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시딱정벌레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시딱정벌레아목(Archostemata)은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아목으로, 현존하는 5개의 과로 구성된다. 이 아목에는 크로우소니엘라과, 곰보벌레과, 식코테알리니아과, 옴마과, 전신주딱정벌레과가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딱정벌레아목 - 옴마과
    옴마과는 딱정벌레목의 한 과로, 오스트레일리아, 마다가스카르, 칠레, 아르헨티나 등에 분포하는 현존하는 3개의 속과 알로팔레루스속, 아시아니아속, 브로코콜레우스속 등 여러 멸종된 속을 포함하며, 숲의 썩은 나무나 나무껍질 밑에서 서식한다.
  • 원시딱정벌레아목 - 전신주딱정벌레
    전신주딱정벌레는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전 대륙에서 발견되는 딱정벌레로, 유충은 목재를 갉아먹고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며, 성 역할 반전 현상을 보이는 목재 해충이다.
원시딱정벌레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Tenomerga mucida
Tenomerga mucida
학명Archostemata
명명자Kolbe, 1908
아목원시딱정벌레아목
하위 분류
Crowsoniellidae
Cupedidae
Jurodidae
Micromalthidae
Ommatidae
시간 범위
화석 범위후기 페름기 - 현재

2. 분류

원시딱정벌레아목에는 다음 5개의 현존하는 과가 있다.[5][6]



Boudinot 등(2022)과 Li 등(2023)은 고생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시딱정벌레아목과 초기 딱정벌레의 계통 발생을 연구했다.[2][1]

2. 1. 현존하는 과

현존하는 원시딱정벌레아목의 과는 다음과 같다.[5][6]

2. 2. 계통 발생

Boudinot 등(2022)과 Li 등(2023)의 연구는 고생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시딱정벌레아목과 초기 딱정벌레의 계통 발생을 연구했다.[2][1] 이 연구들은 딱정벌레목 내에서 원시딱정벌레아목의 위치와 그 하위 분류군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

2. 2. 1. Boudinot 등 (2022)

Boudinot 등(2022)은 고생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시딱정벌레아목과 초기 딱정벌레의 부분 계통 발생을 연구했다.[2]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딱정벌레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class="wikitable"

|-

! colspan="2" | 딱정벌레목

|-

| colspan="2" | Tshekardocoleidae †

|-

! colspan="2" | Mesocoleoptera

|-

| colspan="2" | Permocupedidae †

|-

! colspan="2" | Metacoleoptera

|-

|

{| class="wikitable"

|-

! '''원시딱정벌레아목'''

|-

| Cupedidae

|-

Ommatidae
Micromalthidae



|}

| rowspan="3" |

Myxophaga
Adephaga
Polyphaga



|}

2. 2. 2. Li 등 (2023)

Li 등(2023)에 따르면, [1] 원시딱정벌레아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class="wikitable"

|-

! 딱정벌레목

|-

|

{| class="wikitable"

|-

| Tshekardocoleidae †

|-

|

{| class="wikitable"

|-

| Permocupedidae †

|-

| Rhombocoleidae †

|-

|

{| class="wikitable"

|-

| Triadocupedinae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Ademosynidae †
Schizophoridae †



|-

|

{| class="wikitable"

|-

| ''Trachypacus''

|-

|

Helophorus
Torridincola



|}

|}

|-

! '''원시딱정벌레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Ommatidae'''

|-

|

Omma
Tetraphalerus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Jurodidae'''

|-

|

Sikhotealinia
Jurodes



|-

|

{| class="wikitable"

|-

|

Crowsoniellidae



|-

|

Micromalthidae
Catiniidae



|}

|}

|}

|}

|-

|

{| class="wikitable"

|-

| ''Notocupes'' †

! '''Cupedidae'''

|-

|

{| class="wikitable"

|-

| ''Priacma''

|-

|

{| class="wikitable"

|-

| ''Paracupes''

|-

|

{| class="wikitable"

|-

| ''Cupes''

|-

| ''Tenomerga''

|-

| ''Rhipsideigma''

|-

|

Ascioplaga
Distocupes



|}

|}

|}

|}

|}

|}

|}

|}

|}

|}

|}

참조

[1] 논문 Mesozoic Notocupes revealed as the sister group of Cupedidae (Coleoptera: Archostemata) 2023-08-22
[2] 논문 Permian parallelisms: Reanalysis of †Tshekardocoleidae sheds light on the earliest evolution of the Coleoptera 2022-07-28
[3] 논문 The species-level phylogeny of archostematan beetles—where do Micromalthus debilis and Crowsoniella relicta belong? 2009-07
[4] 논문 The thoracic morphology of Archostemata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extant suborders of Coleoptera (Hexapoda) https://dash.harvard[...] 2024-07-31
[5] 논문 Family-group names in Coleoptera (Insecta) 2011
[6] 논문 Additions and corrections to "Family-group names in Coleoptera (Insec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