 이들 중 라비다산과 파라메스와란은 정부 관리였다.[8][5][6] 아디티아 2세가 969년에 살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웃타마는 재위 기간 동안 범죄자들에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K.A.N. 샤스트리는 저서 《촐라스》에서 우다야르쿠디 사원 비문을 근거로 정황 증거가 웃타마의 암살 혐의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샤스트리가 타밀 비문을 잘못 해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주장이 틀렸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웃타마에게 불리한 증거가 있었다면, 라자라자 1세의 아들 라젠드라 1세가 마두라타카 2세라는 즉위명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결론이 합리적이다.
모든 정황은 웃타마가 종교적이고 훌륭한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는 열렬한 시바 신봉자였으며(코네리라자푸람(일명 티루날람) 또는 칸치푸람의 비문에서 확인), 그의 어머니의 지시에 따라 사원 패턴, 금석학, 예술, 조각, 행정 기록 보관 등을 규정했다.
3. 웃타마 촐라의 치세
웃타마 촐라의 치세 동안, 톤다이만달람 대부분은 라슈트라쿠타로부터 회복되었다.[9] 그의 영토는 북쪽으로 칸치와 티루반나말라이를 포함했으며,[10] 첸갈파투와 북 아르코트 지역 주변에서 그의 비문이 많이 발견된다.[9] 촐라 군대는 엘람에서 판디아 및 신할라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으며, 판디아 지역과 엘람에서 웃타마의 활동을 증명하는 여러 촐라 동전이 발견되었다.[11]
첸나이 정부 박물관에는 두 마리의 물고기가 옆에 있는 앉아 있는 호랑이의 상징과 "이것은 그의 왕국에 있는 모든 왕에게 정의를 가르친 왕의 비할 데 없는 칙령이다"라는 글귀가 새겨진 웃타마의 동판 비문이 있다.[11] 비록 계보 부분은 유실되었지만, 끝부분 부록은 남아있다.[11]
웃타마는 군대의 병력, 질, 조직 면에서 개선을 이루었으며, 비문을 통해 그의 시대부터 전사들에게 갑옷 조끼가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11] 그의 치세 동안 순다라 촐라 아래에서도 복무했던 팔루베타라이야르 마라반 칸다나르와 그의 아들 쿠마란 마라반이 중요한 장군으로 활약했다.[12]
웃타마는 여러 왕비를 두었으며,[14]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시바를 숭배했지만, 비슈누를 숭배하는 사원에도 기부했다.[14] 또한 그는 자신의 지역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했으며, 다른 왕국에서 최고의 인재를 데려왔다. 카치피두(현대 칸치푸람)는 그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14]
웃타마는 셈비얀 마하데비와 간다라디티야 촐라의 아들이었다.[13] 그는 어머니를 닮아 매우 경건했으며, 그의 지원 덕분에 셈비얀 마하데비는 사원을 재건하는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16] 셈비얀 마하데비는 벽돌, 모르타르, 나무 구조물을 화강암으로 바꾸는 작업을 하였으며, 웃타마는 이 작업에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
3. 1. 군사적 업적
웃타마의 군사적 업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그의 시대에 톤다이만달람 대부분은 라슈트라쿠타로부터 회복되었다.[9] 그의 영토는 북쪽으로 칸치와 티루반나말라이를 포함했다.[10] 그의 비문은 첸갈파투와 북 아르코트 지역 주변에서 많이 발견된다. 촐라 군대는 엘람, 즉 스리랑카에서 판디아와 그들의 동맹인 신할라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던 것으로 보인다. 판디아 지역과 엘람에서 웃타마의 활동을 증명하는 여러 촐라 동전이 발견되었다. 현재 첸나이 정부 박물관에는 그의 동판 비문이 있다. 그 비문에는 두 마리의 물고기가 옆에 있는 앉아 있는 호랑이의 상징이 있으며, "이것은 그의 왕국에 있는 모든 왕에게 정의를 가르친 왕의 비할 데 없는 칙령이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판의 계보 부분은 유실되었다. 하지만 끝부분에 부록 부분은 남아있다.[11]3. 1. 1. 군대 강화
