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황 (광양사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양사왕 유황은 전한의 제후왕으로, 광양목왕 유순의 아들이다. 유가의 아버지이며, 유접, 당양후 유익, 광성후 유지를 아들로 두었다. 당양후와 광성후는 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에 봉해졌다. 방향후 유상득과 방성후 유선이 유황의 아들인지에 대해서는 유반과 소여의 다른 견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년 사망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기원전 4년 사망 - 평당
평당은 전한 시대의 관료로, 여러 관직을 거쳐 승상에 올랐으나 열후에 봉해지기 전에 사망하여 전한 승상 중 유일하게 열후에 봉해지지 못한 인물이다.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 전한의 종실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전한의 종실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유황 (광양사왕) | |
---|---|
기본 정보 | |
![]() | |
휘 | 王莽 (Wáng Mǎng, 왕망) |
자 | 巨君 (Jùjūn, 거군) |
시호 | 功顯 (Gōngxiǎn, 공현) |
작위 | 新都侯 (Xīndū Hóu, 신도후) |
칭호 | 假皇帝 (Jiǎ Huángdì, 가황제), 攝皇帝 (Shè Huángdì, 섭황제) |
묘호 | 元祖 (Yuánzǔ, 원조) |
능호 | 壽陵 (Shòulíng, 수릉) |
생몰 | |
출생 | 기원전 45년 |
사망 | 서기 23년 |
가족 | |
부 | 王曼 (Wáng Màn, 왕만) |
모 | 渠氏 (Qú shì, 거씨) |
처 | 王氏 (Wáng shì, 왕씨) |
자녀 | 王宇 (Wáng Yǔ, 왕우) 王獲 (Wáng Huò, 왕획) 王安 (Wáng Ān, 왕안) 王興 (Wáng Xīng, 왕흥) 王匡 (Wáng Kuāng, 왕광) 王捷 (Wáng Jié, 왕첩) |
경력 | |
주요 경력 | 大司馬 (Dà Sīmǎ, 대사마) 安漢公 (Ānhàn Gōng, 안한공) 假皇帝 (Jiǎ Huángdì, 가황제) 攝皇帝 (Shè Huángdì, 섭황제) 新皇帝 (Xīn Huángdì, 신황제) |
재위 기간 | 서기 9년 ~ 서기 23년 |
국호 | 新 (Xīn, 신) |
연호 | 始建國 (Shǐjiànguó, 시건국) 天鳳 (Tiānfèng, 천봉) 地皇 (Dìhuáng, 지황) |
기타 정보 | |
신나라 멸망 | 綠林起義 (Lǜlín qǐyì, 녹림기의) |
2. 가계
유접(劉接)[2]
당양후와 광성후는 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에 봉해졌다.[3] 한편 부왕을 알 수 없는 이로 방향후 유상득·방성후 유선이 있는데, 유반(劉攽)은 유상득을, 소여(蘇輿)는 유선을 광양사왕의 아들로 보았다.
2. 1. 부모
광양목왕 유순은 유황의 아버지이다.[2]2. 2. 본인
광양사왕 유황은 전한의 제후왕이다.[2] 아버지는 광양목왕 유순이다. 광양왕 유가의 아버지이다.[2] 아들로는 유접, 당양후 유익, 광성후 유지가 있는데, 당양후와 광성후는 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에 봉해졌다.[3] 한편, 부왕을 알 수 없는 이로 방향후 유상득·방성후 유선이 있는데, 유반은 유상득을, 소여는 유선을 광양사왕의 아들로 추정하였다.2. 3. 자녀
광양사왕 유황에게는 아들 광양왕 유가와 당양후 유익, 광성후 유지가 있었다.[3] 유가는 광양사왕 사후 광양왕을 계승하였다.[2] 당양후 유익과 광성후 유지는 원시 2년(2년) 4월 정유일에 봉해졌다.[3] 한편, 부왕을 알 수 없는 이로 방향후 유상득과 방성후 유선이 있는데, 유반은 유상득을, 소여는 유선을 광양사왕의 아들로 보았다.2. 4. 기타
3. 학자별 견해
3. 1. 유반
3. 2. 소여
참조
[1]
서적
한서 권63 무오자전제33
https://zh.wikisourc[...]
[2]
서적
후한서 권1상 광무기 제1상
[3]
서적
한서, 권15 하 왕자후표 하
[4]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5]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