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기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권은 천체의 자기장이 태양풍과 상호 작용하여 형성되는 공간 영역이다. 윌리엄 길버트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로켓과 인공위성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연구가 발전했다. 자기권은 천체의 종류, 태양풍의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며, 고유 자기권과 유도 자기권으로 분류된다. 자기권의 구조는 활모양충격파, 자기권외피층, 자기권계면, 자기꼬리로 이루어져 있다. 지구 자기권은 태양풍에 의해 압축되고 자기꼬리를 형성하며, 오로라와 밴 앨런 방사선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목성을 비롯한 다른 행성들, 그리고 외계행성에서도 자기권이 발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리층 - 지자기 폭풍
    지자기 폭풍은 태양 활동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Dst 지수를 통해 강도를 측정하며 전력 시스템, 통신, 위성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 전리층 - 델린저 현상
    델린저 현상은 태양 플레어 방출 복사가 지구 대기에 도달하여 전리층 전자 밀도가 급증하면서 단파 통신 두절 및 장파 무선 전파 강화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갑작스러운 전리층 교란의 한 형태이다.
  • 자기권 - 오로라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의 상호작용으로 극지방 상층 대기에서 나타나는 발광 현상으로, 고에너지 입자가 대기 중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여 빛을 내며, 색상과 형태는 대기 성분과 지구 자기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자기권 - 대기 순환
    대기 순환은 태양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구 전체의 열을 수송하는 대규모 공기 흐름으로, 해들리 순환, 페렐 순환, 극 순환과 같은 주요 순환과 해륙풍, 계절풍, 워커 순환 등 복잡한 패턴으로 구성되며 엘니뇨-남방 진동과 같은 기후 현상 및 브루어-돕슨 순환과 같은 성층권 순환에도 영향을 미친다.
  • 공간 플라스마 - 번개
    번개는 뇌운 속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방전 현상으로, 빛과 천둥을 동반하며 지구 외 행성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현상에서도 발생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공간 플라스마 - 성운
    성운은 우주 공간에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고대부터 관측되어 왔으며, 망원경과 분광학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종류와 구성 성분이 밝혀졌고, 허블의 연구로 일부가 은하임이 밝혀지는 등 우주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권
자기권
행성의 자기권 렌더링
행성의 자기권 렌더링
설명천체의 자기장이 대전 입자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
자기권의 원리
정의천체의 자기장이 우주 공간에서 대전 입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영역.
주요 영향태양풍과 같은 플라스마 흐름으로부터 천체를 보호함.
플라스마의 거동을 조절하여 전파를 전파시키거나 차단함.
지구 자기권
주요 특징지구 자기장은 태양풍의 대전 입자를 포획하여 자기권 형성.
형태태양풍에 의해 지구의 자기장이 변형되어 긴 꼬리 모양을 가짐.
반 알렌대지구 자기권 내에 고에너지 대전 입자가 포획되어 형성되는 방사선대.
기타 행성 자기권
목성지구보다 훨씬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며, 거대한 자기권을 형성.
토성복잡한 고리와 상호 작용하는 독특한 자기권 구조를 가짐.
수성작지만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권은 태양풍과 강하게 상호 작용.
천왕성과 해왕성자기장이 행성의 자전축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특이한 형태의 자기권을 형성.
역사
연구자기권 연구는 20세기 중반부터 본격화됨.
초기 연구자제임스 밴 앨런이 초기 자기권 연구에 중요한 역할 수행
응용
우주 탐사자기권 연구는 우주 탐사 임무 계획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
인공위성 보호자기권 내의 방사선대는 인공위성에 손상을 입힐 수 있어 보호 대책이 필요.
관련 분야
관련 학문플라스마 물리학
우주 물리학
지구 물리학
관련 현상오로라
지구 자기 폭풍

2. 역사

지구 자기권 연구는 1600년 윌리엄 길버트가 지구 표면의 자기장이 작은 자화된 구체인 테렐라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1940년대 월터 M. 엘사서는 지구 자기장이 지구 외핵의 운동으로 발생한다는 다이나모 이론 모델을 제시했다.[4]

