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턴스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 턴스틸은 논리학에서 모델 구조와 문장 집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특정 문장 집합의 충족 가능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충족 가능성은 모델 구조가 주어진 문장 집합의 모델이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항진명제는 이중 턴스틸 기호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기호는 의미론적 귀결, 충족 가능성, 항진명제 등의 개념을 표현하는 데 활용되며, 유니코드에서는 U+21C4로, LaTeX에서는 `turnstile` 패키지 또는 `\models` 명령어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리 기호 - 화살표
화살표는 방향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과거에는 물의 흐름이나 군대 이동을 나타냈지만 현재는 표지판, 수학, 논리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유니코드에는 다양한 형태의 화살표 기호들이 정의되어 있다. - 논리 기호 - 논리 연산
논리 연산은 논리적 명제를 조작하고 결합하는 연산으로, 연산 법칙을 따르고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컴퓨터 과학, 집합론,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논리적 귀결 - 추론
추론은 하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 과정으로, 논리학에서는 전제와 결론 간의 관계를 통해 정확성을 판단하며, 연역 추론, 귀납 추론, 가추법 등으로 나뉘고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논리적 귀결 - 정리
정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공리를 바탕으로 증명된 참인 명제로서, "만약 A이면 B이다" 형태의 가정적 조건문으로 표현되며, 수학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수학에서의 엄밀한 증명과는 차이가 있다. - 수학 기호 - 프라임 (기호)
프라임(′)은 숫자나 문자 등에 붙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호로, 단위, 각도, 수학, 물리학 등에서 다양한 의미로 활용되며, 발음 또한 다양하다. - 수학 기호 - 존재 양화사
존재 양화사는 형식 논리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리 논리학에서는 기호 ""를 사용하여 변수가 특정 집합에 속하면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나타내며, 존재 일반화, 존재 제거 등의 추론 규칙과 관련이 있고, 담화 영역에 따라 진술의 참과 거짓이 달라질 수 있으며, 존재 양화된 명제 함수의 부정은 해당 명제 함수의 부정의 전칭 양화와 논리적으로 동치이다.
이중 턴스틸 |
---|
2. 의미
이중 턴스틸 기호()는 논리학에서 사용되는 이진 관계 기호로, 여러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주요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의미론적 귀결: 문장들의 집합(Γ)이 특정 문장(φ)을 논리적으로 함축함을 나타낸다 (). 즉, Γ의 모든 문장이 참이면 φ도 반드시 참임을 의미한다.
- 충족: 특정 모델 구조()가 문장들의 집합()을 만족시킴을 나타낸다 (). 이는 해당 구조가 문장 집합에 대한 모델임을 의미한다.[2]
- 항진명제: 어떤 문장(φ)이 모든 가능한 해석에서 참임을 나타낸다 (). 이는 해당 문장이 공집합의 의미론적 귀결임을 뜻한다.
- 함축하지 않음: 기호 위에 슬래시를 그어 만든 ⊭는 '함축하지 않음'이라는 명제를 나타낸다.
2. 1. 의미론적 귀결
이중 턴스틸 기호()는 여러 의미 중 하나로 의미적 귀결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문장들의 집합과 단일 문장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이진 관계이다.구체적으로, 기호의 왼쪽에 문장들의 집합(Γ)을, 오른쪽에 하나의 문장(φ)을 두어 와 같이 표기한다. 이는 Γ에 속하는 모든 문장이 참일 경우, φ 역시 반드시 참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사용은 구문적 귀결을 나타내는 턴스틸 기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2. 충족 가능성
이중 턴스틸 기호()는 충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때 기호의 왼쪽에는 모델 구조 또는 진리 구조()를, 오른쪽에는 문장들의 집합()을 쓴다. 이는 해당 구조()가 문장 집합()의 모델임을 나타낸다. 즉, 문장 집합이 모델 구조와 잘 맞는다는 의미이다 (예: ). 일반적으로 이는 각 변수 기호를 모델 구조 안의 값에 대응시키는 함수인 '변수 할당'의 범위를 제한하며 T-스키마에 따라 귀납적으로 수행된다.[2]2. 3. 항진명제
항진명제를 나타내기 위해 와 같이 사용한다. 이는 표현식 가 공집합의 의미론적 귀결임을 의미한다.2. 4. 함축하지 않음
이중 턴스틸 기호()에 슬래시(/)를 그어 만든 ⊭ 기호는 '함축하지 않는다'는 명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 구문
이중 턴스틸 기호(⊨)는 컴퓨터 환경에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과 표준에서 특정 구문이나 코드를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문서 조판 시스템인 TeX과 LaTeX, 그리고 문자 인코딩 표준인 유니코드에서 이 기호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 환경에서의 구체적인 사용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TeX
TeX에서는 턴스틸 기호 (TRUE)와 를 각각 `\vDash
`와 `\models
` 명령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이 기호는 유니코드에서 U+22A8 (TRUE)로 인코딩되어 있으며, 논리적 부정을 나타내는 반대 기호는 U+22AD (NOT TRUE)이다.
LaTeX 환경에서는 추가적으로 [https://www.ctan.org/tex-archive/macros/latex/contrib/turnstile turnstile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패키지는 이중 턴스틸을 포함한 다양한 턴스틸 기호를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며, 기호 위나 아래에 레이블을 정확한 위치에 추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패키지 사용법에 대한 튜토리얼은 [https://www.tug.org/pracjourn/2007-3/buchsbaum 논리학자를 위한 도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2.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이중 턴스틸 기호 ⊨는 코드 포인트 U+22A8에 'TRUE'라는 이름으로 인코딩되어 있다. 이 기호의 반대 기호인 ⊭는 코드 포인트 U+22AD에 'NOT TRUE'라는 이름으로 인코딩되어 있다.3. 3. LaTeX
TeX에서는 턴스틸 기호 ⊨와 를 각각 `\vDash`와 `\models` 명령어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LaTeX에서는 [http://www.ctan.org/tex-archive/macros/latex/contrib/turnstile turnstile 패키지]를 이용하여 이중 턴스틸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턴스틸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패키지는 기호의 위나 아래에 원하는 레이블을 정확한 위치에 넣는 기능도 제공한다. 패키지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www.tug.org/pracjourn/2007-3/buchsbaum 논리학자를 위한 도구]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참고로 이중 턴스틸 기호는 유니코드에서 U+22A8 (TRUE)로 정의되어 있으며, 반대 의미의 기호는 U+22AD (NOT TRUE)이다.
참조
[1]
서적
Logical Reasoning: A First Course
King's College Publications
[2]
문서
First-order logic
https://builds.openl[...]
Open Logic Project
2022-01-04
[3]
서적
Logical Reasoning: A First Course
King's College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