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와이드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와이드웹(WorldWideWeb)은 팀 버너스리가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정보 공유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최초의 웹 브라우저이다. 1990년 성탄절에 버너스리와 로베르 카이오는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는 데 성공했고, 1993년 CERN은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하여 웹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월드와이드웹은 NeXTSTEP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 WYSIWYG 편집 기능 등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브젝티브-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파이어폭스 포커스
파이어폭스 포커스는 모질라에서 개발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로, 웹 추적기를 차단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브라우징 속도를 향상시키며, iOS에서는 사파리와 통합되어 콘텐츠 차단기로, 안드로이드에서는 자체 엔진을 사용하여 작동한다. - 오브젝티브-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Adium
Adium은 macOS용 자유-오픈 소스 인스턴트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libpurple 라이브러리를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플러그인으로 프로토콜 확장이 가능하고 사용자 정의가 용이하며 녹색 오리 '애디미'를 마스코트로 사용한다. - 1990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 3.0
1990년 5월 22일에 출시된 윈도우 3.0은 3차원 GUI와 향상된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 관리자 등의 개선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출시 이후 반독점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 1990년 소프트웨어 - 페인트샵 프로
로버트 보이트가 개발한 페인트샵 프로는 이미지 변환기로 시작하여 다양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추가하며 발전해 왔고, 코렐에 인수된 후에도 기능 개선을 통해 어도비 포토샵과 경쟁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다.
| 월드와이드웹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개발자 | 팀 버너스리 (CERN) |
| 최초 출시일 | 1990년 12월 25일 |
| 지원 중단 | 예 |
| 프로그래밍 언어 | Objective-C |
| 운영 체제 | NeXTSTEP |
| 언어 | 영어 |
| 장르 | 웹 브라우저 웹 저작 도구 |
| 라이선스 | 퍼블릭 도메인 |
| 웹사이트 | WorldWideWeb |
2. 역사
팀 버너스리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정보 공유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월드와이드웹을 개발하게 되었다.
최초의 웹 브라우저는 1990년 2분기 말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월드와이드웹 태동 직전의 모습으로 기록되어 있다. 로베르 카이오의 도움으로 웹 프로젝트는 CERN의 공식 지원을 받았고, 니콜라 펠로가 개발에 참여하여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만들었다.
1994년, 소프트웨어(''WorldWideWeb'')와 월드 와이드 웹을 구별하기 위해 ''넥서스 브라우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0]
2021년, 소더비는 WorldWideWeb 소스 코드의 NFT 경매를 개최했다.[14][15]
2. 1. 개발 배경
팀 버너스리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근무하던 중 정보 공유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월드와이드웹을 개발하게 되었다. 1990년 후반, NeXT 컴퓨터를 이용하여 월드와이드웹 개발을 시작했다.[5]1990년 성탄절, 버너스리와 로베르 카이오는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info.cern.ch 웹 서버에 접속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것이 월드와이드웹(WWW) 탄생의 순간으로 평가받는다.[30] 이후 베른트 폴러만, 장-프랑수아 그로프, 니콜라 펠로 등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6]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libwww API가 개발되었다.[11]
NeXT 시스템에서 다른 운영 체제로 포팅하는 것은 어려웠기 때문에, 편집 기능이 없는 "수동 브라우저"가 만들어졌다.[25] X 윈도우 시스템으로의 포팅은 팀원 중 해당 시스템 경험자가 없어 불가능했다.[25]
ViolaWWW 등 여러 초기 브라우저들이 등장했으나, 1993년 모자이크에 의해 인기가 가려졌다.[11] 이후 개발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HTML, 통신 프로토콜 등 월드와이드웹 표준 및 가이드라인을 정의하는 일에 집중하게 되었다.
1993년 4월 30일, CERN 이사회는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퍼블릭 도메인에 출시했다.[31] 버너스리는 처음에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공개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기업 지원을 최대화하기 위해 퍼블릭 도메인에 올리는 것을 선택했다.[31]
2. 2. 초기 개발 과정
팀 버너스리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근무하던 중 1990년 후반에 NeXT 컴퓨터를 웹 서버로 사용하여 월드와이드웹 개발을 시작했다.[5] 로베르 카이오는 버너스리와 함께 글로벌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이해하고 웹 개발에 공헌한 CERN의 동료였으며, 그의 도움으로 웹 프로젝트는 CERN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게 되었다.[30]1990년 성탄절, 버너스리와 카이오는 자신들의 컴퓨터에서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info.cern.ch 웹 서버에 접속하는 데 성공했다. 이것이 월드와이드웹(WWW) 탄생의 순간으로 평가받는다.[30] 이후 영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CERN 인턴 연구원으로 합류한 니콜라 펠로가 개발에 참여하여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만들었다.[30]
1991년 8월, 버너스리는 인터넷 뉴스그룹에 월드와이드웹을 공식 출시하기 전에 CERN 동료들에게 빌드를 제공했다. 이 시기에 베른트 폴러만, 장-프랑수아 그로프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8]
초기에는 NeXT 시스템에서 다른 운영 체제로 기능을 완전히 포팅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팀원 중 X Window System 경험자가 없어 포팅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편집 기능이 없는 "수동 브라우저"를 만들었다.[16]
이후 버너스리와 그로프는 월드와이드웹의 여러 구성 요소를 C 프로그래밍 언어 버전으로 채택하여 libwww API를 개발했다.[11]
ViolaWWW 등 여러 초기 브라우저들이 등장했지만, 1993년 모자이크의 인기에 가려졌다.[11] 이로 인해 개발자들은 HTML,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등 월드 와이드 웹의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정의하는 일에 집중하게 되었다.