1940년대 후반부터 로켓을 이용하여 우주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58년 익스플로러 1호는 밴 앨런 방사선대의 존재를 관측했고, 익스플로러 3호는 이를 명확히 증명했다. 같은 해 유진 파커태양풍 개념을 제시했고, 1959년 토머스 골드는 '자기권'이라는 용어를 제안했다. 1961년 익스플로러 12호는 자기권계면을 발견했다. 1983년 국제혜성탐사선은 자기권 꼬리를 관측했다.[4] 2007년 테미스(THEMIS) 위성은 지구 자기권의 거대한 구멍을 관측했다.[32]

3. 자기권의 형태

자기권의 구조와 작용은 여러 변수에 의존한다. 여기에는 천체의 유형, 플라스마와 운동량의 원천, 천체의 자전 주기, 천체의 자전축, 자기 쌍극자의 축, 그리고 태양풍의 속도와 방향이 포함된다.[5]

태양풍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행성 거리는 채프먼-페라로 거리(Chapman–Ferraro distance)라고 하며, 다음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5] 여기서 R_{\rm P}는 행성의 반지름, B_{\rm surf}는 적도에서 행성 표면의 자기장, V_{\rm SW}는 태양풍의 속도를 의미한다.

:R_{\rm CF}=R_{\rm P} \left( \frac{B_{\rm surf}^2}{\mu_{0} \rho V_{\rm SW}^2} \right) ^{\frac{1}{6}}

자기권은 R_{\rm CF} \gg R_{\rm P} 인 경우, 즉 태양풍에 대한 주된 저항이 천체의 자기장일 때 "고유 자기권"(intrinsic)으로 분류된다. 수성, 지구, 목성, 가니메데,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이에 해당한다.[5]

R_{\rm CF} \ll R_{\rm P} 인 경우, 즉 태양풍이 천체의 자기장에 의해 저항받지 않을 때 자기권은 "유도 자기권"(induced)으로 분류된다. 이 경우 태양풍은 행성의 대기나 이온층, 또는 행성 표면과 상호작용한다. 금성은 유도 자기권을 가지는데, 이는 금성에 내부 다이나모 효과가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유일한 자기장이 태양풍이 금성을 감싸면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금성의 유도 자기권 참조)[5]

R_{\rm CF} \approx R_{\rm P}인 경우에는 행성 자체와 자기장 모두 영향을 미친다. 화성이 이러한 유형에 해당한다.[5]

4. 구조

자기권의 구조와 동작은 천체의 유형, 플라스마와 운동량의 원천, 천체 회전 주기, 회전축의 성질, 자기 쌍극자의 축, 태양풍의 속도, 방향, 세기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가 태양풍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거리를 채프먼-페라로 거리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_{CF}=R_{P} \left( \frac{B_{surf}^2}{\mu_{0} \rho V_{SW}^2} \right) ^{\frac{1}{6}}

여기서 R_P는 행성의 반지름, B_{surf}는 적도에서 행성 표면 자기장, V_{SW}는 태양풍의 속도이다.

자기권은 R_{CF} \gg R_{P} 이거나 천체의 자기장이 태양풍 흐름에 반대 방향일 때 "고유 자기권"으로 분류된다. 수성, 지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이에 해당한다. 반대로 R_{CF} \ll R_P 이고 태양풍이 천체의 자기장을 향하지 않을 때는 "유도 자기권"으로 분류된다. 금성은 유도 자기권을 가지는데, 이는 금성에 내부 다이너모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금성에서 나타나는 유일한 자기장은 금성의 물리적 장애물 주위의 태양풍 덮개에 의해 형성된다. R{CF} \approx R_P일 때는 행성 자체와 자기장이 모두 영향을 미치며, 화성이 이러한 유형이다.

