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광 커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광 커 효과는 자화된 물질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이 변화하는 현상으로, 1877년 존 커에 의해 발견되었다. 빛의 입사 방향과 자기장 영역의 배치에 따라 극 커 효과, 종 커 효과, 횡 커 효과, 2차 자기광 커 효과로 분류된다. 이 효과는 로렌츠 힘과 유전율 텐서의 비대각 성분으로 설명되며, 커 각과 커 타원율로 정량화된다. 자기광 커 효과는 광자기 디스크의 읽기, 커 현미경, 편광자 유리 등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선형 광학 - 커 효과
커 효과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물질의 굴절률이 변화하는 현상으로, 전기장 세기의 제곱에 비례하는 복굴절 현상을 의미하며, 전기광 커 효과와 광학적 커 효과로 나뉘고 광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비선형 광학 - 동시 계수기
- 스핀트로닉스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핀트로닉스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응집물질물리학 - 띠구조
띠구조는 결정 내 전자의 에너지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에너지 띠와 띠틈으로 구성되며, 도체, 절연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응집물질물리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자기광 커 효과 | |
---|---|
일반 정보 | |
이름 | 자기 광학 Kerr 효과 |
다른 이름 | 자기 Kerr 효과 Kerr 자기 광학 효과 (Kerr magneto-optic effect, KMOE) |
분야 | 자기 광학 |
발견자 | 존 커 |
발견 연도 | 1877년 |
상세 정보 | |
설명 | 자기화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변화 |
효과 | 반사된 빛의 편광 변화 반사된 빛의 강도 변화 |
발생 조건 | 자기화된 물질의 표면 |
관련 효과 | 패러데이 효과 자이로트로피 자기 쌍극자 |
응용 분야 | |
사용 예시 | 자기 기록 매체 분석 스핀트로닉스 연구 자기 센서 |
2. 역사
자기광 커 효과는 1877년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존 커에 의해 발견되었다.[7][8][5][6] 존 커는 자화된 물질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 현상을 발견했다.
자기광 커 효과는 빛이 입사하는 방향과 자기장 영역의 배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3. 종류
자기광 커 효과(MOKE)는 반사 표면과 입사면에 대한 자화 벡터의 방향에 따라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자기광 커 효과'''는 '''자기 커 효과'''라고도 불리며, 직선 편광을 자화된 재료의 표면에 쪼이면, 반사광이 타원 편광이 되는 현상이다. 크게 다음 3가지 종류로 나뉘지만, 자기장을 비스듬하게 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지는 않다.
3. 1. 극자기광 커 효과 (Polar MOKE)
물체의 자화된 방향이 빛이 입사, 반사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물체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일 경우 이를 '''극자기광 커 효과'''(Polar magneto-optic Kerr effect)라고 한다. 자화 벡터가 반사 표면에 수직하고 입사면에 평행할 때, 이 효과를 ''극 자외선 효과''라고 부른다. 분석을 단순화하고, 다른 두 구성(종 커 효과, 횡 커 효과)은 수직 입사에서 커 회전이 사라지기 때문에, 극 기하학에서 실험을 수행할 때는 일반적으로 거의 수직 입사를 사용한다. 자기광 커 효과는 직선 편광을 자화된 재료의 표면에 쪼이면, 반사광이 타원 편광이 되는 현상이다.
3. 2. 종자기광 커 효과 (Longitudinal MOKE)
물체의 자화된 방향이 빛이 입사, 반사하는 평면과 물체의 표면에 모두 평행할 경우 이를 종자기광 커 효과(Longitudinal magneto-optic Kerr effect)라고 한다. 이 경우 선형으로 편광된 빛이 반사되면 타원 편광된 빛의 형태로 나오게 된다. 종자기 Kerr 효과에서 자화 벡터는 반사 표면과 입사면에 평행하다. 종단 설정은 편광 MOKE에 사용되는 것처럼 반사 표면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반사되는 빛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표면에 입사하는 선형 편광된 빛은 타원 편광되며, 편광의 변화는 반사 표면과 입사면에 평행한 자화 성분에 정비례한다. 이 타원 편광된 빛은 1차적으로 두 개의 수직 벡터, 즉 표준 프레넬 진폭 반사 계수 과 Kerr 계수 를 갖는다. Kerr 계수는 일반적으로 반사 계수보다 훨씬 작다.
3. 3. 횡자기광 커 효과 (Transversal MOKE)
물체의 자화된 방향이 빛이 입사, 반사하는 평면에 수직이고, 물체의 표면에 평행인 경우 이를 '''횡자기광 커 효과'''(Transversal magneto-optical Kerr effect)라고 한다. 자화가 입사면에 수직이고 표면에 평행할 때, 이를 "횡" 배열이라고 한다. 이 경우, 입사광 또한 반사면에 수직이지 않지만, 반사 후 빛의 편광을 측정하는 대신 반사율 을 측정한다. 이 반사율의 변화는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입사면에 수직이고 표면에 평행한 자화 성분에 비례한다. 자화 성분이 광원으로부터 보았을 때 입사면의 오른쪽에 위치하면, 커(Kerr) 벡터는 프레넬 진폭 벡터에 더해져 반사된 빛의 세기는 가 된다. 반면에, 자화 성분이 광원으로부터 보았을 때 입사면의 왼쪽에 위치하면, 커(Kerr) 벡터는 프레넬 진폭에서 빼져 반사된 세기는 로 주어진다.
