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도마뱀붙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분류
- 2.1. 타렌톨라 알베르트슈바르츠키 (''Tarentola albertschwartzi'')
- 2.2.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Tarentola americana'')
- 2.3. 카나리아벽도마뱀붙이 (''Tarentola angustimentalis'')
- 2.4.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Tarentola annularis'')
- 2.5. 타렌톨라 보아비스타엔시스 (''Tarentola boavistensis'')
- 2.6. 타렌톨라 보카지 (''Tarentola bocagei'')
- 2.7. 모로코벽도마뱀붙이 (''Tarentola boehmei'')
- 2.8. 타렌톨라 뵈트게리 (''Tarentola boettgeri'')
- 2.9. 타렌톨라 비쇼피 (''Tarentola bischoffi'')
- 2.10. 타렌톨라 카보베르디아나 (''Tarentola caboverdiana'')
- 2.11. 투구머리도마뱀붙이 (''Tarentola chazaliae'')
- 2.12. 타렌톨라 크롬비아이 (''Tarentola crombiei'')
- 2.13. 타렌톨라 다르위니 (''Tarentola darwini'')
- 2.14. 타렌톨라 델라란디이 (''Tarentola delalandii'')
- 2.15. 타렌톨라 데제르티 (''Tarentola deserti'')
- 2.16.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Tarentola ephippiata'')
- 2.17. 타렌톨라 파시쿨라리스 (''Tarentola fascicularis'')
- 2.18. 타렌톨라 포고엔시스 (''Tarentola fogoensis'')
- 2.19. 타렌톨라 기가스 (''Tarentola gigas'')
- 2.20. 타렌톨라 고메렌시스 (''Tarentola gomerensis'')
- 2.21. 타렌톨라 호가렌시스(''Tarentola hoggarensis'')
- 2.22. 타렌톨라 마이오엔시스 (''Tarentola maioensis'')
- 2.23. 벽도마뱀붙이 (''Tarentola mauritanica'')
- 2.24. 타렌톨라 민디아이 (''Tarentola mindiae'')
- 2.25. 타렌톨라 네글렉타 (''Tarentola neglecta'')
- 2.26. 타렌톨라 니콜라우엔시스 (''Tarentola nicolauensis'')
- 2.27. 타렌톨라 파노우세이 (''Tarentola panousei'')
- 2.28. 타렌톨라 파르비카리나타 (''Tarentola parvicarinata'')
- 2.29. 타렌톨라 파스토리아 (''Tarentola pastoria'')
- 2.30.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Tarentola protogigas'')
- 2.31. 타렌톨라 라지아나 (''Tarentola raziana'')
- 2.32. 타렌톨라 루디스 (''Tarentola rudis'')
- 2.33. 타렌톨라 세네감비에 (''Tarentola senegambiae'')
- 2.34. 타렌톨라 서스티투타 (''Tarentola substituta'')
- 참조
2. 분류
다음 종과 아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식된다.[5]
- ''타렌톨라 알베르트슈바르츠키'' 스프랙클랜드 & 스위니, 1998 - 자메이카 거대 도마뱀붙이 (멸종되었을 가능성 있음)
-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그레이, 1831) - 아메리카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아메리카나'' (그레이, 1831)
-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워레니'' 슈바르츠, 1968 - 워렌의 아메리카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앙구스티멘탈리스'' 슈타인다흐너, 1891 - 카나리아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제프루아 생틸레르, 1827) - 띠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아눌라리스'' (제프루아 생틸레르, 1827)
-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렐릭타'' 요거, 1984
- ''타렌톨라 비쇼피'' Joger, 1984 - 비쇼프의 벽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보아비스타엔시스'' Joger, 1993 - 보아비스타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보카지'' 바스콘셀로스, 페레라, 제니에즈, 해리스 & 카란자, 2012 - 보카지의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뵈메이'' Joger, 1984 - 모로코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뵈트게리'' Steindachner, 1891 - 뵈트거의 벽 도마뱀붙이[6]
- *''타렌톨라 뵈트게리 뵈트게리'' Steindachner, 1891
- *''타렌톨라 뵈트게리 히에렌시스'' Joger & 비쇼프, 1983