자기권 구조의 예시: 1) 충격파. 2) 자기권덮개. 3) 자기권계면. 4) 자기권. 5) 북쪽 꼬리 로브. 6) 남쪽 꼬리 로브. 7) 플라스마권


자기권은 행성, 위성천체 주변에 존재하며, 이온화된 기체(플라스마)의 운동이 주로 해당 천체의 고유 자기장에 의해 지배되는 영역이다. 자기권의 외곽 경계는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된다. 태양풍의 플라스마는 행성 자기장을 쉽게 통과할 수 없어 자기장을 피해 흐르지만, 반대로 행성 자기장도 태양풍 플라스마 속으로 뻗어나갈 수 없기 때문에, 행성 자기장의 도달 범위는 일정 영역으로 제한된다.

대기가 존재하는 행성의 경우, 지표로부터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중성 대기의 비율이 증가하고, 대전입자의 운동이 자기장(이나 전기장)보다 중성 대기 입자와의 충돌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중성 대기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고도보다 하층의 영역은 전리층이라고 불린다.

태양계 행성 자기권에는 목성과 같은 자전 구동형과 지구와 같은 태양풍 구동형이 있다.[31]

지구 자기권 개념도. 태양풍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불고 있다.


자기권 안쪽에서 자기장이 늘어나지 않은 영역(고도 60,000km 이하)에서는, 하전 입자가 지구 자기에 포착되어 지구 주위를 동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중 특히 에너지가 높은 1MeV 이상의 하전 입자가 밴앨런대를 형성하고, 10~200keV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하전 입자가 링 전류를 형성한다. 링 전류는 자기폭풍 시 지자기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4. 1. 활모양충격파 (Bow shock)

활모양충격파는 자기권의 가장 바깥층으로, 자기권과 주변 물질 사이의 경계이다. 항성의 경우, 이는 항성풍과 성간물질 사이의 경계이다. 행성의 경우, 태양풍이 자기권계면에 근접하면서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곳이다.[6] 활모양충격파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항성풍 플라스마는 상당한 이방성을 얻게 되어 활모양충격파의 상류와 하류에서 다양한 플라스마 불안정성을 초래한다.[7]

적외선 영상 및 R Hydrae 주변 활모양충격파에 대한 예술가의 개념

4. 2. 자기권외피층 (Magnetosheath)

자기권외피층(Magnetosheath)은 활꼴충격파(Bow shock)와 자기권계면(Magnetopause) 사이의 자기권 영역이다. 이 영역은 주로 충격을 받은 태양풍으로 형성되지만, 자기권에서 온 소량의 플라스마도 포함하고 있다.[8] 자기권외피층은 높은 입자 에너지 플럭스를 가지며,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가 불규칙하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태양풍 기체가 열화(thermalization)를 겪으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기권외피층은 태양풍의 압력을 천체의 자기장 장벽으로 전달하는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4]

4. 3. 자기권계면 (Magnetopause)

자기권계면은 행성의 자기장 압력이 태양풍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자기권의 영역이다.[3] 이곳은 자기권덮개에서 충격을 받은 태양풍과 천체의 자기장 및 자기권의 플라스마가 만나는 곳이다. 이 경계면 양쪽 모두 자화된 플라즈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상호 작용은 복잡하다. 자기권계면의 구조는 플라스마의 마하수와 베타뿐만 아니라 자기장에도 의존한다.[9] 자기권계면의 크기와 모양은 태양풍의 압력 변동에 따라 변한다.[10]

자기권계면은 태양풍의 플라스마가 행성 자기장을 쉽게 통과할 수 없어 자기장을 피해 흐르지만, 반대로 행성 자기장도 태양풍 플라스마 속으로 뻗어나갈 수 없기 때문에, 행성 자기장의 도달 범위가 일정 영역으로 제한되면서 생긴다. 자기권의 외곽 경계, 즉 행성 자기장의 도달 범위와 태양풍 플라스마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바로 자기권계면이다. 이곳에는 태양풍 쪽으로 행성 자기장이 새어나가는 것을 상쇄하는 전류가 흐르고 있다. 자기권계면은 행성의 태양 쪽에서는 태양풍의 동압과 자기권의 자기장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 형성된다. 한편, 태양과 반대 방향에서는 자기권이 태양풍에 휩쓸리는 것처럼 길게 늘어난 형태를 하고 있다.

