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8은 PC, 콘솔, 모바일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된 e스포츠 대회이다. PC 게임으로는 카운터 스트라이크 1.6,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이, 콘솔 게임으로는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4, 헤일로 3 등이, 모바일 게임으로는 아스팔트 4가 채택되었다. 각 종목별 우승자를 포함한 대회 결과가 기록되어 있으며, 한국 e스포츠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서 개최된 국제 e스포츠 대회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5는 라이엇 게임즈 주최로 파리, 런던, 브뤼셀, 베를린에서 진행되어 SK텔레콤 T1이 KOO 타이거즈를 꺾고 우승했으며, 챔피언십 칼리스타 스킨과 우승팀 기념 스킨이 발매된 총 상금 213만 달러 규모의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이다. - 월드 사이버 게임즈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월드 사이버 게임즈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2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2는 PC 게임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e스포츠 대회로, 한국에서는 임요환과 홍진호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e스포츠 - GOM 클래식
GOM 클래식은 곰TV가 주최하여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시작으로 TG삼보, 인텔, 위메프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시리즈이며, 각 시즌마다 다양한 맵이 사용되었고 목동 스튜디오에서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2008년 e스포츠 - BATOO 스타리그 08~09
BATOO 스타리그 08~09는 게임 바투의 후원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리그로, 36강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제동이 우승했고, E-Sport 사상 최초로 승자가 먼저 GG를 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특이사항을 남겼다.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8 | |
---|---|
대회 개요 | |
명칭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8 |
개최 도시 | 독일 쾰른 |
참가국 | 78개국 |
참가 선수 | 800명 |
개막일 | 2008년 11월 5일 |
폐막일 | 2008년 11월 9일 |
주 경기장 | 쾰른 메세 이벤트 8번 홀 |
게임 종목 | |
PC 게임 | 9종목 |
콘솔 게임 | 4종목 |
모바일 게임 | 1종목 |
이전/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WCG 2007 |
다음 대회 | WCG 2009 |
2. 정식 종목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8의 정식 종목은 크게 PC 게임, 콘솔 게임(Xbox 360), 모바일 게임의 세 가지 플랫폼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플랫폼별 세부 종목은 아래와 같다.
2. 1. PC 게임
- 카운터 스트라이크 1.6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워크래프트 III: 프로즌 쓰론
- FIFA 08
- 니드 포 스피드: 프로스트리트
- 커맨드 앤 컨커 3: 케인의 분노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아시아 왕조
- 붉은 보석
- 캐롬 3D
2. 2. 콘솔 게임 (Xbox 360)
2. 3. 모바일 게임
- 아스팔트 4: 엘리트 레이싱
3. 역대 대회 결과
Alexander Holdt (ave)
Christoffer Sunde (Sunde)
Danny Sørensen (zonic)
Muhamed Eid (mJe)
Jonas Svendsen (whiMp)
Jimmy Allen (allen)
Kristoffer Nordlund (Tentpole)
Marcus Sundström (zet)
Robert Dahlström (RobbaN)
Dennis Wallenberg (walle)
정수영 (ari)
박진희 (hee)
변선호 (Termi)
이성재 (bail)
강건철 (Solo)
Kevin Thomas Garcia (DarkScorpion)
Vanshaj "Max" Rawal (MadMax)
Christopher Kerluke (Lowkin)
Mark James (YungCity)
Maxime Rollan (AeteR)
Steven Castaldi (lRazoR)
Nicolas Taboureau (AzAfolK)
Quinzain Gregory (Ripper)
Jordan Blackburn (LegendJRG)
Ian Schult (Nai)
Leland Jones (Mimic)
Joey Yamcharern (ScrubTwista)
강기표
김승렬
Tomohiro Takami
우에다 쇼타
Hiroto Watanabe
키타가와 쿠니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