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반구는 지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지역을 의미한다. 플라이스토세 동안 여러 차례의 빙하기를 겪었으며, 현재는 간빙기인 홀로세에 속한다. 북극, 북온대 지역, 열대 지역으로 구분되며,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해류와 기상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북반구에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과 다양한 국가 및 지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지구 인구의 약 87%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반구 - 북극점
북극점은 지구 자전축이 표면과 만나는 지점으로 지구 좌표계의 기준이 되며, 자전축 움직임과 지구 질량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하고, 탐험, 군사적 목적, 과학 연구, 관광 등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국제법상 소유 국가는 없다. - 반구 - 남반구
남반구는 지구의 적도 남쪽에 위치하며 북반구와 대조적인 특징을 보이고 오스트레일리아, 남아메리카 대부분, 아프리카 일부, 아시아 일부 섬, 남극 대륙을 포함하며,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고, 넓은 바다 면적으로 온화한 기후를 띠며, 독특한 천체 현상과 다양한 생태계,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발전 수준을 가진 8억 5천만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 반구 - 수반구
수반구는 남위 47도 13분, 동경 178도 28분을 중심으로 해양 면적이 넓고 태평양, 인도양, 남극해와 남극 대륙, 오세아니아, 아시아, 아메리카 일부를 포함하며 국제 해양 교통과 자원 개발의 중심지로서 국제 관계 및 대한민국의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북반구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정의 | 지구의 적도 북쪽에 있는 절반 |
면적 | 지구 표면의 약 50% |
대륙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주요 해양 | 북극해 북대서양 북태평양 |
인구 | 전 세계 인구의 약 90% |
육지 면적 | 전 세계 육지 면적의 약 67% |
계절 | |
봄 | 3월 ~ 5월 |
여름 | 6월 ~ 8월 |
가을 | 9월 ~ 11월 |
겨울 | 12월 ~ 2월 |
특징 | |
극지방 | 북극 |
해류 | 북대서양 해류, 태평양 해류 등의 복잡한 해류 시스템 |
기후 | 다양하며, 사막, 열대, 툰드라, 냉대 기후 등 존재 |
천문학 | |
관측 대상 | 북쪽 하늘 |
천체 | 북극성을 포함한 다양한 별자리 |
기타 | |
관련 개념 | 남반구, 적도 |
2. 지리 및 기후
플라이스토세 (250만 년 전 ~ 1만 년 전) 동안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약 4만 년에서 10만 년 간격으로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었다. 긴 빙하기는 약 1만 년에서 1만 5천 년 지속되는 온화하고 짧은 간빙기로 구분된다. 마지막 빙하기는 약 1만 년 전에 끝났으며,[4] 현재 지구는 홀로세라 불리는 간빙기에 있다.[5] 빙하기 동안 발생한 빙하는 북반구의 많은 지역을 덮었다.
북반구의 온대 지역에서는 10월~3월이 춥고, 4월~9월은 따뜻하다. 육지 면적 비율이 높고 고위도 지역에 대륙이 있어 북반구 기후는 남반구와 다소 다르다. 고위도에 대륙이 위치하기 때문에 시베리아 고기압 등 남반구에 비해 대규모 기단이 발생한다. 육지 면적 비율이 높아 열적도의 평균 위치는 주로 북반구를 지난다. 남극 대륙을 제외한 최저 기온은 러시아 오이묘콘에서 -71.2도로 관측되었고, 최고 기온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에서 56.7도로 관측되었는데,[16] 이는 육지 비율의 편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기 대순환은 남반구와 비슷하게 아열대 지방에서 적도를 향해 북동 무역풍이 불고, 중위도 지역에는 편서풍이 분다. 서태평양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태풍이나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서 해양을 통과하는 허리케인, 그리고 넓게 대륙 동해안에서 적도 쪽에 걸쳐 나타나는 몬순 등의 기상 현상이 두드러진다.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는 히말라야 산맥에 있고, 2위인 K2는 카라코람 산맥에 있다. 가장 긴 나일 강은 북반구의 지중해로 흘러들고, 3위인 양자강은 동중국해로 흘러든다.