지구의 경우 태양 쪽 자기권 계면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지구 중심에서 지구 반지름의 약 10배(고도 약 60,000km) 지점이다. 하지만 이 위치는 태양풍의 상태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

4. 4. 지자기꼬리 (Magnetotail)

자기꼬리는 압축된 자기장의 반대편에서 자기권이 천체를 넘어 확장되는 영역이다. 자기꼬리는 북쪽과 남쪽 꼬리엽(tail lobe)이라 불리는 두 개의 엽으로 구성된다. 북쪽 꼬리엽의 자기력선은 천체를 향하고, 남쪽 꼬리엽의 자기력선은 천체에서 멀어진다. 꼬리엽은 거의 비어 있으며, 태양풍의 흐름에 반대되는 하전 입자가 거의 없다. 두 개의 엽은 플라스마 시트(plasma sheet)에 의해 분리되는데, 이 영역에서는 자기장이 약하고 하전 입자의 밀도가 더 높다.[11]

지구의 경우, 태양과 반대 방향에는 지구의 고위도 지역에서 나온 자력선이 꼬리를 끌 듯 길게 늘어져 있으며, 지구 반지름의 200배 이상까지 도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길게 늘어진 부분을 '''자기권 꼬리'''라고 한다. 자기권 꼬리에서는 자기장의 방향이 북반구 쪽에서는 지구 방향, 남반구 쪽에서는 반지구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자기장의 방향이 역전되는 곳에서는 자기장이 약해진다. 이 자기장이 약해진 곳은 고온의 플라스마로 채워져 있으며, '''플라스마 시트'''라고 불린다.

이 플라스마 시트의 플라스마 입자는 자력선을 따라 전리층으로 떨어져 오로라를 발광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플라스마 시트에서 지구를 향해 자력선을 따라가면 지구의 남북 자극을 둘러싸는 고리 모양의 영역에 도달하는데, 이에 따라 오로라도 주로 이 고리 모양의 영역(오로라 오벌)에서 발광한다.

5. 지구 자기권

지구 자기권의 다이어그램


지구 적도 상공에서 자기력선은 거의 수평을 이루다가 고위도에서 다시 연결된다. 그러나 고고도에서는 태양풍과 태양 자기장에 의해 자기장이 상당히 왜곡된다. 지구의 주간 쪽에서는 태양풍에 의해 자기장이 약 65000km까지 압축된다. 지구의 활충격파는 약 17km 두께이며[12] 지구로부터 약 90000km 떨어져 있다.[13] 자기권계면은 지구 표면으로부터 수백 킬로미터 상공에 존재한다. 지구의 자기권계면은 태양풍 입자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와 비교되기도 한다. 켈빈-헬름홀츠 불안정성은 자기권 가장자리를 따라 큰 소용돌이치는 플라스마가 자기권과 다른 속도로 이동할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플라스마가 미끄러져 지나간다. 이것은 자기 재연결을 초래하며, 자기력선이 끊어지고 다시 연결됨에 따라 태양풍 입자가 자기권으로 들어갈 수 있다.[14] 지구의 야간 쪽에서는 자기장이 지자기꼬리로 연장되는데, 그 길이는 6300000km를 초과한다.[3] 지구의 자기꼬리는 극광의 주요 원천이다.[11] 또한, NASA 과학자들은 지구의 자기꼬리가 주간 쪽과 야간 쪽 사이에 전위차를 생성하여 달에 "먼지 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15]

