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우 (193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양우는 1932년 출생으로, 서울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중퇴한 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해병대 법무감, 해군 군법무관,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역임하고 해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이후 변호사로 개업하여 제10대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한에콰도르 의원 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당선되었고,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로 재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법제처장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대한민국의 법제처장 - 송종의
송종의는 1941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의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검사로 재직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밤나무 심기, 천고법치문화재단 설립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인혁당 사건, 민청학련 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결재, 형제복지원 사건 조사 거부 등 여러 논란에도 연루되었다. - 서울공업고등학교 동문 - 추재엽
추재엽은 국군보안사령부 중사 전역 후 대공수사관, 서울특별시의회 전문위원을 거쳐 한나라당 및 무소속으로 양천구청장에 세 번 당선되었으나, 보안사 재직 시절 민간인 고문 사실이 인정되어 구청장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울공업고등학교 동문 - 신태악
신태악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활동하며 3·1 운동 참여, 변호사 활동, 친일 행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조사,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 해군사관학교 동문 - 황기철
황기철은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군작전사령관, 해군참모총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아덴만 여명 작전을 지휘하여 보국훈장을 받았으며, 국가보훈처장을 역임 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 해군사관학교 동문 - 윤광웅
해군사관학교 출신으로 해군 주요 보직을 거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윤광웅은 노무현 정부에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추진했으나 연천군부대 총기난사 사건과 북한 핵실험으로 논란을 겪고 사임 후 대한민국해양연맹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재임 시절 국군기무사령부의 불법 도청 사실이 드러났다.
| 이양우 (193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양우 |
| 원어명 | 李亮雨 |
| 로마자 표기 | I Yang-u |
| 출생일 | 1932년 10월 5일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정치인 |
| 경력 | 제13대 법제처장, 제10·11대 국회의원 |
2. 학력
3. 경력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3학년까지 다니다 중퇴하고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해병대 법무감, 해군 군법무관,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역임하고 해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변호사로 개업했으며, 제10대 법제처장(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25일)을 역임하였다. 국회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한-에콰도르 의원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3. 1. 군 경력
서울대학교를 3학년까지 다니다 중퇴하고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해병대 법무감, 해군 군법무관 및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역임했다. 해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1]3. 2. 법조 경력
서울대학교 3학년을 중퇴하고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해병대 법무감, 해군 군법무관,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역임했다. 해군 준장으로 예편한 후 변호사로 개업했다. 제10대 법제처장(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25일)을 역임하였다.[1]3. 3. 정치 경력
이양우는 서울대학교 3학년 중퇴 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해병대 법무감, 해군 군법무관 및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역임하고 해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변호사로 개업했으며, 국회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한에콰도르 의원 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통일주체국민회의 지명) 및 제11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전국구 32번)을 역임하였다.
4. 역대 선거 결과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6-15
[2]
웹사이트
11代(대) 國會議員(국회의원) 276명의 얼굴들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3-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