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은 조선 현종 9년(1668년)에 왕이 원로대신 이경석(1595~1671)에게 내린 물품과 이를 기념하는 행사 장면을 담은 유물입니다. 1987년 12월 26일에 보물 제930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에 보물로 재지정되었습니다. 현재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구성:
- 궤(几): 앉을 때 사용하는 의자로, 높이 93㎝, 폭 77.4㎝입니다. 평상시에는 접어둘 수 있으며, 앉는 곳은 튼튼한 노끈으로 X자 모양으로 엮여 있습니다.
- 장(杖): 지팡이 4점으로, 새 머리가 조각된 지팡이, 칼이 들어 있는 지팡이, 삽 모양의 지팡이 2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삽 모양의 지팡이는 농경사회에서 치수를 담당하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살포'로, 농사에 사용되는 도구이자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 사궤장 연회도 화첩(賜几杖宴會圖畵帖): 궤장을 하사받는 절차와 연회 장면을 그린 화첩입니다.
- 지영궤장도(祗迎几杖圖): 교서와 궤장을 싣고 온 행렬이 이경석의 집으로 들어가는 장면을 그린 그림입니다.
- 선독교서도(宣讀敎書圖): 교서를 낭독하고 궤장을 전달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입니다.
- 내외선온도(內外宣醞圖): 의식이 끝난 후 연회를 거행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입니다.
- 화첩에는 이 외에도 남이성(南二星)이 지은 사궤장교서 및 좌목, 연회 참석자들의 시, 참석하지 못한 친지들이 보낸 축시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역사적 의의:
- 조선시대에는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사람에게 궤장을 내려 예우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 유물은 이러한 풍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 궤장과 함께 하사된 삽 모양의 지팡이(살포)는 농경 사회에서 지도자와 통솔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도구로서,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합니다.
- 화첩에 담긴 그림들은 당시의 행사 장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궁중 회화의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국가 | 대한민국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930 |
| 지정일 | 1987년 12월 26일 |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 시대 | 조선시대 |
| 소유자 | 이완주 |
| 수량 | 2종 6점 |
| 관련 기관 | 경기도박물관 |
| 상세 정보 | |
| 문화재청 정보 | |
| 문화재청 ID | 12,09300000,3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