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현보 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현보 초상(李賢輔 肖像)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 작가인 농암 이현보(1467∼1555)의 초상화입니다. 1986년 10월 15일 보물 제872호로 지정되었으며,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제작 시기 및 작가:


  • 이현보가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하던 1536년(중종 31)에 팔공산 동화사의 승려 화가인 옥준상인(玉埈上人)이 그린 것으로 전해집니다.

형태 및 구성:

  • 전체 크기: 202x126.5cm, 화면 크기: 145.5x112.5cm.
  • 서안(書案)을 앞에 두고 가부좌를 한 전신 좌상입니다.
  • 붉은 무관복을 입고, 머리에는 평량자(平凉子)를 썼으며, 허리에는 서대(犀帶)를 두르고 있습니다.
  • 얼굴은 큼직큼직한 이목구비와 세선(細線)으로 묘사되어, 캐리커처 같은 만화적 표현이 특징입니다.
  • 옷의 윤곽과 주름은 짙은 홍색 선에 금색 선이 덧대어져 깊이감을 더합니다.
  • 인물 앞에 놓인 서안과 벼루집, 서책은 역원근법적으로 표현되어 초상과 시점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특징:

  •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흔히 손을 감추는 것과 달리, 이현보 초상은 두 손을 모두 드러내고 있습니다. 오른손에는 불자(拂子)를 들고, 왼손은 허리의 서대를 쥐고 있는 모습입니다.
  • 전체적으로 불화(佛畵)적인 기법이 엿보입니다.
  • 1827년(순조 27)에 이재관이 모사한 별본영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3호)이 함께 전해지고 있습니다.

의의 및 평가:

  • 얼굴과 옷 주름을 단조로운 선으로 표현하는 옛 기법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 16세기의 초상화가 드물게 남아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 이현보의 자유롭고 활달한 성품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현보 초상화는 단순한 인물 묘사를 넘어, 제작 당시의 화풍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이현보 초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현보 초상
이름이현보 초상 (李賢輔 肖像)
유형보물
지정 번호872
지정일1986년 10월 15일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이성원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수량1폭
문화재청 ID12,08720000,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