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겔핑거 규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겔핑거 규칙은 의학 저널에 게재될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다른 매체를 통해 공개하는 것을 제한하는 관행이다. 이 규칙은 공중 보건,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 학술지와 저자의 권한, 학술지 독자 및 수익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는 옹호를 받는다. 반면, 동료 검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 공적 자금으로 수행된 연구의 대중 공개 지연, 연구자와 기자 간의 관계 악화, 의학 저널 외 적용 문제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료평가 - 학술지
    학술지는 특정 학문 분야의 연구 논문 등을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출판물로, 연구자들의 지식 공유 및 학문적 발전을 위한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자 저널 및 오픈 액세스 운동으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심사 과정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 동료평가 - 동료 평가
    동료 평가는 전문가들이 연구의 질을 높이고 오류를 찾아 저작물의 완성도를 높이는 평가 방식이지만, 심사 지연, 아이디어 도용, 심사자의 주관성 등의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하여 개선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 규칙 -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은 특정 분야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는 지침을 의미하며, 법률, 과학, 기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규칙 - 플레밍의 왼손 법칙
    플레밍의 왼손 법칙은 자기장 내 전류 도체가 받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으로,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사용하여 힘, 자기장,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전동기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 1969년 도입 - 팔콘 (마블 코믹스)
    팔콘은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로, 캡틴 아메리카의 오랜 파트너이자 흑인 슈퍼히어로로서 비행 능력, 격투술, 새와의 교감을 통해 범죄와 싸우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1969년 도입 - 그랜드마스터 (마블 코믹스)
    그랜드마스터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우주적 존재로, 빅뱅 이후 진화한 최초의 지적 종족 중 하나이며, 우주적 힘을 통해 현실 조작 능력을 갖고 우주적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잉겔핑거 규칙

2. 잉겔핑거 규칙의 옹호

잉겔핑거 규칙은 공중 보건,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 학술지 및 저자의 권한 보호, 학술지의 독자 및 수익 확보 등 여러 긍정적인 측면을 가진다.[1]

2. 1. 공중 보건 기여

잉겔핑거 규칙은 공중 보건에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첫째, 의학 저널에서 시작된 이 규칙은 공중 보건 자체에 도움이 된다.

  • 둘째, 이 규칙을 통해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가 보호받을 수 있다.
  • 셋째, 학술지(또는 저자)의 기득권과 권한이 보호받을 수 있다.
  • 넷째, 학술지가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실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학술지 독자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익이 보호된다.

2. 2.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 보호

잉겔핑거 규칙은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를 보호한다.[1]

2. 3. 학술지 및 저자의 권한 보호

잉겔핑거 규칙은 논문 심사 및 인증 체계를 보호하고,[1] 학술지 및 저자의 기득권과 권한을 보호한다.[1] 또한, 학술지가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실어 독자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이에 따른 수익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1]

2. 4. 학술지 독자 및 수익 확보

잉겔핑거 규칙을 통해 학술지는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싣게 됨으로써 독자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익을 보호받을 수 있다.[1]

3. 잉겔핑거 규칙의 비판

잉겔핑거 규칙은 여러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비판을 받는다.[1]


  • 동료 검증을 거친 논문이 과학적으로 더 신뢰할 만하다는 가정은 근거가 불분명하다.
  • 많은 의학 연구는 대중의 세금으로 지원되므로, 연구 결과를 대중에게 먼저 공개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연구 결과가 동료 검증을 거치는 동안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는 것이 늦춰질 수 있다.
  • 이 규칙은 연구자와 기자 간의 불신을 가중시켜 상호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 의학 저널이 아닌 다른 과학 저널에서는 이 규칙을 따를 필요가 없다.

3. 1. 잘못된 가정에 근거

잉겔핑거 규칙은 동료 검증을 거친 논문이 과학적으로 더 신뢰할 만하다는 잘못된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동료 검증을 거치지 않은 논문보다 동료 검증을 거친 논문이 과학적으로 더 믿을 만하다는 근거는 불분명하다.[1]

3. 2. 연구비 지원과 대중 공개

많은 의학·과학적 연구가 대중의 세금으로 지원된 연구비를 이용해 이뤄진다. 따라서 대중에게 먼저 공개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고, 동료 검증 과정을 반드시 사전에 거쳐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다.[1]

3. 3. 연구 결과 제공 지연

잉겔핑거 규칙에 따르면, 연구 결과가 동료 검증 과정을 거치는 시간만큼 일반 대중에게 늦게 제공될 수 있다. 많은 의학·과학적 연구가 대중의 세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대중에게 먼저 공개되는 것은 문제가 없으며 동료 검증 과정을 반드시 먼저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된다.[1]

3. 4. 연구자와 기자 간의 관계 악화

잉겔핑거 규칙은 연구자와 기자 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방해하고 불신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

3. 5. 의학 저널 외 적용 문제

잉겔핑거 규칙이 의학 저널에서 중요하다고 인정되더라도, 다른 일반적인 과학 저널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정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

참조

[1] 논문 Definition of "sole contribution" https://www.nejm.org[...] 1969-09
[2] 논문 Franz Ingelfinger's Legacy Shaped Biology Publishing
[3] 웹사이트 Ingelfinger rule definition http://www.medterms.[...] Medicine.net 2000-06-13
[4] 웹사이트 Selective Leaking — Breaking Ingelfinger's Rule http://schachtmanlaw[...] 2014-06-20
[5] 논문 It's Not Really the Relman Rule
[6] arXiv On the prevalence and scientific impact of duplicate publications in different scientific fields (1980-2007)
[7] 논문 COVID-19 impact on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2021-05-31
[8] 서적 Scholarship in the digital age: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MIT Press
[9] 논문 The Ingelfinger Rule Revisited 1991
[10] 간행물 Ingelfinger Over-Ruled: The Role of the Web in the Future of Refereed Medical Journal Publishing The Lancet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