일영표의 그림자는 천정점 북쪽 위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2. 1. 위도별 기후대
북극권(북위 66°34′) 내 지역은 여름에 해가 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있고, 겨울에는 해가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의 지속 기간은 북극권 바로 위 지점에서는 하루이지만, 북극점 근처에서는 수개월에 이른다. 북극권과 북회귀선(북위 23°26′) 사이에는 북온대 지역이 있다. 이 지역의 여름과 겨울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더위나 추위보다는 온화하다. 그러나 온대 기후는 매우 예측 불가능한 날씨를 가질 수 있다. 대한민국 대부분 지역이 이 기후대에 속한다.열대 지역(북회귀선과 적도 사이)은 일반적으로 일 년 내내 덥고 여름철에는 우기, 겨울철에는 건기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2. 2. 코리올리 효과와 해류
북반구에서 지구 표면 위를 이동하는 물체는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6] 이로 인해 대규모 수평 기류나 수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해류를 형성한다.[6] 이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해류 순환 패턴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6] 북반구 내에서 해류는 북쪽 해안의 기상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다.[7] 대한민국 연안에는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동한 난류가 흐른다.2. 3. 기상 현상
북반구에서 지구 표면 위 또는 위를 이동하는 물체는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대규모 수평 기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해류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6] 북반구 내에서 해류는 북쪽 해안 내 많은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7] 같은 이유로, 지구 북쪽 표면을 향해 아래로 흐르는 기류는 시계 방향 패턴으로 표면에 퍼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시계 방향의 공기 순환은 북반구의 고기압 기상 시스템의 특징이다. 반대로, 지구 북쪽 표면에서 상승하는 공기(저기압 지역 생성)는 시계 반대 방향 패턴으로 공기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 허리케인과 열대 폭풍(대규모 저기압 시스템)은 북반구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8]대한민국은 여름철에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3. 인구 통계
2015년을 기준으로 북반구에는 약 64억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전체 인구 73억 명의 약 87.0%에 해당한다.[11][12][13] 남반구에 비해 육지 면적 비율, 특히 온대에 위치한 육지의 비율이 높다는 점이 인구와 기후 양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4대 문명이 북반구에서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인구는 역사적으로 북반구에 치우쳐 왔다. 세계 인구의 약 87%가 북반구에 거주한다(세계 인구 연감 2019에 의해 산출).[15]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14억 명), 인도 (13억 명) 등 아시아에 인구가 편중되어 있다.
4. 역사
약 2억 년 전, 판게아(Pangea)가 분리되면서 북반구에 위치했던 로라시아(Laurasia) 대륙이 형성되었다. 이후 로라시아 대륙은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으로 다시 분리되었다. 인도 아대륙은 곤드와나(Gondwana) 대륙에서 분리되어 북상,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을 형성하였다. 이 충돌로 인해 기류가 바뀌어 중앙아시아는 건조해지고 동아시아는 습윤해졌다고 여겨진다.
5. 대륙 및 지역
북반구에는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대륙이 속해 있다.[14] 아프리카는 약 3분의 2, 아메리카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제도 전체와 남아메리카의 약 5분의 1, 그리고 아시아와 유럽은 대륙 전체가 북반구에 해당된다.[14]
아프리카 | 아시아 | 아메리카 | 유럽 |
---|---|---|---|
가봉의 리브르빌 북쪽(서쪽)에서 소말리아의 모가디슈 남쪽(동쪽)까지 약 3분의 2가 북반구에 속한다. | 대륙 본토 전체와 인도네시아의 일부, 몰디브의 26개 환초 중 24개 환초가 북반구에 위치한다. |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제도 전체, 에콰도르의 키토 북쪽(서쪽)에서 브라질의 아마존강 하구 북쪽(동쪽)까지 남아메리카의 약 5분의 1이 북반구에 속한다. | 유럽 대륙 전체가 북반구에 위치한다. |
각 대륙별, 대양별 자세한 국가는 하위 문서를 참고.
5. 1.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바레인,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키프로스, 조지아, 인도,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네팔, 북한, 오만,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리랑카, 시리아,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예멘은 북반구에 위치한 아시아 국가들이다.[14] 몰디브는 대부분 북반구에 속하며, 인도네시아의 일부도 북반구에 위치한다.[14]세계 인구의 약 87%가 북반구에 거주하며,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14억 명)과 인도 (13억 명) 등 아시아에 인구가 편중되어 있다.[15]
지역 | 국가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중국, 일본, 몽골, 북한 |
동남아시아 |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
남아시아 |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인구 밀도 높음) |
서아시아 | 중동 지역 (석유 자원 풍부) |
중앙아시아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과거 실크로드 중심지) |
북아시아 |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 |
대기 대순환은 남반구와 비슷하게 아열대 지방에서 적도를 향해 북동 무역풍이 불고, 중위도 지역에는 편서풍이 분다. 서태평양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태풍이나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서 해양을 통과하는 허리케인, 그리고 넓게 대륙 동해안에서 적도 쪽에 걸쳐 나타나는 몬순 등의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는 히말라야 산맥에, 2위인 K2는 카라코람 산맥에 위치한다. 3위인 양쯔강은 동중국해로 흘러든다.