1993년 4월 30일, CERN 이사회는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퍼블릭 도메인에 공개하여 자유 소프트웨어로 만들었다.[12] 버너스리는 처음에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공개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기업 지원을 최대화하기 위해 퍼블릭 도메인에 공개했다.[13] 이는 누구나 자유롭게 웹 기술을 사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웹의 폭발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했다.
3. 기술 정보
월드와이드웹은 NeXTSTEP 플랫폼에서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만들어졌다. 월드와이드웹의 레이아웃 엔진은 NeXTSTEP의 텍스트 클래스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1]
월드와이드웹은 FTP, HTTP, NNTP, 로컬 파일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었다. 후기 버전에서는 인라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었다.[1]
3. 1. 기능
월드와이드웹은 NeXTSTEP 플랫폼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수많은 NeXTSTEP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월드와이드웹의 레이아웃 엔진은 NeXTSTEP의 텍스트 클래스로 만들어졌다.[1]월드와이드웹은 기본 스타일시트를 보여 주고,[5] 뉴스그룹을 살펴보고, 철자 검사 기능을 제공하였다.[5] NeXT 시스템이 지원하는 파일 종류(PostScript,[16][5] 영화, 소리[5])를 내려받아 열 수 있었다. 처음에 그림은 별도의 창에 표시되었으나 NeXTSTEP의 텍스트 클래스가 나온 뒤로 그림 객체를 지원하게 되었다.[5]
이 브라우저는 WYSIWYG 편집 프로그램의 역할도 했다.[1][16] 수많은 페이지를 다른 창에서 동시에 편집하고 연결할 수 있었다. "Mark Selection" 기능으로 앵커를 생성하고, "Link to Marked" 기능으로 선택한 텍스트를 마지막으로 표시된 앵커로 연결하는 기능을 통해 링크를 만들 수 있었다. HTTP PUT 메소드가 추가되지 않아서 원격으로 페이지를 편집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1] 로컬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편집할 수 있었기에 HTTP 서버를 통해 웹으로 서비스할 수 있었다.
월드와이드웹의 탐색 패널에는 다음, 이전 단추가 포함되어 있어, 마지막에 방문한 페이지의 다음, 이전 링크로 자동 탐색할 수 있었다.[1] 이는 여러 링크 목록을 포함하고 있는 웹 페이지에 유용한 기능이었다. 오늘날에도 각 웹 페이지에서 해당 링크와 함께 반복되는 명시적인 탐색 버튼을 사용하거나 페이지 헤더에 입력된 링크를 사용하여 동등한 기능이 제공된다.
월드와이드웹은 이후 브라우저에 존재하는 즐겨찾기가 없었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홈 페이지(시작 페이지)에 링크하여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링크를 저장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최신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 폴더와 유사하게 여러 개의 홈 페이지를 만들 수 있었다.[16]
월드와이드웹은 FTP, HTTP, NNTP, 로컬 파일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었다.[1]
3. 2. 기술적 한계
월드와이드웹은 NeXTSTEP 플랫폼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NeXTSTEP의 많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였다. 월드와이드웹의 레이아웃 엔진은 NeXTSTEP의 텍스트 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1]초기 버전에서는 NeXTSTEP의 텍스트 클래스가 이미지 객체를 지원하기 전까지 이미지가 별도의 창에 표시되었다.[5] 후기 버전은 인라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었다.[1]
이 브라우저는 WYSIWYG 편집기였다.[1][16] 여러 페이지를 서로 다른 창에서 동시에 편집하고 연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응용 프로그램 개발 기간 동안 HTTP PUT 메서드가 구현되지 않아 원격으로 페이지를 편집하는 것은 불가능했다.[1] 파일은 로컬 파일 시스템에서 편집할 수 있었으며, 편집된 파일은 HTTP 서버를 통해 웹으로 제공되었다.
