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전은 1829년 후에 황성에서 태어나 1885년 사망한 응우옌 왕조의 황족이다. 민망 21년에 진정군공에 봉해졌으나, 방탕한 생활로 인해 작위가 강등되기도 했다. 티에우찌 황제와 뜨득 황제 재위 기간 동안 작위가 회복과 강등을 반복했으며, 함응이 원년에 5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공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는 장혜숙인 호앙씨와 쩐티디에우를 부인으로 두었으며, 15명의 아들과 9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황족 - 응우옌푹미엔호앙
응우옌푹미엔호앙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민망 황제의 아들이자 건풍군공이며, 학문을 좋아하고 1852년에 건풍군공에 봉해졌으며 1888년에 사망했다. - 응우옌 왕조의 황족 - 응우옌푹미엔턴 (1817년)
응우옌 왕조의 왕족인 응우옌푹미엔턴은 1817년 후에에서 태어나 의화군공에 봉해졌고, 특별한 예우를 받다가 1878년 사망 후 흐엉투이현에 장사지내지고 사당이 세워져 제사를 받았다. - 1885년 사망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1885년 사망 - 이와사키 야타로
이와사키 야타로는 메이지 시대의 실업가이자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 출신으로, 해운업을 중심으로 미쓰비시를 일본 최대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정경유착 및 독점 비판을 받았으며, 현재 미쓰비시 그룹의 기반을 구축한 창업자이다. - 1829년 출생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 1829년 출생 - 아우구스트 케쿨레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독일의 화학자로서 탄소의 사중 원자가와 자가 연결 능력을 기반으로 유기화학의 구조 이론을 체계화하고 벤젠의 고리 모양 구조를 제안하여 방향족 화합물 연구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은 화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하였다.
응우옌푹미엔전 | |
---|---|
기본 정보 | |
휘 | 면인(綿寅) |
작위 | 춘화군공(春華郡公) |
생몰 | 1819년 ~ 1870년 |
자녀 | 3남 |
신상 정보 | |
본명 | 응우옌푹미엔전(Nguyễn Phúc Miên Dần, 阮福綿寅) |
출생 | 자롱(嘉隆) 18년 (1819년) |
사망 | 뜨득(嗣德) 23년 (1870년) |
봉작 | 춘화군공(春華郡公) |
가족 관계 | |
부친 | 민망 황제 |
모친 | 궁빈(宮嬪) 쩐 티 빈(陳氏嬪) |
자녀 | 응우옌푹홍깐(阮福洪艮), 응우옌푹홍비엔(阮福洪茾), 응우옌푹홍방(阮福洪芳) |
2. 생애
민망 10년 음력 3월 15일(1829년 4월 18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성격이 교만하고 횡포하여 여러 차례 가법(家法)을 위반하였으므로 민망의 질책을 받았다.
민망 21년(1840년) 음력 4월, '''진정군공'''(진정군공/Trấn Tĩnh Quận Côngvi)에 봉해졌다.[2]
출부(出府)한 뒤로부터 사방을 돌아다니며 놀았다. 티에우찌 황제는 그 말을 듣고 그가 조회에 나와 추배(趨拜)하는 것을 윤허하지 않았고, 그가 뉘우치고 깨닫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조회에 나오도록 허락하였다.
티에우찌 7년(1847년), 행동거지가 이지러졌으므로 '''기내후'''(畿內侯)로 강봉되었다.
뜨득 7년(1854년), 원래의 작위를 회복하였다.
뜨득 28년(1875년), 프랑스의 사절이 뜨득 황제를 알현하였는데, 이때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않았으므로 그 벌로 녹봉을 1년 삭감하였다. 그해 추향(秋饗)을 할 때 뜨득이 그로 하여금 대신 제사를 지내게 했는데, 이때 백의(白衣)를 입고 나왔으므로 예부(禮部)에서 이를 적발하였다. 이에 '''진정향후'''(鎭靖亭侯)로 강봉되었다.
뜨득 31년(1878년), 뜨득의 오십대수(五十大壽)를 맞아 은혜를 더하여 군공의 작위가 회복되었다.
함응이 원년 음력 1월 23일(1885년 3월 9일), 사망하니 향년 57세였다. 시호를 '''공량'''(恭亮)이라고 하였고,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사(楊春社)에 장사지냈다.[1] 흐엉짜현 푸쑤언총(富春總) 쑤언즈엉사(春陽社)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응우옌푹미엔전은 민망 10년(1829년 4월 18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2] 어려서 성격이 교만하고 횡포하여 여러 차례 가법(家法)을 위반하여 민망의 질책을 받았다.[2] 민망 21년(1840년) 음력 4월에 '''진정군공'''(진정군공/Trấn Tĩnh Quận Côngvi)에 봉해졌다.[2]2. 2. 방탕한 생활과 뉘우침
응우옌푹미엔전은 출부(出府)한 뒤로부터 사방을 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2] 티에우찌 황제는 그의 행동을 꾸짖고, 뉘우칠 때까지 조회에 나오는 것을 금지하였다.[2]2. 3. 작위 강등과 회복
응우옌푹미엔전은 민망 10년(1829년 4월 18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교만하고 횡포한 성격으로 여러 차례 가법을 위반하여 민망의 질책을 받았다.[2] 민망 21년(1840년) 4월, 진정군공(鎭靖郡公)에 봉해졌으나,[2] 출부 이후 방탕한 생활을 하여 티에우찌 황제의 질책을 받았다.티에우찌 7년(1847년), 행동거지가 이지러져 기내후(畿內侯)로 강봉되었다.[2] 뜨득 7년(1854년), 원래의 작위를 회복하였으나, 뜨득 28년(1875년) 프랑스 사절 알현 시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않아 녹봉 삭감 및 진정향후(鎭靖亭侯)로 강봉되었다.[2] 뜨득 31년(1878년), 뜨득 황제의 오십대수를 맞아 군공의 작위가 회복되었다.[2]
2. 4. 사망
함응이 원년(1885년) 음력 1월 23일(1885년 3월 9일)에 5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시호는 공량(恭亮)이며,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 즈엉쑤언사에 장사지냈다.[1] 흐엉짜현 푸쑤언총 쑤언즈엉사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3. 가족 관계
3. 1. 부인
장혜숙인(莊惠淑人) 호앙씨(黃氏)와 부첩(府妾) 쩐티디에우(陳氏條)가 있다.3. 2. 자녀
응우옌푹미엔전은 아들 15명과 딸 9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우(羽)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넷째 응우옌푹홍한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이다. 기외후를 습봉하였고, 병부참지와 꽝찌순무를 역임하였다.
- 응우옌푹홍쩌우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
- 응우옌푹홍피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
3. 2. 1. 아들
- 넷째 응우옌푹홍한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이다. 기외후를 습봉하였고, 병부참지와 꽝찌순무를 역임하였다.
- 응우옌푹홍쩌우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
- 응우옌푹홍피 - 장혜숙인 호앙씨 소생
참조
[1]
서적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2]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2기(第二紀) 권212(卷二百一十二) 明命二十一年四月 冊封皇子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