웃타마의 군사적 정복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그의 시대에 대부분의 톤다이만달람은 라슈트라쿠타로부터 회복되었다.[9] 그의 영토는 북쪽으로 칸치와 티루반나말라이를 포함했다.[10] 그의 많은 비문은 첸갈파투와 북 아르코트 지역 주변에서 발견된다. 촐라 군대는 엘람, 즉 스리랑카에서 판디아와 그들의 동맹인 신할라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던 것으로 보인다. 판디아 지역과 엘람에서 웃타마의 활동을 증명하는 여러 촐라 동전이 발견되었다. 현재 첸나이 정부 박물관에 있는 그의 동판 비문이 있다. 그 비문에는 두 마리의 물고기가 옆에 있는 앉아 있는 호랑이의 상징이 있으며, "이것은 그의 왕국에 있는 모든 왕에게 정의를 가르친 왕의 비할 데 없는 칙령이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판의 계보 부분은 유실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끝부분에 부록 부분을 가지고 있다.[11]그는 군대를 병력 수준뿐만 아니라 질과 조직 면에서도 개선했다는 징후가 있다. 웃타마 시대부터 적어도 전사들에게 갑옷 조끼가 제공되었다는 것이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그의 치세 동안 중요한 장군으로는 순다라 촐라 아래에서도 복무했던 팔루베타라이야르 마라반 칸다나르가 있었다. 그의 아들 쿠마란 마라반 역시 웃타마를 섬겼다.[12]
3. 1. 2. 팔루베타라이야르 가문의 활약
웃타마의 군사적 정복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그의 시대에 대부분의 톤다이만달람은 라슈트라쿠타로부터 회복되었다.[9] 그의 영토는 북쪽으로 칸치와 티루반나말라이를 포함했다.[10] 그의 많은 비문은 첸갈파투와 북 아르코트 지역 주변에서 발견된다. 촐라 군대는 엘람, 즉 스리랑카에서 판디아와 그들의 동맹인 신할라와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던 것으로 보인다. 판디아 지역과 엘람에서 웃타마의 활동을 증명하는 여러 촐라 동전이 발견되었다. 현재 첸나이 정부 박물관에 있는 그의 동판 비문이 있다. 그 비문에는 두 마리의 물고기가 옆에 있는 앉아 있는 호랑이의 상징이 있으며, "이것은 그의 왕국에 있는 모든 왕에게 정의를 가르친 왕의 비할 데 없는 칙령이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판의 계보 부분은 유실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끝부분에 부록 부분을 가지고 있다.[11]그는 군대를 병력 수준뿐만 아니라 질과 조직 면에서도 개선했다는 징후가 있다. 웃타마 시대부터 적어도 전사들에게 갑옷 조끼가 제공되었다는 것이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그의 치세 동안 중요한 장군으로는 순다라 촐라 아래에서도 복무했던 팔루베타라이야르 마라반 칸다나르가 있었다. 그의 아들 쿠마란 마라반 역시 웃타마를 섬겼다.[12]
3. 2. 내치와 종교적 후원
웃타마는 오라타난(우라타야나) 소랍바이야르 트리부바나-마하데비야르(수석 왕비), 카두베티갈 난디포타라이야르(아마도 팔라바 공주), 싯다바다반 수티야르(현재의 남 아르코트 지역의 밀라두를 통치했던 유력한 봉건 왕인 비크라마솔라-밀라두다이야르와 관련 있음) 등 여러 왕비를 두었다.[14]웃타마는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시바를 숭배하는 사이바이트였지만, 비슈누를 숭배하는 사원에도 기부했다. 울라갈라다르 사원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그는 자신의 지역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했으며, 다른 왕국에서 최고의 인재를 데려왔다. 카치피두(현대 칸치푸람)는 그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언급된다. 그는 현대 쿰바코남, 티루날람(현대 코네라라자푸람), 티루발라이, 티루파투라이, 티루네두갈람, 티루비살루르, 티루나라유르, 티루발랑가두, 티루코디카 등의 사원에 돈, 소, 양을 기부했다.