4. 영향과 평가
팀 버너스리가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개발한 월드와이드웹은 1991년 8월 일반에 공개된 이후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6][7] 1993년 4월 30일, CERN 이사회가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퍼블릭 도메인에 공개하면서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었다.[12]
CERN의 소스 코드 공개 결정은 누구나 자유롭게 웹 기술을 사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는 지식의 민주화를 촉진하고, 전 세계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버너스리는 처음에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를 고려했지만, 기업들이 참여를 주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퍼블릭 도메인 공개를 선택했다.[13] 이러한 개방형 협업 문화는 월드와이드웹의 빠른 성장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4. 1. 웹 기술 발전 기여
팀 버너스리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근무하던 중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로베르 카이오 등 동료들의 도움으로 웹 프로젝트는 CERN의 공식 지원을 받게 되었고, 1990년 성탄절에 최초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는 데 성공하면서 월드와이드웹(WWW)이 탄생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되었다.[30]이후 베른트 폴러만, 장-프랑수아 그로프 등이 프로젝트에 합류하였고, 버너스리와 그로프는 월드와이드웹의 구성 요소들을 C 프로그래밍 언어 버전으로 채택하여 libwww API를 만들었다.
초기에는 ViolaWWW 등 다양한 브라우저들이 등장했으나, 1993년 모자이크의 등장으로 모두 대체되었다. 이후 월드와이드웹 개발팀은 HTML, 통신 프로토콜 등 웹 표준 및 가이드라인을 정의하는 작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1993년 4월 30일, CERN 이사회는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자유 소프트웨어 자격으로 퍼블릭 도메인에 공개했다. 이는 기업들의 지원을 최대화하기 위한 결정이었다.[31]
4. 2. 사회적 영향
팀 버너스리가 CERN에서 개발한 월드와이드웹은 1991년 8월 일반에 공개된 이후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6][7] 1993년 4월 30일, CERN 이사회가 월드와이드웹의 소스 코드를 퍼블릭 도메인에 공개하면서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었다.[12]CERN의 소스 코드 공개 결정은 누구나 자유롭게 웹 기술을 사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는 지식의 민주화를 촉진하고, 전 세계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버너스리는 처음에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를 고려했지만, 기업들이 참여를 주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퍼블릭 도메인 공개를 선택했다.[13] 이러한 개방형 협업 문화는 월드 와이드 웹의 빠른 성장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WideWeb browser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3
[2]
웹사이트
The document that officially put the World Wide Web into the public domain on 30 April 1993.
https://cds.cern.ch/[...]
CERN
2013-09-26
[3]
웹사이트
The birth of the Web {{!}} CERN
https://home.cern/sc[...]
2019-07-21
[4]
뉴스
Cern re-creating first web page to revere early ideal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4-22
[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were the first WWW browsers?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2
[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Web
http://www.w3.org/D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8-17
[7]
웹사이트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Wide Web
https://www.w3.org/H[...]
2020-02-03
[8]
웹사이트
NeXT editor upgrade proposal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6-21
[9]
웹사이트
Welcome to info.cern.ch
http://info.cern.ch/
CERN
2010-07-25
[10]
웹사이트
The Nexus Browser {{!}} Digital Archaeology
https://digital-arch[...]
2021-06-15
[11]
웹사이트
Web Browser History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2010-06-02
[12]
웹사이트
browsers.evolt.org
http://browsers.evol[...]
[13]
웹사이트
History of Libwww
http://www.governing[...]
2007-02-14
[14]
웹사이트
Source Code for the WWW | This Changed Everything: Source Code for WWW x Tim Berners-Lee, an NFT | 2021
https://www.sothebys[...]
[15]
뉴스
Tim Berners-Lee sells web source code NFT for $5.4m
https://www.bbc.com/[...]
2021-06-30
[16]
웹사이트
Interview Robert Cailliau on the WWW Proposal: "How It Really Happened."
http://www.computer.[...]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10-08-18
[17]
웹사이트
The WorldWideWeb browser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3
[18]
웹사이트
Index of /History/1991-WWW-NeXT/Implementation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8-18
[1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were the first WWW browsers?
https://www.w3.org/P[...]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2
[2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Web
https://www.w3.org/D[...]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3
[21]
웹사이트
NeXT editor upgrade proposal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6-21
[22]
웹사이트
Web Browser History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2010-06-02
[23]
웹사이트
History of Libwww
http://www.governing[...]
2008-04-29
[24]
웹사이트
Policy
https://www.w3.org/H[...]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9-01
[25]
웹사이트
Interview Robert Cailliau on the WWW Proposal: "How It Really Happened."
http://www.computer.[...]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997-11
[26]
웹사이트
Welcome to info.cern.ch
http://info.cern.ch/
CERN
2010-07-25
[27]
웹인용
The WorldWideWeb browser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3
[28]
문서
Index of /History/1991-WWW-NeXT/Implementation
http://www.w3.org/Hi[...]
[29]
문서
What were the first WWW browsers?
http://www.w3.org/Pe[...]
[30]
서적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신의 입자를 찾는 사람들
사이언스북스
2014-07-04
[31]
웹인용
libwww의 역사
http://www.governing[...]
2008-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