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가락도마뱀붙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하위 속
- 2.1. 동남아잎가락도마뱀붙이속 (''Asaccus'')
- 2.2. 가르시아속 (''Garthia'')
- 2.3. 김노닥틸루스속 (''Gymnodactylus'')
- 2.4. 헤모드라콘속 (''Haemodracon'')
- 2.5. 호모노타속 (''Homonota'')
- 2.6. 잎가락도마뱀붙이속 (''Phyllodactylus'')
- 2.7. 필로페주스속 (''Phyllopezus'')
- 2.8. 프티오닥틸루스속 (''Ptyodactylus'')
- 2.9. 벽도마뱀붙이속 (''Tarentola'')
- 2.10. 순무꼬리도마뱀붙이속 (''Thecadactylus'')
- 3. 계통
- 참조
1. 개요
잎가락도마뱀붙이과는 도마뱀붙이류의 한 과로, 다양한 속과 종을 포함하며,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이 과에는 동남아잎가락도마뱀붙이속, 가르시아속, 김노닥틸루스속, 헤모드라콘속, 호모노타속, 잎가락도마뱀붙이속, 필로페주스속, 프티오닥틸루스속, 벽도마뱀붙이속, 순무꼬리도마뱀붙이속 등이 포함된다. 잎가락도마뱀붙이과는 카브라오야모리속과 자매군을 이루며, 부채도마뱀붙이속과 함께 분기군을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잎가락도마뱀붙이과 - 벽도마뱀붙이속
벽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과에 속하는 도마뱀붙이의 한 속으로,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는 여러 종과 아종을 포함하고, 카리브해, 아프리카,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한다.
잎가락도마뱀붙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유비와레야모리과 |
학명 | |
학명 | Phyllodactylidae |
명명자 | Gamble et al., 2008 |
하위 분류 | |
속 | 본문 참조 |
이미지 | |
![]() |
2. 하위 속
잎가락도마뱀붙이과에는 10속 166종이 속해 있다.[12]
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Asaccus | ![]() A. elisae | A. elisae | 딕슨 & S. 앤더슨, 1973 | 서남아시아 잎발가락 도마뱀붙이 | 19 |
Garthia | ![]() G. gaudichaudii | G. gaudichaudii | 도노소-바로스 & 반졸리니, 1965 | 칠레 점박이 도마뱀붙이 | 2 |
Gymnodactylus | ![]() G. geckoides | G. geckoides | 스픽스, 1825 | 맨발 도마뱀붙이 | 5 |
Haemodracon | ![]() H. 리베키 | H. 리베키 | 바우어, 굿 & 브랜치, 1997 | 2 | |
Homonota | ![]() H. 셉텐트리오날리스 | H. 호리다 | 그레이, 1845 | 점박이 도마뱀붙이 | 14 |
Phyllodactylus | ![]() P. 레인 | P. 풀체르 | 그레이, 1828 | 아메리카 잎발가락 도마뱀붙이 | 65 |
Phyllopezus | ![]() P. 폴리카리스 | P. 폴리카리스 | W. 페터스, 1877 | 8 | |
Ptyodactylus | ![]() P. 구타투스 | P. 하셀키스티 | 골트푸스, 1820 | 부채발가락 도마뱀붙이 | 12 |
Tarentola | ![]() T. 마우리타니카 | T. 마우리타니카 | 그레이, 1825 | 벽 도마뱀붙이 | 33 |
Thecadactylus | ![]() T. 솔리모엔시스 | T. 라피카우다 | 골트푸스, 1820 | 순무꼬리 도마뱀붙이 | 3 |
- 산발가락도마뱀붙이속 - 19종
- 부채발가락도마뱀붙이속 - 12종
- 벽발가락도마뱀붙이속 - 33종 (무어벽발가락도마뱀붙이, 헬멧도마뱀붙이)
- 가시피부도마뱀붙이속 - 14종 (가시피부도마뱀붙이)
- 발가락도마뱀붙이속 - 65종
2. 1. 동남아잎가락도마뱀붙이속 (''Asaccus'')
딕슨과 S. 앤더슨이 1973년에 아사쿠스 엘리사( ''F. 베르너'', 1895)를 기준종으로 하여 분류하였다.[4] 서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19종이 속해 있다.[12]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Asaccus | A. elisae | A. elisae | 딕슨 & S. 앤더슨, 1973 | 서남아시아 잎발가락 도마뱀붙이 | 19 |
2. 2. 가르시아속 (''Garthia'')
가르시아속(''Garthia'')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2종이 속해 있다. 칠레 점박이 도마뱀붙이라고도 불린다.[4]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Garthia | G. gaudichaudii | G. gaudichaudii | 도노소-바로스 & 반졸리니, 1965 | 칠레 점박이 도마뱀붙이 | 2 |
- Garthia gaudichaudii|가르시아 고디차우디la (칠레가르시아도마뱀붙이)
- Garthia penai|가르시아 페나이la (코킴보가르시아도마뱀붙이)
2. 3. 김노닥틸루스속 (''Gymnodactylus'')
스픽스가 1825년에 처음 기술했으며, 5종이 속해있다.[12]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4]학명 | 일반명 | 분포 지역 |
---|---|---|
Gymnodactylus amarali | 아마랄갈고리발가락도마뱀붙이 | |
Gymnodactylus darwinii | 다윈갈고리발가락도마뱀붙이 | |
Gymnodactylus geckoides | 회색갈고리발가락도마뱀붙이 | |
Gymnodactylus guttulatus | 에스피냐소갈고리발가락도마뱀붙이 | |
Gymnodactylus vanzolinii | 바이아갈고리발가락도마뱀붙이 |
2. 4. 헤모드라콘속 (''Haemodracon'')