3. 2. 1. 셈비얀 마데비의 영향
웃타마는 셈비얀 마하데비와 간다라디티야 촐라의 아들이었다. 셈비얀 마하데비는 말라바라야르 족장의 딸이었다.[13] 웃타마의 아버지는 삼촌들의 이름을 따서 그를 간단 마두란타칸, 즉 웃타마라고 이름지었다.[15] 촐라 제국의 다른 왕들과는 달리, 웃타마는 어머니를 닮아 매우 경건했다. 그의 경건한 성품과 지원 덕분에 그의 어머니 셈비얀 마하데비는 사원을 재건하는 자신의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16] 웃타마는 심지어 적들에게도 자비를 베풀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셈비얀 마하데비는 벽돌, 모르타르, 나무 구조물을 화강암으로 바꾸는 칼파니 과정을 개척했으며, 웃타마는 이 작업에 그의 어머니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는 비문 증거가 있다. 셈비얀 마하데비는 사원을 재건하기 전에 오래된 비문을 베끼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예를 들어, ''무바르'' 즉 사이바이트 성인들인 아파르, 순다라르 및 삼반다르에 의해 불린 아바투투라이의 사원에는 사원이 재건되기 전 시대의 오래된 비문이 있다. 아파르와 순다라르가 불렀던 쿠랄람의 촐레에스와라 사원과 같은 다른 장소에는 셈비얀 마하데비가 건설했다는 비문이 있다.[1] 셈비얀 마하데비는 웃타마보다 오래 살았고 라자라자 1세의 통치 기간까지 16년을 더 살았다.[17]
웃타마(마두란타카 데바르)와 그의 어머니의 두 조각상은 쿰바코남 근처의 코네라라자푸람(일명 티루날람) 사원의 내부 프라카라 남쪽 벽에서 찾을 수 있다. 셈비얀 마하데비를 식별하는 조각상 아래의 비문은 그녀를 식별하고, 인도 고고학 조사국은 그녀 뒤의 수염 난 남자를 간다라디티야 촐라로 해석한다.
4. 죽음과 계승
웃타마는 985년경에 사망했다. 그에게 적어도 한 명의 아들(마두란타카 간다라디티야)이 있었지만, 왕위 계승은 다시 파란타카 2세의 가문으로 넘어갔다. 라자라자 촐라 1세가 촐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했다. 마두란타카는 라자라자의 궁정에서 관료로 일했다.
5. 비문
다음은 코네라라자푸람의 우마마헤스와라스와미 사원에 있는 웃타마의 비문이다.
간다라디타데바의 왕비이자 왕의 어머니인 Madevadigalar|마데바디갈라르ta Sembiyan Madeviyar|셈비얀 마데비야르ta가 Madhurantakadeva|마두란타카데바ta인 웃타마 촐라의 기록인 티루날라무다이아르 사원을 돌로 지었다고 기록한다.[18]
티루물라이바일의 마실라마니스와라 사원에 있는 그의 또 다른 비문이다.
촐라 왕 Parakesarivarman|파라케사리바르만ta인 웃타마 촐라 데바의 통치 시기에 작성됨;[19] 그의 14년에 간다라디타 페루말의 왕비이자 말라바라야르의 딸인 셈비얀 마데비야르가 기증한 토지를 기록한다.[19] 그 토지는 풀라르 코탐 지구의 암바투르-나두의 암바투르 마을 사람들로부터 구매했다.[19]
참조
[1]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Ancient India: Collected Essays on the Literary and Political History of Southern India
https://archive.org/[...]
Asian Educational Services
[3]
서적
The Great Chola Temples: Thanjavur, Gangaikondacholapuram, Darasuram
https://archive.org/[...]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
서적
A handbook of Tamil Nadu
International School of Dravidian Linguistics
[5]
서적
Annals of Oriental Research, Volume 25
University of Madras
[6]
서적
Early Indian land grants and state economy
Excellence Publishers
[7]
서적
South Indian Inscriptions, Volume III, Miscellaneous inscriptions from the Tamil Country
https://indianhistor[...]
The Director General, Archaeological Survey On India, Janpath, New Delhi
[8]
서적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Volume 18
[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India
[10]
서적
History and Culture of the Tamils: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ident's Rule
Vijay Publications
[11]
서적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Tamilnad, Volume 1
Ennes
[12]
서적
A Panorama of Indian Culture: Professor A. Sreedhara Menon Felicitation Volume
Mittal Publications
[13]
서적
Early Chola Temples: Parantaka I to Rajaraja I, A.D. 907-985
https://indiancultur[...]
Orient Longman
[14]
서적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Thanjavur District
Indian Council of Historical Research
[15]
서적
Early Chola Temples: Parantaka I to Rajaraja I, A.D. 907-985
https://indiancultur[...]
Orient Longman
[16]
서적
Śrīnidhiḥ: perspectives in Indian archaeology, art, and culture : Shri K.R. Srinivasan festschrift
New Era Publications
[17]
서적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of the Madras Presidency, Volume II, with Notes and References
Asian Educational Services, New Delhi
[18]
서적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of the Madras Presidency, Volume II, with Notes and References
Asian Educational Services, New Delhi
[19]
서적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of the Madras Presidency, Volume I, with Notes and References
https://www.indiancu[...]
Asian Educational Services, New Delhi
[20]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Ancient India: Collected Essays on the Literary and Political History of Southern India
https://archive.org/[...]
Asian Educational Servi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