3. 4. 2차 자기광 커 효과 (Quadratic MOKE)
극, 종, 횡 자기광 커 효과 외에, 자화 성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고차 효과도 존재한다.[2] 커 각도는 극, 세로, 가로 자화 성분을 포함하는 곱셈 항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효과를 보이그트 효과 또는 2차 커 효과라고 한다. 2차 자기광 커 효과(QMOKE)는 Co2FeSi영어 및 Co2MnGe영어와 같은 호이슬러 합금에서 강하게 나타난다.[3][4]
4. 원리
자기광 커 효과는 여러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기광 커 효과는 자화된 표면에서 빛이 반사될 때 나타나며, 편광과 반사율을 모두 변화시킬 수 있다. 자기광 커 효과는 자기적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변화를 설명하는 패러데이 효과와 유사하다. 반대로, 자기광 커 효과는 자기적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변화를 설명한다.
자기광 커 효과는 로렌츠 힘의 관점에서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자화된 물체의 표면에 편광된 빛이 입사하면, 빛의 전기장에 따라 전자가 진동한다. 이때 전자는 자화된 물질 안에서 진동하며 로렌츠 힘을 받아 경로가 휘게 된다. 따라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처음 입사한 빛과 다른 편광을 갖게 된다.
자화된 물체 내부에서 유전율 텐서는 대각성분 이외의 성분(off-diagonal component)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투자율을 이방성(anisotropic)하게 만든다.[1] 빛의 속도는 투자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빛의 방향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1] 즉,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입사된 빛과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1]
유전율 의 비대각 성분은 자기광 물질에 이방성 유전율을 부여하며, 이는 유전율이 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1] 유전율은 물질 내 빛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속도, 는 물질의 유전율, 는 자기 투자율이다.[1] 따라서 빛의 속도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편광된 입사광의 위상 변동을 일으킨다.[1]
이 효과는 커 각()과 커 타원율( 또는 )로 정량화된다.[1] 커 각은 선형 편광된 빛이 표본에 부딪힌 후 회전하는 각도이며, 커 타원율은 선형 편광된 빛의 반사로 생성된 타원 편광된 빛의 장반축과 단반축의 비율이다.[1]
4. 1. 로렌츠 힘 관점
자기광 커 효과는 로렌츠 힘의 관점에서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자화된 물체의 표면에 편광된 빛이 입사하면, 빛의 전기장에 따라 전자가 진동한다. 이때 전자는 자화된 물질 안에서 진동하며 로렌츠 힘을 받아 경로가 휘게 된다. 따라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처음 입사한 빛과 다른 편광을 갖게 된다.4. 2. 유전율 텐서 관점
자화된 물체 내부에서 유전율 텐서는 대각성분 이외의 성분(off-diagonal component)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투자율을 이방성(anisotropic)하게 만든다.[1] 빛의 속도는 투자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빛의 방향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1] 즉,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입사된 빛과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1]유전율 의 비대각 성분은 자기광 물질에 이방성 유전율을 부여하며, 이는 유전율이 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1] 유전율은 물질 내 빛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속도, 는 물질의 유전율, 는 자기 투자율이다.[1] 따라서 빛의 속도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편광된 입사광의 위상 변동을 일으킨다.[1]
이 효과는 커 각()과 커 타원율( 또는 )로 정량화된다.[1] 커 각은 선형 편광된 빛이 표본에 부딪힌 후 회전하는 각도이며, 커 타원율은 선형 편광된 빛의 반사로 생성된 타원 편광된 빛의 장반축과 단반축의 비율이다.[1]
5. 커 회전각 (Kerr Rotation Angle)
커 회전각(Magneto-optic Kerr rotation angle)은 빛의 편광 각이 광학적으로 활성인 자성 매질에서 반사될 때 그 회전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복소수 값으로 표현된다.
:
한편, 자성 매질을 투과할 때 회전하는 각의 크기는 패러데이 회전각(Faraday rotation angle)이라고 한다.
6. 응용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의 읽기에 이용되고 있다. 편광자 유리에도 이용되고 있다.
==== 커 현미경 (Kerr Microscope) ====
커 현미경은 자기광 커 효과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자기 구역을 관찰하는 장비이다. 편광된 빛을 시료 표면에 반사시켜 편광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기장의 분포를 이미지화한다.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장은 검정과 흰색으로 구분되는 이미지로 나타난다.
커 현미경은 빛을 편광시켜 시료에 반사시킨 후, 다시 편광시켜 카메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때 자기광 커 효과의 종류에 따라 편광 방향을 조절한다. 자화된 물체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켜야 하므로, 시료 표면을 매끄럽게 닦는 과정(Polishing)이 필요하다.
