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평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평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성왕후의 딸로, 고려 덕종과 정종의 동생이며 고려 문종의 왕비이다. 안산 김씨이며, 원래는 개성 왕씨였다. 문종과는 이복 남매 간의 혼인이자 모계 4촌 간의 혼인을 하였는데, 이는 왕실의 단결을 강화하기 위한 현종의 정책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고려사》에는 현종의 딸이라는 사실 외에는 기록이 없으며, 생몰년과 능에 대한 정보도 전해지지 않는다. 문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으며, 시호는 인평왕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 김씨 - 김명국 (조선)
김명국은 1600년에 태어나 도화서 소속으로 활동하며 개성적인 화풍을 보여준 조선 시대의 화가로, 인조 대에 일본 통신사에 참여하고 창경궁 수리를 이끌었으며 불교적 주제의 인물화와 독특한 풍경화를 그렸다. - 안산 김씨 - 김용채
김용채는 대한민국 국회의원과 노원구청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효사왕후
효사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혜왕후의 딸이자 덕종의 왕후로, 문종의 동복 누이이며 덕종과는 이복 남매이자 외사촌 관계이고, 본래 왕씨였으나 외조모의 성을 따라 김씨로 바꾸었으며, 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고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인평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후 |
배우자 | 문종 |
사후 칭호 | 인평(仁平, "자애롭고 평화로운") |
가문 | |
본관 (공식) | 안산 김(安山 金) |
왕가 (혈통 및 혼인) | 왕(王) |
생애 |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매장지 | 미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현종 |
어머니 | 원성왕후 |
남편 | 문종 |
자녀 | 없음 |
재위 | |
기간 | 미상 |
이전 | 용목왕후 |
이후 | 인예왕후 |
종교 | |
종교 | 불교 |
2. 가계
인평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성태후의 딸로, 고려 덕종, 정종의 여동생이자 경숙공주의 언니이다. 이복 오빠인 고려 문종과 혼인하였으나 자녀는 없었다.
2.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현종 | 992년 - 1031년 | 고려 제8대 왕 (재위: 1009년 - 1031년) |
어머니 | 원성왕후 | 생몰년 미상 | |
오빠 | 덕종 | 1016년 - 1034년 |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년 - 1034년) |
오빠 | 정종 | 1018년 - 1046년 |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4년 - 1046년) |
여동생 | 경숙공주 | 생몰년 미상 | |
남편 | 문종 | 1019년 - 1083년 |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년 - 1083년), 슬하에 자녀 없음 |
2. 2. 혼인 관계
문종과 인평왕후의 혼인은 이복남매 간의 혼인이자 모계 4촌 간의 혼인으로, 당시 고려 왕실의 특이한 혼인 풍습을 보여준다. 이는 현종이 김은부의 세 딸을 모두 왕비로 맞아들이고 그 자녀들을 서로 혼인시켜 나타난 현상이며, 왕실의 단결을 강화하기 위한 혼인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근친혼이 고려 왕실의 혈통을 유지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3. 생애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의 딸로, 덕종, 정종과는 동복 남매이며, 문종과는 이복 남매이다. 본관은 안산이며, 어머니의 성씨를 따라 김씨가 되었다.
인평왕후와 문종의 혼인은 이복남매이자 모계 4촌 간의 혼인으로, 김은부의 세 딸을 모두 왕비로 맞이한 현종과 그 자녀들의 혼인으로 인해 왕실의 단결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3]
《고려사》〈열전〉에는 현종의 딸이라는 기록 외에 인평왕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생몰년, 능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으며, 문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시호는 인평왕후(仁平王后)이다.
3. 1. 출생과 가계
본관은 안산이며, 원래는 개성 왕씨이다.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의 딸로, 덕종, 정종과는 동복 남매이며, 남편 문종과는 이복 남매 간이다. 김씨 성은 어머니의 성씨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3. 2. 왕후 시절
인평왕후는 문종의 정비였으나, 《고려사》에는 현종의 딸이라는 사실 외에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그녀의 생몰년 및 능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으며, 남편 문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시호는 인평왕후(仁平王后)이다.[3]참조
[1]
서적
朝鮮の通過儀礼
国書刊行会
[2]
서적
朝鮮近代家族法史研究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평왕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