행성, 위성 등의 천체 주변에는 이온화된 기체(플라스마)의 운동이 주로 해당 천체의 고유 자기장에 의해 지배되는 영역인 자기권이 존재한다. 자기권의 외곽 경계는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된다. 태양풍의 플라스마는 행성 자기장을 쉽게 통과할 수 없어 자기장을 피해 흐르지만, 반대로 행성 자기장도 태양풍 플라스마 속으로 뻗어나갈 수 없기 때문에, 행성 자기장의 도달 범위는 일정 영역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자기권의 범위 또한 이 행성 자기장이 도달할 수 있는 범위까지가 된다. 자기권의 외곽 경계, 즉 행성 자기장의 도달 범위와 태양풍 플라스마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는 '''자기권계면'''이라고 불리며, 그곳에는 태양풍 쪽으로 행성 자기장이 새어나가는 것을 상쇄하는 전류가 흐르고 있다. 자기권계면은 행성의 태양 쪽에서는 태양풍의 동압과 자기권의 자기장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 형성된다. 한편, 태양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자기권이 태양풍에 휩쓸리는 것처럼 길게 늘어난 형태를 하고 있다.

자기권은 충분한 고유 자기장을 가진 행성·위성 주변에는 반드시 명확한 자기권계면을 동반하여 형성된다. 지구 이외에도 수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도 그러한 자기권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기가 존재하는 행성의 경우, 지표로부터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중성 대기의 비율이 증가하고, 대전입자의 운동이 자기장(이나 전기장)보다 중성 대기 입자와의 충돌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중성 대기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고도보다 하층의 영역은 전리층이라고 불린다. 태양계 행성 자기권에는 목성과 같은 자전 구동형과 지구와 같은 태양풍 구동형이 있다.[31]

지구의 경우 태양 쪽 자기권 계면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지구 중심에서 지구 반지름의 약 10배(고도 약 60,000km) 지점이다. 하지만 이 위치는 태양풍의 상태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 태양과 반대 방향에는 지구의 고위도 지역에서 나온 자력선이 꼬리를 끌 듯 길게 늘어져 있으며, 지구 반지름의 200배 이상까지 도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길게 늘어진 부분을 '''자기권 꼬리'''라고 한다. 자기권 꼬리에서는 자기장의 방향이 북반구 쪽에서는 지구 방향, 남반구 쪽에서는 반지구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자기장의 방향이 역전되는 곳에서는 자기장이 약해진다. 이 자기장이 약해진 곳은 고온의 플라스마로 채워져 있으며, '''플라스마 시트'''라고 불린다.

이 플라스마 시트의 플라스마 입자는 자력선을 따라 전리층으로 떨어져 오로라를 발광시키는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플라스마 시트에서 지구를 향해 자력선을 따라가면 지구의 남북 자극을 둘러싸는 고리 모양의 영역에 도달하는데, 이에 따라 오로라도 주로 이 고리 모양의 영역(오로라 오벌)에서 발광한다. 자기권의 더 안쪽에 자기장이 늘어나지 않은 영역(고도 60,000km 이하)에서는, 하전 입자는 지구 자기에 포착되어 지구 주위를 동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중 특히 에너지가 높은 1MeV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하전 입자가 밴앨런대를 형성하고, 10~200keV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하전 입자가 링 전류를 형성한다. 링 전류는 자기폭풍 시 지자기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2007년 여름, 지구의 4배에 달하는 지구 자기권의 거대한 구멍이 NASA의 관측 위성 테미스(THEMIS)에 의해 약 1시간 동안 관측되었다. 그동안 지구와 태양의 자기장이 반대 방향이 될 때 지구 자기권의 손상이 발생한다고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같은 방향일 때 발생한 것이다.[32]

6. 기타 천체의 자기권

목성자기권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자기권이며, 지구보다 훨씬 강력하다.[17][18] 토성, 천왕성, 해왕성도 고유 자기권을 가지고 있다.[16] 금성은 유도 자기권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금성 내부에서 dynamo effect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금성에서 나타나는 유일한 자기장은 금성의 물리적 장애물 주위의 태양풍 덮개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16] 화성은 행성 자체와 자기장이 모두 기여하는 형태의 자기권을 가지고 있다.[16][19]