5. 2. 유럽
유럽 대륙 전체는 북반구에 위치한다.[1] 유럽은 지리적 위치와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서유럽: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역사적으로 강대국이었던 국가들이 위치한다.
- 동유럽: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과거 공산주의 국가였던 지역이다.
- 남유럽: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등 지중해 연안 국가들이 위치한다.
- 북유럽: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 복지 국가로 알려진 국가들이 위치한다.
- 중앙유럽: 오스트리아, 체코, 헝가리 등 다양한 문화가 혼재된 지역이다.
유럽에 속한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1]
전체 | 대부분 |
---|---|
valign=top| | valign=top| |
5. 3. 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제도 전체가 북반구에 속한다.[14]국가 |
---|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서 해양을 통과하는 허리케인은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상 현상 중 하나이다. 최고 기온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데스밸리에서 56.7°C[16]로 관측되었다.
5. 4. 아프리카
아프리카 대륙의 약 3분의 2가 북반구에 속한다.전체 | 대부분 | 일부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6. 해류
북반구에는 태평양과 대서양에 주요 해류가 있다. 태평양에는 북적도 해류, 쿠로시오 해류, 북태평양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 등이, 대서양에는 멕시코 만류, 북대서양 해류, 알래스카 해류 등이 있다.
6. 1. 태평양
북적도 해류: 적도 부근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이다.쿠로시오 해류: 일본 남쪽에서 북동쪽으로 흐르는 난류로, 대한민국 연안에 영향을 미치는 동한 난류의 근원이다.
북태평양 해류: 쿠로시오 해류가 이어져 북아메리카 서해안으로 흐르는 해류이다.
캘리포니아 해류: 북아메리카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한류이다.
6. 2. 대서양
7. 북반구에 위치한 국가 및 지역 목록
대륙 | |||
---|---|---|---|
아프리카 | 아시아 | 아메리카 | 유럽 |
가봉 리브르빌 북쪽(서쪽)에서 소말리아 모가디슈 남쪽(동쪽)까지 약 3분의 2. | 대륙 본토 전체. 인도네시아 일부와 몰디브의 26개 환초 중 24개 환초도 북반구에 위치. |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제도 전체. 에콰도르 키토 북쪽(서쪽)에서 브라질 아마존강 하구 북쪽(동쪽)까지 남아메리카의 약 5분의 1. | 북반구 전체[1] |
국가 또는 지역 | |||
아프리카 | 아시아 | 아메리카 | 유럽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대양 | |||
북극해 | 대서양 | 인도양 | 태평양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참조
[1]
논문
Report of the IAU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2009
https://web.archive.[...]
2018-09-26
[2]
웹사이트
Ocean Currents
https://education.na[...]
2019-07-01
[3]
서적
Life on Earth: A – G..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9-08
[4]
간행물
Quaternary Period
https://web.archive.[...]
2022-05-06
[5]
뉴스
How long can we expect the present Interglacial period to last?
https://www.usgs.gov[...]
2022-05-06
[6]
웹사이트
Boundary Currents – Currents: NOAA's National Ocean Service Education
https://oceanservice[...]
2020-07-31
[7]
웹사이트
How does the ocean affect climate and weather on land?
https://oceanexplore[...]
U.S. Department of Commerce
2023-11-21
[8]
웹사이트
Hurricanes: Science and Society: Primary Circulation
http://www.hurricane[...]
2021-08-11
[9]
웹사이트
Does the Moon look different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hemispheres? (Beginner) – Curious About Astronomy? Ask an Astronomer
http://curious.astro[...]
2015-11-10
[10]
웹사이트
Perspective of the Moon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Hemispheres
https://web.archive.[...]
2013-10-22
[11]
간행물
World Population Yearbook 2019
[12]
웹사이트
90% Of People Live In The Northern Hemisphere – Business Insider
http://www.businessi[...]
2015-11-10
[13]
웹사이트
GIC – Article
http://find.galegrou[...]
2015-11-10
[14]
서적
세계 각 위도대의 해륙의 면적과 그 비
理科年表
[15]
간행물
세계인구연감 2019
[16]
뉴스
「バスラ58.8度」は誤記か=日本で有名な「世界最高気温」―気象研研究者
http://news.goo.ne.j[...]
時事通信
2013-08-17
[17]
서적
Merriam Webster's Online Dictionary
http://www.m-w.com/d[...]
Merriam-Webster,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