- ''타렌톨라 카보베르디아나'' 슈라이히, 1984 - 카보베르데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차잘리에'' (모콰르, 1895) - 헬멧헤드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크롬비아이'' 디아스 & 헤지스, 2008- 크롬비의 벽 도마뱀붙이[6]
- ''타렌톨라 다르위니'' Joger, 1984 - 다윈의 벽 도마뱀붙이[6]
- ''타렌톨라 델라란디이'' (뒤메릴 & 비브롱, 1836) - 테네리페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데제르티'' 불렌저, 1891 - 사막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오쇼네시, 1875 - 아프리카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에피피아타'' 오쇼네시, 1875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니콜라우스'' Joger, 1984
- ''타렌톨라 파시쿨라리스'' (도댕, 1802) - 볼프강의 벽 도마뱀붙이, 무어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포고엔시스'' Vasconcelos, Perera, Geniez, Harris & Carranza, 2012 - 포고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기가스'' (보카지, 1875) - 거대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기가스 브랑코엔시스'' Schleich, 1984
- *''타렌톨라 기가스 기가스'' (보카지, 1875)
- ''타렌톨라 고메렌시스'' Joger & Bischoff, 1983 - 고메라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호가렌시스'' 베르너, 1937 - 아프리카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마이오엔시스'' Schleich, 1984 - 마이오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린네, 1758) - 무어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율리에'' Joger, 1984
-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마우리타니카'' (Linnaeus, 1758)
-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팔리다'' Geniez et al., 1999
- ''타렌톨라 민디아이'' S. 바하 엘 딘, 1997 - 카타라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네글렉타'' 스트라우흐, 1887 - 알제리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네글렉타 게이리'' Joger, 1984
- *''타렌톨라 네글렉타 란자이'' 브샤에나 & Joger, 2013
- *''타렌톨라 네글렉타 네글렉타'' Strauch, 1887
- ''타렌톨라 니콜라우엔시스'' Schleich, 1984 - 상 니콜라우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파노우세이'' Pasteur, 1959
- ''타렌톨라 파르비카리나타'' Joger, 1980 - 시에라리온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파스토리아'' J.-F. 트라페, S. 트라페 & 치리오, 2012
-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Joger, 1984
-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하르토기'' Joger, 1993
-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프로토기가스'' Joger, 1984
- ''타렌톨라 라지아나'' Schleich, 1984 - 라소 벽 도마뱀붙이
- ''타렌톨라 루디스'' Boulenger, 1906
- ''타렌톨라 세네감비에'' Joger, 1984
- ''타렌톨라 서스티투타'' Joger, 1984 - 상 비센테 벽 도마뱀붙이
주의사항: 삽입어구의 이명 명명자는 원래 해당 종을 속(''Tarentola'')과는 다른 속에 속한 것으로 기술했을지도 모른다.
2. 1. 타렌톨라 알베르트슈바르츠키 (''Tarentola albertschwartzi'')
''타렌톨라 알베르트슈바르츠키'' (스프랙클랜드 & 스위니, 1998)는 자메이카 거대 도마뱀붙이로 불리며,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2]2. 2.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Tarentola americana'')
그레이가 1831년에 처음 기술하였다.[5] 아메리카 벽 도마뱀붙이(Tarentola americana)의 아종이다.2. 2. 1.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아메리카나 (''Tarentola americana americana'')
타렌톨라 아메리카나(그레이, 1831)의 아종이다.-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아메리카나'' (그레이, 1831)
-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워레니'' 슈바르츠, 1968 - 워렌의 아메리카 벽 도마뱀붙이
참고: 괄호 안에 있는 이명 또는 삼명법 권위자는 해당 종 또는 아종이 원래 ''타렌톨라''(Tarentola)가 아닌 다른 속으로 설명되었음을 나타낸다.
