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턴 (181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턴은 1817년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 학문과 품행이 우수했다. 1840년 의화군공에 봉해졌고, 뜨득 황제는 그의 나이와 덕망을 고려하여 조회 때 추배를 면하게 했다. 1878년 사망하여 공량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트어티엔성에 장사지냈다. 슬하에 11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황족 - 응우옌푹미엔전
응우옌푹미엔전은 1829년에 태어나 1885년에 사망한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진정군공에 봉해졌으나 작위가 강등되기도 했고, 작위 회복과 강등을 반복하다가 57세에 사망하여 공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응우옌 왕조의 황족 - 응우옌푹미엔호앙
응우옌푹미엔호앙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민망 황제의 아들이자 건풍군공이며, 학문을 좋아하고 1852년에 건풍군공에 봉해졌으며 1888년에 사망했다. - 1878년 사망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 1878년 사망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1817년 출생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817년 출생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응우옌푹미엔턴 (1817년) | |
---|---|
기본 정보 | |
![]() | |
휘 | 응우옌푹미엔턴(Nguyễn Phúc Miên Thần, 阮福綿宸) |
생애 | 1817년 ~ 1870년 |
자 | 경보(景甫) |
시호 | 단숙(端肅) |
봉작 | 상수공(常 Suất 公) |
가계 | |
출생 | 1817년 음력 8월 21일 |
사망 | 1870년 음력 5월 16일 (향년 54세) |
부황 | 민망 황제 |
모후 | 귀빈(貴嬪) 호티투옌(胡氏uyên, Hồ Thị Tuyên) |
배우자 | 레티응옥반(Lê Thị Ngọc Vấn, 黎氏玉暈) 응우옌티딘(Nguyễn Thị Đĩnh, 阮氏ĩnh) |
자녀 | 7남 9녀 |
2. 생애
자롱 16년 음력 1월 1일(1817년 2월 16일) 원단,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지선당(止善堂)에 형제들과 함께 입학하였는데, 학문과 품행이 우수하였다.
민망 21년(1840년) 음력 11월, '''의화군공'''()에 봉해졌다.[2]
뜨득 18년(1865년), 뜨득 황제가 그가 나이가 많고 덕이 중하다 하여 평상시 조회 때의 추배(趨拜)를 면하게 하였다.
뜨득 31년 음력 9월 12일(1878년 10월 7일), 사망하니 향년 62세였다. 시호를 '''공량'''(恭亮)이라 하였고,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에 장사지냈다.[1] 푸방현 즈엉노총(楊弩總) 남푸사(南浦社) 트엉잡(上甲)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2. 1. 출생과 성장
응우옌푹미엔턴은 자롱 16년 음력 1월 1일(1817년 2월 16일) 원단에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지선당(止善堂)에 형제들과 함께 입학하였는데, 학문과 품행이 우수하였다. 민망 21년(1840년) 음력 11월에는 '''의화군공'''()에 봉해졌다.[2] 뜨득 18년(1865년)에는 뜨득 황제가 그의 나이가 많고 덕이 중하다 하여 평상시 조회 때의 추배(趨拜)를 면하게 하였다.2. 2. 관직 생활
응우옌푹미엔턴은 자롱 16년 음력 1월 1일(1817년 2월 16일) 원단에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2] 어릴 때 지선당(止善堂)에 형제들과 함께 입학하였는데, 학문과 품행이 우수하였다.민망 21년(1840년) 음력 11월에 '''의화군공'''(응이호아군공/Nghi Hòa Quận Côngvi)에 봉해졌다.[2]
뜨득 18년(1865년)에는 뜨득 황제가 그의 나이와 덕망을 고려하여 평상시 조회 때의 추배(趨拜)를 면하게 하였다.
뜨득 31년 음력 9월 12일(1878년 10월 7일)에 사망하였으며, 향년 62세였다. 시호는 '''공량'''(恭亮)이며,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에 장사지냈다.[1] 푸방현 즈엉노총(楊弩總) 남푸사(南浦社) 트엉잡(上甲)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2. 3. 사망
자롱 16년(1817년) 음력 1월 1일 설날,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지선당(止善堂)에서 형제들과 함께 입학하여 학문과 품행이 우수하였다. 민망 21년(1840년) 음력 11월, 의화군공(宜禾郡公)에 봉해졌다.[2]뜨득 18년(1865년), 뜨득 황제는 그가 나이가 많고 덕이 중하다 하여 평상시 조회 때의 추배(趨拜)를 면하게 하였다. 뜨득 31년(1878년) 음력 9월 12일, 사망하니 향년 62세였다. 시호를 공량(恭亮)이라 하였고,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끄찐총(居正總)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에 장사지냈다.[1] 푸방현 즈엉노총(楊弩總) 남푸사(南浦社) 트엉잡(上甲)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3. 가족
응우옌푹미엔턴은 아들 11명과 딸 3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족(足)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 여덟째 응우옌푹홍떼(阮福洪躋)는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 응우옌푹홍뉴(阮福洪蹂)는 의화정후(宜禾亭侯)를 습봉하였다.
응우옌푹미엔턴의 아들 응우옌푹응뚜언(阮福膺𨀴)은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
3. 1. 아들
- 여덟째 응우옌푹홍떼(阮福洪躋)는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 응우옌푹홍뉴(阮福洪蹂)는 의화정후(宜禾亭侯)를 습봉하였다.
3. 2. 손자
응우옌푹미엔턴의 아들 응우옌푹응뚜언(阮福膺𨀴)은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참조
[1]
서적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2]
서적
《[[대남식록]]》정편(正編) 제2기(第二紀) 권219(卷二百十九) 明命二十一年十一月 晉封皇七子綿宸為宜禾郡公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