외계행성에서도 자기권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행성의 대기 및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4년, HD 209458 b 주변의 자기장은 수소가 행성에서 증발하는 방식으로 추론되었다.[20][21] 2019년에는 4개의 뜨거운 목성의 표면 자기장 세기가 추정되었는데, 목성의 표면 자기장 4.3 가우스와 비교하여 20~120 가우스 범위였다.[22][23] 2020년에는 타우 부티스 b의 극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로트론 복사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전파가 타우 부티스계에서 감지되어 행성 자기장의 특징을 나타냈다.[24][25] 2021년에는 HAT-P-11b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최초로 확인되었다.[26] 2023년에는 YZ Ceti b에서 지구형 외계행성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최초 미확인 탐지가 발견되었다.[27][28][29][30]

참조

[1] 웹사이트 Magnetospheres https://science.nasa[...] NASA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Ionosphere and Magnetosphere https://archive.org/[...] CUP Archive 1972
[3] 백과사전 Ionosphere and magnetosphe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
[4] 서적 Origins of Magnetospheric Physics University of Iowa Press 2004
[5] 학술지 Solar System Magnetospheres 2005
[6] arXiv Observing stellar bow shocks 2010-05-10
[7] 학술지 Ion distribution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Earth's bow shock: first results from Vlasiator 2013-12-17
[8] 서적 Outer Magnetospheric Boundaries: Cluster Results https://cds.cern.ch/[...] 2005
[9] 서적 Physics of magnetic flux ropes http://www-ssc.igpp.[...] American Geophysical Union 1990
[10] 웹사이트 The Magnetopause https://web.archive.[...] NASA 2003-11-20
[11] 웹사이트 The Tail of the Magnetosphere https://web.archive.[...] NASA
[12] 뉴스 Cluster reveals Earth's bow shock is remarkably thin http://sci.esa.int/s[...] 2011-11-16
[13] 뉴스 Cluster reveals the reformation of Earth's bow shock http://sci.esa.int/s[...] 2011-05-11
[14] 뉴스 Cluster observes a 'porous' magnetopause http://sci.esa.int/s[...] 2012-10-24
[15] 웹사이트 The Moon and the Magnetotail https://www.nasa.gov[...] NASA
[16] 웹사이트 Planetary Shields: Magnetospheres https://mobile.arc.n[...] NASA
[17] 백과사전 The configuration of Jupiter's magnetosphere http://www.igpp.ucl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8] 학술지 Planetary Magnetospheres 1993
[19] 웹사이트 X-ray Detection Sheds New Light on Pluto https://www.nasa.gov[...] 2016-09-14
[20] 웹사이트 Unlocking the Secrets of an Alien World's Magnetic Field https://www.space.co[...] 2014-11-20
[21] 학술지 Magnetic moment and plasma environment of HD 209458b as determined from Ly observations
[22] 웹사이트 Magnetic Fields of 'Hot Jupiter' Exoplanets Are Much Stronger Than We Thought https://www.space.co[...] 2019-07-29
[23] 학술지 Magnetic field strengths of hot Jupiters from signals of star-planet interactions 2019-12
[24] 학술지 The search for radio emission from the exoplanetary systems 55 Cancri, υ Andromedae, and τ Boötis using LOFAR beam-formed observations
[25] 웹사이트 Exoplanets Could Help Us Learn How Planets Make Magnetism https://www.quantama[...] 2023-08-07
[26] 웹사이트 Signatures of Strong Magnetization and Metal-poor Atmosphere for a Neptune-Size Exoplanet, Ben-Jaffel et al. 2021 http://data.iap.fr/d[...]
[27] 학술지 Coherent radio bursts from known M-dwarf planet host YZ Ceti 2023-04
[28] arXiv Star-Planet Interaction at radio wavelengths in YZ Ceti: Inferring planetary magnetic field 2023-05
[29] 웹사이트 A magnetic field on a nearby Earth-sized exoplanet? https://earthsky.org[...] 2023-04-10
[30] 웹사이트 Exoplanets Could Help Us Learn How Planets Make Magnetism https://www.quantama[...] 2023-08-07
[31] 웹사이트 2.「ひさき」が明らかにした木星磁気圏の動的描像 https://www.isas.jax[...]
[32] 뉴스 地球の磁気圏に巨大な穴、見つかる http://www.gizmodo.j[...] Gizmodo Japan 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