2. 2. 2.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워레니 (''Tarentola americana warreni'')
''타렌톨라 아메리카나 워레니'' (Schwartz, 1968)는 워렌의 아메리카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5]
2. 3. 카나리아벽도마뱀붙이 (''Tarentola angustimentalis'')
카나리아벽도마뱀붙이(''Tarentola angustimentalis'')는 슈타인다흐너가 1891년에 명명했으며, 카나리아 제도에 서식한다.[5][2]2. 4.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Tarentola annularis'')
É. Geoffroy Saint-Hilaire가 1827년에 ''Tarentola annularis annularis'' 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했으며, 띠도마뱀붙이(Tarentola annularis)의 아종이다.[5]2. 4. 1.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아눌라리스 (''Tarentola annularis annularis'')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아눌라리스'' (''Tarentola annularis annularis'') ((É. Geoffroy Saint-Hilaire, 1827))는 띠 도마뱀붙이(Tarentola annularis)의 아종 중 하나이다.2. 4. 2.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렐릭타 (''Tarentola annularis relicta'')
타렌톨라 아눌라리스'' (Tarentola annularis)의 아종으로, 요거 (Joger)가 1984년에 명명했다.[5]2. 5. 타렌톨라 보아비스타엔시스 (''Tarentola boavistensis'')
보아비스타 벽 도마뱀붙이(''Tarentola boavistensis'')는 1993년 요거(Joger)에 의해 명명되었다.[5][2]2. 6. 타렌톨라 보카지 (''Tarentola bocagei'')
보카지의 벽 도마뱀붙이(''Tarentola bocagei'')는 보카지의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5][2] 바스콘셀로스, 페레라, 제니에즈, 해리스, 카란자가 2012년에 명명했다.2. 7. 모로코벽도마뱀붙이 (''Tarentola boehmei'')
모로코벽도마뱀붙이(''Tarentola boehmei'')는 모로코에 서식한다.[5][2]2. 8. 타렌톨라 뵈트게리 (''Tarentola boettgeri'')
슈타인다흐너가 1891년에 뵈트거의 벽 도마뱀붙이를 처음 기술하였다.[6]
- ''Tarentola boettgeri'' Steindachner, 1891 - Boettger's wall gecko[6]
- * ''Tarentola boettgeri boettgeri'' Steindachner, 1891
- * ''Tarentola boettgeri hierrensis'' Joger & Bischoff, 1983
2. 8. 1. 타렌톨라 뵈트게리 뵈트게리 (''Tarentola boettgeri boettgeri'')
- ''Tarentola boettgeri'' Steindachner, 1891 - Boettger's wall gecko[6]
- *''Tarentola boettgeri boettgeri'' Steindachner, 1891
- *''Tarentola boettgeri hierrensis'' Joger & Bischoff, 1983
뵈트거벽도마뱀붙이(''Tarentola boettgeri'')는 슈타인다흐너가 1891년에 처음 기술하였다.[6] 뵈트거벽도마뱀붙이의 기본 아종은 ''Tarentola boettgeri boettgeri''이며, 이 역시 슈타인다흐너가 1891년에 기술하였다.
2. 8. 2. 타렌톨라 뵈트게리 히에렌시스 (''Tarentola boettgeri hierrensis'')
''타렌톨라 뵈트게리 히에렌시스'' (''Tarentola boettgeri hierrensis'')는 요거(Joger)와 비쇼프(Bischoff)가 1983년에 명명한 아종이다.2. 9. 타렌톨라 비쇼피 (''Tarentola bischoffi'')
비쇼프의 벽도마뱀붙이(''Tarentola bischoffi'')는 1984년 Joger가 명명한 종이다.[5]2. 10. 타렌톨라 카보베르디아나 (''Tarentola caboverdiana'')
슐라이히가 1984년에 ''Tarentola caboverdiana'' (카보베르데 벽 도마뱀붙이)를 명명했다.[2] 카보베르데 벽 도마뱀붙이는 카보베르데에서 발견된다.[2]2. 11. 투구머리도마뱀붙이 (''Tarentola chazaliae'')
투구머리도마뱀붙이(Tarentola chazaliae)는 헬멧헤드 도마뱀붙이로도 불린다.[5][2] 모콰르(François Mocquard)가 1895년에 처음 명명했다.[5][2]2. 12. 타렌톨라 크롬비아이 (''Tarentola crombiei'')
디아스와 헤지스가 2008년에 *Tarentola crombiei*를 크롬비의 벽 도마뱀붙이[6]로 명명했다.2. 13. 타렌톨라 다르위니 (''Tarentola darwini'')
다윈의 벽 도마뱀붙이[6]로 불린다.2. 14. 타렌톨라 델라란디이 (''Tarentola delalandii'')
뒤메릴과 비브롱이 1836년에 ''Tarentola delalandii''를 명명했으며, 테네리페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2]2. 15. 타렌톨라 데제르티 (''Tarentola deserti'')
불렌저가 1891년에 타렌톨라 데제르티(''Tarentola deserti'')를 명명했으며, 사막 벽 도마뱀붙이로도 불린다.[2]2. 16.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Tarentola ephippiata'')