실시간으로 자기 구역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류 자기장을 걸어주고 변하지 않는 부분을 찾아내 배경이미지를 만든 후, 카메라 이미지에서 배경이미지를 빼주는 방식으로 비자기적 요소를 제거한다.
케르 현미경은 자기 광학 케르 효과(MOKE)에 의존한다. 조명광은 편광기 필터를 통과한 다음, 샘플에서 반사되어 분석기 편광 필터를 통과한다. 서로 다른 MOKE 기하학은 서로 다른 편광된 빛을 필요로 하므로, 편광기는 입사광의 편광(원형, 선형 및 타원형)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편광된 빛이 샘플에서 반사되면 케르 회전, 케르 타원율 또는 편광된 진폭 중 임의의 조합에서 변화가 발생하고, 이 변화는 분석기에 의해 빛의 강도 변화로 변환된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편광 변화로부터 표면의 자기장을 이미지로 생성한다.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 읽기 및 편광자 유리에 이용되고 있다.
==== 광자기 디스크 (Magneto-Optical Disk, MO) ====
광자기 디스크(MO)는 자기광 커 효과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읽는 저장 매체이다. 1985년에 처음 소개된 광자기(MO) 드라이브는 레이저와 전자기석을 사용하여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레이저는 디스크 표면을 퀴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 때 전자기석은 해당 비트를 1 또는 0으로 정렬한다. 데이터를 읽을 때는 레이저를 낮은 강도로 작동시켜 편광된 빛을 방출하고, 반사된 빛을 분석하여 0 또는 1의 차이를 판독한다.
==== 기타 응용 ====
자기광 커 효과는 광자기 디스크의 읽기에 이용되고 있다. 편광자 유리에도 이용되고 있다.
6. 1. 커 현미경 (Kerr Microscope)
커 현미경은 자기광 커 효과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자기 구역을 관찰하는 장비이다. 편광된 빛을 시료 표면에 반사시켜 편광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기장의 분포를 이미지화한다.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장은 검정과 흰색으로 구분되는 이미지로 나타난다.커 현미경은 빛을 편광시켜 시료에 반사시킨 후, 다시 편광시켜 카메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때 자기광 커 효과의 종류에 따라 편광 방향을 조절한다. 자화된 물체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켜야 하므로, 시료 표면을 매끄럽게 닦는 과정(Polishing)이 필요하다.
실시간으로 자기 구역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류 자기장을 걸어주고 변하지 않는 부분을 찾아내 배경이미지를 만든 후, 카메라 이미지에서 배경이미지를 빼주는 방식으로 비자기적 요소를 제거한다.
케르 현미경은 자기 광학 케르 효과(MOKE)에 의존한다. 조명광은 편광기 필터를 통과한 다음, 샘플에서 반사되어 분석기 편광 필터를 통과한다. 서로 다른 MOKE 기하학은 서로 다른 편광된 빛을 필요로 하므로, 편광기는 입사광의 편광(원형, 선형 및 타원형)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편광된 빛이 샘플에서 반사되면 케르 회전, 케르 타원율 또는 편광된 진폭 중 임의의 조합에서 변화가 발생하고, 이 변화는 분석기에 의해 빛의 강도 변화로 변환된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편광 변화로부터 표면의 자기장을 이미지로 생성한다.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 읽기 및 편광자 유리에 이용되고 있다.
6. 2. 광자기 디스크 (Magneto-Optical Disk, MO)
광자기 디스크(MO)는 자기광 커 효과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읽는 저장 매체이다. 1985년에 처음 소개된 광자기(MO) 드라이브는 레이저와 전자기석을 사용하여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레이저는 디스크 표면을 퀴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 때 전자기석은 해당 비트를 1 또는 0으로 정렬한다. 데이터를 읽을 때는 레이저를 낮은 강도로 작동시켜 편광된 빛을 방출하고, 반사된 빛을 분석하여 0 또는 1의 차이를 판독한다.6. 3. 기타 응용
자기광 커 효과는 광자기 디스크의 읽기에 이용되고 있다. 편광자 유리에도 이용되고 있다.참조
[1]
서적
Magneto-Optics
SpringerLink
2000
[2]
논문
Magneto-conductivity and magnetically-controlled nonlinear optical transmittance in multi-wall carbon nanotubes
2018
[3]
논문
Huge quadratic magneto-optical Kerr effect and magnetization reversal in the Co2FeSi Heusler compound
[4]
논문
Study of magnetic anisotropy and magnetization reversal using the quadratic magnetooptical effect in epitaxial CoxMnyGez(111) films
[5]
논문
On Rotation of the Plane of the Polarization by Reflection from the Pole of a Magnet
https://zenodo.org/r[...]
[6]
논문
John Kerr and his Effects Found in 1877 and 1878
http://www.computati[...]
[7]
논문
On Rotation of the Plane of the Polarization by Reflection from the Pole of a Magnet
https://zenodo.org/r[...]
[8]
논문
John Kerr and his Effects Found in 1877 and 1878
http://www.computa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