소코트라 제도에 분포하며, 2종이 속해 있다.[12]종 | 학명 | 명명자 | 일반명 |
---|---|---|---|
1 | H. riebeckii | (W. 페터스, 1882) | 큰소코트라도마뱀붙이 |
2 | H. trachyrhinus | 바우어, 굿 & 브랜치, 1997 | 작은소코트라도마뱀붙이 |
2. 5. 호모노타속 (''Homonota'')
호모노타속(''Homonota'')은 그레이가 1845년에 명명하였으며, 기준종은 H. 호리다(부름마이스터, 1861)이다.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점박이 도마뱀붙이로도 불린다. 14종이 속해 있다.[12][4]
2. 6. 잎가락도마뱀붙이속 (''Phyllodactylus'')
Phyllodactylus (아메리카 잎발가락 도마뱀붙이)은 잎가락도마뱀붙이과에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65종 이상이 속해 있다.[12] 주로 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한다.[5]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Phyllodactylus | P. 레인 | P. 풀체르 | 그레이, 1828 | 아메리카 잎발가락 도마뱀붙이 | 65[12] |
2. 7. 필로페주스속 (''Phyllopezus'')
필로페주스속(''Phyllopezus'')은 W. 페터스가 1877년에 처음 기술하였으며, 기준종은 ''P. 폴리카리스'' (스픽스, 1825)이다.[12]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8종이 속해 있다.[5]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종 |
---|---|---|---|---|
Phyllopezus | P. 폴리카리스 | P. 폴리카리스 (스픽스, 1825) | W. 페터스, 1877 | 8 |
2. 8. 프티오닥틸루스속 (''Ptyodactylus'')
골트푸스가 1820년에 P. 하셀키스티(돈도르프, 1798)를 기준종으로 하여 프티오닥틸루스속(''Ptyodactylus'')을 명명했으며,[12] 부채발가락도마뱀붙이속이라고도 불린다. 12 종이 속해있다.[5]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Ptyodactylus | P. 하셀키스티 (돈도르프, 1798) | 골트푸스, 1820 | 부채발가락도마뱀붙이 | 12 |
2. 9. 벽도마뱀붙이속 (''Tarentola'')
벽도마뱀붙이속(''Tarentola'')은 지중해 연안, 카나리아 제도 등지에 분포하며, 33종이 속해 있다.[12] 무어벽발가락도마뱀붙이, 헬멧도마뱀붙이 등이 여기에 속한다.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Tarentola | T. 마우리타니카 | T. 마우리타니카 | 그레이, 1825 | 벽 도마뱀붙이 | 33 |
2. 10. 순무꼬리도마뱀붙이속 (''Thecadactylus'')
순무꼬리도마뱀붙이속(''Thecadactylus'')은 남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분포하며, 큰발가락도마뱀붙이라고도 불린다. 3종이 속해 있다.[12]속 | 그림 | 기준종 | 분류학자 | 일반명 | 종 |
---|---|---|---|---|---|
Thecadactylus | T. 솔리모엔시스 | T. 라피카우다 | 골트푸스, 1820 | 순무꼬리 도마뱀붙이 | 3 |
- 큰발가락도마뱀붙이속 - 3종
- 세인트마틴큰발가락도마뱀붙이
- 큰발가락도마뱀붙이
- 아마존큰발가락도마뱀붙이
3. 계통
잎가락도마뱀붙이과는 카브라오야모리속과 자매군을 형성하며, 이들은 다시 부채도마뱀붙이속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이룬다.[7][8] 벽도마뱀붙이속은 김노닥틸루스속, 필로페주스속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가르시아속, 호모노타속, 고리도마뱀붙이속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참조
[1]
Reptile Database
Reptile Database
http://reptile-datab[...]
[2]
논문
Out of the blue: A novel, trans-Atlantic clade of geckos (Gekkota, Squamata)
2008-07
[3]
논문
Phylogeny and cryptic diversity in geckos (Phyllopezus; Phyllodactylidae; Gekkota) from South America's open biomes
https://epublication[...]
2012
[4]
논문
Coming to America: Multiple Origins of New World Geckos
2011-02
[5]
웹사이트
Phyllodactylidae in reptile database
http://reptile-datab[...]
2024-10-29
[6]
서적
ヤモリ大図鑑 分類ほか改良品種と生態・飼育・繁殖を解説
誠文堂新光社
2020
[7]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8]
논문
Phylogeny and cryptic diversity in geckos (Phyllopezus; Phyllodactylidae; Gekkota) from South America’s open biomes
[9]
Reptile Database
Reptile Database
http://reptile-datab[...]
[10]
간행물
Out of the blue: a novel, trans-Atlantic clade of geckos (Gekkota, Squamata)
2008
[11]
간행물
Phylogeny and cryptic diversity in geckos (Phyllopezus; Phyllodactylidae; Gekkota) from South America's open biomes.
2012
[12]
간행물
Coming to America: Multiple origins of New World gecko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