오쇼네시가 1875년에 ''Tarentola ephippiata'' 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으며, 아프리카 벽 도마뱀붙이 (Tarentola ephippiata)로 불린다.[2]-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에피피아타'' ''Tarentola ephippiata ephippiata'' (오쇼네시, 1875)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호가렌시스'' ''Tarentola ephippiata hoggarensis'' (F. Werner, 1937)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니콜라우스'' ''Tarentola ephippiata nikolausi'' (Joger, 1984)
-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세네감비에'' ''Tarentola ephippiata senegambiae'' (Joger, 1984)
2. 16. 1.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에피피아타 (''Tarentola ephippiata ephippiata'')
''타렌톨라 에피피아타''(Tarentola ephippiata) (오쇼네시, 1875) – 아프리카 벽 도마뱀붙이의 아종이다.-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에피피아타'' 오쇼네시, 1875
2. 16. 2.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니콜라우스 (''Tarentola ephippiata nikolausi'')
''타렌톨라 에피피아타 니콜라우스'' (''Tarentola ephippiata nikolausi'')는 1984년 요거가 아프리카벽도마뱀붙이의 아종으로 기재하였다.2. 17. 타렌톨라 파시쿨라리스 (''Tarentola fascicularis'')
볼프강의 벽도마뱀붙이(''Tarentola fascicularis'')는 무어 도마뱀붙이로도 불린다.[2] 도댕이 1802년에 처음 기술하였다.[2]2. 18. 타렌톨라 포고엔시스 (''Tarentola fogoensis'')
''타렌톨라 포고엔시스''(''Tarentola fogoensis'')는 포고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2] 바스콘셀로스(Vasconcelos), 페레라(Perera), 제니에즈(Geniez), 해리스(Harris) & 카란자(Carranza)가 2012년에 명명했다.[2]2. 19. 타렌톨라 기가스 (''Tarentola gigas'')
타렌톨라 기가스(Tarentola gigas)는 보카지가 1875년에 명명한 벽도마뱀붙이속의 종이다.[2] 거대 벽 도마뱀붙이라고도 불린다.- ''타렌톨라 기가스 브랑코엔시스(Tarentola gigas brancoensis)'' 슈라이히/Schleichla, 1984
- ''타렌톨라 기가스 기가스(Tarentola gigas gigas)'' (Bocage, 1875)
2. 19. 1. 타렌톨라 기가스 브랑코엔시스 (''Tarentola gigas brancoensis'')
''타렌톨라 기가스 브랑코엔시스'' (타렌톨라 기가스 브랑코엔시스)는 슈라이히가 1984년에 명명한 벽도마뱀붙이속의 아종이다. 타렌톨라 기가스의 아종 중 하나이다.2. 19. 2. 타렌톨라 기가스 기가스 (''Tarentola gigas gigas'')
타렌톨라 기가스 기가스(''Tarentola gigas gigas'') (보카지, 1875)는 거대 벽 도마뱀붙이의 아종이다.2. 20. 타렌톨라 고메렌시스 (''Tarentola gomerensis'')
''타렌톨라 고메렌시스'' (Tarentola gomerensis)는 고메라 벽 도마뱀붙이[2][5]로 불린다. 요거와 비쇼프에 의해 1983년에 명명되었다.[2][5]2. 21. 타렌톨라 호가렌시스(''Tarentola hoggarensis'')
타렌톨라 호가렌시스(''Tarentola hoggarensis'')는 프란츠 베르너가 1937년에 처음 기술한 벽도마뱀붙이속의 아종으로,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아프리카 벽 도마뱀붙이의 아종 중 하나이다.[2]2. 22. 타렌톨라 마이오엔시스 (''Tarentola maioensis'')
마이오 벽 도마뱀붙이(''Tarentola maioensis'')는 1984년 슈라이히/Schleichde에 의해 명명되었다.[2]2. 23. 벽도마뱀붙이 (''Tarentola mauritanica'')
벽도마뱀붙이(''Tarentola mauritanica'') 는 린네가 1758년에 명명하였다.[2] 무어 도마뱀붙이라고도 불린다.아종은 다음과 같다:
- ''Tarentola mauritanica mauritanica'' (Linnaeus, 1758)
- ''Tarentola mauritanica juliae'' Joger, 1984
- ''Tarentola mauritanica pallida'' Geniez et al., 1999
2. 23. 1. 벽도마뱀붙이 율리에 (''Tarentola mauritanica juliae'')
''Tarentola mauritanica''의 아종이다. 요거/Jogerde가 1984년에 명명했다.[2]2. 23. 2. 벽도마뱀붙이 (''Tarentola mauritanica mauritanica'')
벽도마뱀붙이(''Tarentola mauritanica'') 는 린네가 1758년에 명명하였다.[2]- ''Tarentola mauritanica mauritanica'' (Linnaeus, 1758)
- ''Tarentola mauritanica juliae'' Joger, 1984
- ''Tarentola mauritanica pallida'' Geniez et al., 1999
2. 23. 3.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팔리다 (''Tarentola mauritanica pallida'')
