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훈구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초기, 그리고 4·19 혁명 이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수원농림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도쿄 제국대학, 미국 캔자스주립농과대학, 위스콘신주립대학에서 수학했다. 금릉대학 교수, 숭실전문학교 교수, 조선일보 주필 겸 부사장, 미군정청 노무부장, 제헌 국회의원, 단국대학교 학장, 성균관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4·19 혁명 이후 민주사회당을 창당하여 위원장을 지냈으며 초대 참의원에 당선되었다. 저서로는 《조선농업론》, 《만주(滿洲)와 조선인(朝鮮人)》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국대학교 학장 - 윤택중
윤택중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제2대, 제4대,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문교부 장관을 지냈으며,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민주화 및 통일 운동, 민족사 연구 및 교육에 기여했다. - 단국대학교 학장 - 장도빈
일제강점기 언론인이자 역사학자, 교육자였던 장도빈은 《대한매일신보》 논설위원으로 항일 의식을 고취하고 역사 연구로 식민사관에 맞섰으며, 광복 후에는 《민중일보》를 창간하고 단국대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학장을 지냈다. - 성균관대학교 총장 - 장을병
장을병은 성균관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와 총장을 지낸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으로, 15대 국회의원, 통합민주당 공동대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1980년 신군부 강제 해직 사건은 민주화 운동 시기 교수 사회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 성균관대학교 총장 - 황산덕
황산덕은 1917년 출생하여 법학을 전공하고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성균관대학교 총장과 법무부 장관, 문교부 장관을 지낸 법학자이다. - 단국대학교 - 김학준 (1943년)
정치학자 김학준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정치학 석,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가인 김병로 평전』, 『북한의 역사』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등을 수상하고 제1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단국대학교 -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독립운동가 장형 선생의 교육이념과 조희재 여사의 재산 희사를 바탕으로 1947년 설립된 단국대학의 역사를 잇는 고등학교로, 1983년 서울 대치동에 개교하여 교육 환경 개선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며 2022년 2월 현재 21,18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훈구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이훈구 |
출생 | 1949년 11월 27일 |
출생지 | 경기도 김포군 (現 김포시) |
사망 | 2024년 5월 29일 (향년 74세) |
본관 | 양성 이씨 |
배우자 | 김경희 |
자녀 | 2남 |
학력 | 김포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주요 경력 | 제3대 서울특별시 양천구청장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양천구 (갑) 지구당 위원장 한나라당 중앙당 민원국 국장 대한민국 국무총리 행정조정실 규제개혁 심의관 서울특별시 강서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청 기획조정실 법무담당관 |
수상 | |
수상 내역 | 홍조근정훈장 |
2. 생애
이훈구는 수원농림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일본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에서 수학한 후 미국 유학을 떠나 여러 대학에서 농업경제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0년 중국 난징의 금릉 대학 교수로 부임했다가 귀국, 숭실전문학교 교수, 조선일보사 주필 겸 부사장 등을 역임했다. 공주영명학교 교사와 미국 농무부에서도 일했다.
광복 후에는 미군정청 노무부장, 제헌 국회의원, 단국대학교 학장, 성균관대학교 총장 등을 지냈다. 4·19 혁명 이후에는 민주사회당을 창당하고 초대 참의원의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조선농업론》, 《만주와 조선인》이 있다.
2. 1. 학력 및 초기 활동
수원농림전문학교를 거쳐 1924년 일본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 농학과에서 3년간 수료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1927년 캔자스주립농과대학 대학원을 수료하고 위스콘신주립대학에서 농업경제학 전공으로 PHID 학위를 받았다.1930년 난징 금릉 대학(金陵大學) 교수가 되고, 이듬해 귀국하여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로 농과과장을 지냈다. 1938년 조선일보사 주필 겸 부사장이 되었다. 공주영명학교 교사와 미국 농무부 농업경제국 촉탁직으로도 일했다.
2. 2. 광복 이후 정치 활동
1945년 광복 후 미군정청 노무부장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단국대학교 학장과 성균관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민주사회당(民主社會黨)을 창당하여 위원장이 되었고, 초대 참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3.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48년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1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 | 무소속 | 17,535표 | 34.16 | 1위 | 당선 | 초선 |
1950년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2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 | 대한노동당 | 13,744표 | 27.02 | 2위 | 낙선 | |
1954년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3대 | 국회의원 | 충남 서천군 | 무소속 | 14,470표 | 28.52 | 2위 | 낙선 | |
1960년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5대 | 참의원 | 충청남도 제2부 | 사회대중당 | 146,059표 | 14.69 | 2위 | 당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