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이맘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곱이맘파는 시아 이슬람의 한 분파로, 무하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를 초대 이맘으로 시작하여 7명의 이맘만을 인정한다. 이들은 무하마드 이븐 자파르를 마지막 이맘으로 여기며, 그 이후의 이맘을 인정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일곱이맘파는 파티마 왕조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8대부터 11대까지의 이맘들을 인정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마일파 - 환생
환생은 죽음 이후 영혼, 정신, 의식 등이 다시 태어난다는 믿음으로, 힌두교, 불교 등 주요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도 나타난다. - 이스마일파 - 카르마트파
카르마트파는 티베트 불교 까귀파의 한 분파로, 활불로 여겨지는 카르마파가 정신적 지도자이며,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종파이나 겔룩파의 탄압을 받기도 했고, 현재 17대 카르마파가 분열되어 논란이 있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일곱이맘파 | |
---|---|
개요 | |
이름 | 십이자 이맘파에 대항하는 칠이자 이맘파 |
다른 이름 | Sab'iyya (세베너) Sevener |
어원 | 일곱을 의미하는 아랍어 "سبعية" (sabʿiyya)에서 유래 |
설명 | 이스마일파의 한 분파로,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Muhammad ibn Isma'il)을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이맘으로 인정하며, 그의 후손을 통해 이맘직이 이어져 간다고 믿는다.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자파르 알사디크의 아들인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의 후계 문제에서 비롯됨. |
분열 | 이스마일의 죽음 이후, 그의 아들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 알사디크를 따르는 무리와 무사 알카딤을 따르는 무리로 나뉨. |
발전 | 9세기 후반에 활동한 카르마티아인들이 칠이자 이맘파의 교리를 따름. |
쇠퇴 | 파티마 왕조의 등장과 함께 그 세력이 약화됨. |
교리 | |
이맘 |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로부터 시작하여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 알사디크로 이어지는 일곱 명의 이맘을 인정. |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 그를 마지막 이맘으로 여기며, 그의 후손을 통해 이맘직이 계속된다고 믿음. |
신비주의 | 수피즘의 영향을 받아 신비주의적인 경향을 보임. |
바틴 | 꾸란의 숨겨진 의미 (바틴)를 해석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김. |
특징 | |
가나와 바틴 | 종교적 가르침의 외적 (자히르) 및 내적 (바틴) 의미를 강조. |
숫자 7의 중요성 | 이맘의 수와 관련된 숫자 7을 신성하게 여김. |
다른 이슬람 분파와의 관계 | 십이자 이맘파와 대립적인 관계를 가짐. |
영향 | |
이스마일파 | 이스마일파 내에서 다양한 분파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침. |
카르마티아인 | 9세기 후반, 칠이자 이맘파의 교리를 받아들여 정치적 세력을 형성함.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이스마일파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 알사디크 카르마티아인 파티마 왕조 다우디 보흐라 |
2. 역사적 배경
현재 일곱이맘파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작성된 원본 자료(source)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1. 시아파 분열과 일곱이맘파의 등장

2. 2. 파티마 왕조와의 관계
3. 역대 이맘
일곱이맘파는 7명의 이맘을 인정하며, 자세한 목록은 하위 섹션 "일곱이맘파 인정 이맘"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카르마트파를 비롯한 일부 일곱이맘파 분파는 마흐디 '''무하마드 이븐 이스마일''' 이후의 이맘들을 인정하지 않았고, 특히 이스마일파 파티마 왕조를 인정하지 않았다.[6][7] 이들이 인정하지 않은 이맘 목록은 하위 섹션 "일곱이맘파가 인정하지 않은 이스마일파 이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일곱이맘파 인정 이맘
아래는 일곱이맘파 이맘의 목록이다.[5]일곱이맘파 이맘 | 이름 | 기간 |
---|---|---|
1 |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무하마드의 사촌 겸 사위 | 632년 – 661년 |
2 | 하산 이븐 알리,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장남 | 661년 – 669년 |
3 | 후사인 이븐 알리,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차남 | 669년 – 680년 |
4 | 알리 이븐 후사인 자인 알-아비딘, 후사인 이븐 알리의 아들 | 680년 – 713년 |
5 | 무하마드 알-바키르, 알리 이븐 후사인 자인 알-아비딘의 장남 | 713년 – 733년 |
6 | 자파르 알-사디크, 무하마드 알-바키르의 장남 | 733년 – 765년 |
7 | 무하마드 이븐 자파르, 자파르 알-사디크의 장남 | 765년 – 775년 |
3. 2. 일곱이맘파가 인정하지 않은 이스마일파 이맘
카르마트파는 마흐디 이후 이스마일파 이맘의 적법성을 의심하며 파티마 왕조의 이맘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의 마흐디 재림에 대한 믿음을 굳게 지켰다.[4] 특히 일곱이맘파 중 까라미타계 집단들은 마흐디 '''무하마드 이븐 이스마일''' 이후로 아래의 이스마일파 이맘들을 인정하지 않았다.[6] 이들은 이스마일계 파티마 왕조를 인정하지 않았다.[7]이름 | 재위 기간 |
---|---|
아바둘라 이븐 무함마드 (아흐마드 알-와피) | 813년–829년 |
아흐마드 이븐 아바둘라 (무함마드 앗-타키) | 829년–840년 |
후세인 이븐 아흐마드 (라디 압둘라) | 840년–881년 |
압둘라 알-마흐디 빌라 (파티마 왕조의 창시자) | 881년–934년 |
참조
[1]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
서적
A History of God
Vintage
[3]
웹사이트
ʿABDALLĀH B. MAYMŪN AL-QADDĀḤ
http://www.iranicaon[...]
[4]
웹사이트
THE IMAMATE IN ISMAʿILISM
http://www.iranicaon[...]
[5]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https://books.google[...]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9-05-24
[6]
웹인용
ʿABDALLĀH B. MAYMŪN AL-QADDĀḤ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7]
웹인용
ISMAʿILISM xvii. THE IMAMATE IN ISMAʿIL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