''타렌톨라 마우리타니카 팔리다'' (''Tarentola mauritanica pallida'') Geniez et al., 1999는 ''Tarentola mauritanica''의 아종 중 하나이다.[5]2. 24. 타렌톨라 민디아이 (''Tarentola mindiae'')
타렌톨라 민디아이(''Tarentola mindiae'')는 카타라 도마뱀붙이[5]로 불린다. S. 바하 엘 딘이 1997년에 처음 기술하였다.[5]
2. 25. 타렌톨라 네글렉타 (''Tarentola neglecta'')
Strauch가 1887년에 타렌톨라 네글렉타(Tarentola neglecta)를 처음 기술했으며, '알제리 벽 도마뱀붙이'라고도 불린다.[2] 세 개의 아종이 존재한다.- ''타렌톨라 네글렉타 게이리'' (''Tarentola neglecta geyri'') 요거(Joger), 1984
- ''타렌톨라 네글렉타 란자이'' (''Tarentola neglecta lanzai'') 브샤에나 & 요거, 2013
- ''타렌톨라 네글렉타 네글렉타'' (''Tarentola neglecta neglecta'') Strauch, 1887
2. 25. 1. 타렌톨라 네글렉타 게이리 (''Tarentola neglecta geyri'')
타렌톨라 네글렉타(''Tarentola neglecta'')의 아종이다. 요거(Joger)가 1984년에 신종으로 등록했다.[2]2. 25. 2. 타렌톨라 네글렉타 란자이 (''Tarentola neglecta lanzai'')
브샤에나 & 요거, 2013년에 Tarentola neglecta의 아종으로 기술되었다.[2][5]2. 25. 3. 타렌톨라 네글렉타 네글렉타 (''Tarentola neglecta neglecta'')
''타렌톨라 네글렉타 네글렉타'' (Strauch, 1887)는 알제리 벽도마뱀붙이의 아종이다.[5]2. 26. 타렌톨라 니콜라우엔시스 (''Tarentola nicolauensis'')
타렌톨라 니콜라우엔시스(''Tarentola nicolauensis'')는 상 니콜라우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2] 슈라이히(Schleich)가 1984년에 처음 기술하였다.[2]
2. 27. 타렌톨라 파노우세이 (''Tarentola panousei'')
''타렌톨라 파노우세이''(Tarentola panousei영어)는 1959년 파스퇴르(Pasteur)에 의해 명명되었다.[2]2. 28. 타렌톨라 파르비카리나타 (''Tarentola parvicarinata'')
타렌톨라 파르비카리나타(''Tarentola parvicarinata'')는 시에라리온 벽 도마뱀붙이[5]로 불린다. 1980년 요거가 처음 명명하였다.[5]2. 29. 타렌톨라 파스토리아 (''Tarentola pastoria'')
''타렌톨라 파스토리아''(Tarentola pastoria영어)는 2012년 J.-F. 트라페, S. 트라페, 치리오가 신종으로 등재하였다.2. 30.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Tarentola protogigas'')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Tarentola protogigas) 요거, 1984는 다음과 같은 아종으로 나뉜다.-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하르토기'' (''Tarentola protogigas hartogi'') 요거, 1993
-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프로토기가스'' (''Tarentola protogigas protogigas'') 요거, 1984
2. 30. 1.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하르토기 (''Tarentola protogigas hartogi'')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하르토기'' (''Tarentola protogigas hartogi'') 요거, 19932. 30. 2.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프로토기가스 (''Tarentola protogigas protogigas'')
''타렌톨라 프로토기가스 프로토기가스'' (''Tarentola protogigas protogigas'') 요거, 1984는 벽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아종이다.2. 31. 타렌톨라 라지아나 (''Tarentola raziana'')
'''타렌톨라 라지아나'''(''Tarentola raziana'')는 라소 벽 도마뱀붙이로 불린다.[2]2. 32. 타렌톨라 루디스 (''Tarentola rudis'')
''타렌톨라 루디스''(''Tarentola rudis'')는 불렌저가 1906년에 명명한 종이다.[2]2. 33. 타렌톨라 세네감비에 (''Tarentola senegambiae'')
타렌톨라 세네감비에(''Tarentola senegambiae'')는 요거(Joger)에 의해 1984년에 명명되었다.[2] 이 종은 타렌톨라 에피피아타(''Tarentola ephippiata'')의 아종 중 하나로, ''Tarentola ephippiata senegambiae''로도 알려져 있다.[5]2. 34. 타렌톨라 서스티투타 (''Tarentola substituta'')
'''타렌톨라 서스티투타'''(''Tarentola substituta'')는 상 비센테 벽 도마뱀붙이[5]로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Tarentola
www.itis.gov
[2]
웹사이트
Tarentola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arentola
www.itis.gov
[5]
웹사이트
Tarentola
[6]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