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메이카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메이카의 국가는 "Jamaica, Land We Love"로, 1962년 자메이카 독립 이후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1961년 국가 가사 공모전을 통해 휴 셜록 목사가 가사를, 로버트 라이트본이 작곡했으며, 메이플토프트 폴과 크리스틴 앨리슨 폴이 편곡했다. 이 국가는 자메이카의 종교적, 사회적 가치를 담아 애국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며, 독립 기념일 등 공식 행사와 방송 종료 시퀀스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메이카의 노래 - Rivers of Babylon
"Rivers of Babylon"은 라스타파리 신앙에서 억압과 부패를 상징하는 "바빌론"에 대한 저항과 자유를 갈망하는 내용을 담은 곡으로, 시편 137편을 기반으로 보니 M.이 1978년 발표하여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상업적 성공을 위해 가사가 수정되기도 했다. - 자메이카에 관한 노래 - No Woman, No Cry
No Woman, No Cry는 밥 말리가 작곡한 레게 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친구 빈센트 포드에게 작곡 크레딧이 돌아갔고, 1974년 앨범에 처음 발표된 후 1975년 라이브 버전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사회적 약자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메시지로 사랑받고 있다. - 자메이카의 상징 - 자메이카의 국기
자메이카의 국기는 1962년 독립과 함께 제정되었으며, 검정(국민의 강인함), 녹색(자연과 희망), 금색(국가의 부)으로 구성되어 가로 세로 비율이 2:1인 자메이카를 대표하는 국기이다. - 자메이카의 상징 - 자메이카의 국장
자메이카의 국장은 자메이카를 상징하는 공식 문장으로, 타이노족 남녀, 레드 우드, 타이노족 전사, 국가 표어, "자메이카" 문구가 새겨진 두루마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국의 식민지 시기를 거치며 여러 번 변경되어 독립을 앞두고 현재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었다.
자메이카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국가 | 자메이카 |
표어 | 'Out of Many, One People (많은 것에서 하나의 백성으로)' |
국가 채택일 | 1962년 7월 19일 |
작사가 | 휴 셜록 |
작사 시기 | 1962년 7월 |
작곡가 | 로버트 라이트본 (메이플토프트 풀 편곡) |
작곡 시기 | 1962년 7월 |
2. 역사
자메이카 독립을 선언하기 전, 자메이카는 영국의 통치를 받는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서인도 연방 주였다. 이 나라는 노먼 맨리 총리의 통치 하에 연방에 가입했으며, 그는 또한 탈식민지화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다양한 헌법 개정을 했다.[2] 이러한 개정을 통해 국가는 더 많은 자치권을 갖게 되었고, 총리가 이끄는 내각 구성을 허용했다. 노먼 맨리 총리의 서인도 연방 참여는 인기가 없었고, 1962년 8월 6일 국가의 독립으로 이어졌으며, 1962년 7월에 선정된 국가가 그날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3][4]
1961년 9월, 주요 정당인 국민당은 자메이카의 미래 국가 가사를 쓰는 공모전을 발표했으며, 이 공모는 자메이카 의회 의원들이 심사했다.[4] 이 공모에는 거의 100개의 원고가 접수되었으며, 3월 17일에 마감일이 결정된 후 1962년 3월 31일에 마감되었다. 의회는 1962년 7월 19일에 두 개의 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투표를 실시했고, 압도적인 다수로 한 원고가 선택되었다.[4] 우승 원고는 호놀룰루의 휴 셜록 목사가 썼고, 음악은 호놀룰루의 로버트 라이트본이 작곡했으며, 국가 편곡은 메이플토프트 폴과 크리스틴 앨리슨 폴이 했다.[5][6][4] 자메이카 국가 "Jamaica, Land We Love"는 원래 1962년 8월 6일 킹스턴의 국립 경기장에서 공식 독립 기념식에서 처음 연주되었다.
2. 1. 국가 제정 과정
1961년, 노먼 맨리 총리가 이끌던 자메이카는 영국의 통치를 받는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서인도 연방 주였다.[2] 노먼 맨리 총리는 탈식민지화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헌법 개정을 추진했고, 이를 통해 자메이카는 더 많은 자치권을 확보하고 총리가 이끄는 내각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2] 하지만, 노먼 맨리의 서인도 연방 참여는 인기가 없었고, 결국 1962년 8월 6일 자메이카는 독립을 선언했다.[3][4]1961년 9월, 주요 정당인 국민당은 자메이카의 미래 국가 가사를 쓰는 공모전을 발표했고, 자메이카 의회 의원들이 심사했다.[4] 이 공모에는 거의 100개의 원고가 접수되었으며, 마감일은 1962년 3월 31일이었다.[4] 의회는 1962년 7월 19일에 두 개의 국가를 선택하는 투표를 실시했고, 압도적인 다수로 한 원고가 선택되었다.[4] 우승 원고는 휴 셜록 목사가 작성했고, 로버트 라이트본이 작곡했으며, 국가 편곡은 메이플토프트 폴과 크리스틴 앨리슨 폴이 담당했다.[5][6][4] 자메이카 국가 "Jamaica, Land We Love"는 1962년 8월 6일 킹스턴의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공식 독립 기념식에서 처음 연주되었다.
2. 2. 독립 이후
1961년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1962년 8월 6일 자메이카는 독립하였고, 같은 해 7월에 선정된 국가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3][4] 국민당은 1961년 9월, 자메이카의 미래 국가 가사를 쓰는 공모전을 발표했으며, 이 공모는 자메이카 의회 의원들이 심사했다.[4] 1962년 7월 19일, 의회는 투표를 통해 휴 셜록 목사가 작성하고 로버트 라이트본이 작곡했으며, 메이플토프트 폴과 크리스틴 앨리슨 폴이 편곡한 "Jamaica, Land We Love"를 국가로 선정했다.[5][6][4]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은 1962년 8월 6일 킹스턴의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공식 독립 기념식에서 처음 연주되었다.[4]3. 가사
'''1절'''
:영원한 아버지, 우리의 땅을 축복해주소서
:당신의 전능한 손으로 우리를 이끌어주소서
:악한 세력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소서
:무한한 시간 동안 빛이 되어 주소서
:우리의 지도자여, 위대한 수호자여,
'''후렴'''
:진실한 지혜를 내려주소서
:정의, 진실이 영원하도록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자메이카,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2절'''
:진실한 존중을 모두에게 가르쳐주소서
:의무의 부름에 응답하소서
:약한 우리를 강하게 하여 아껴주소서
:우리가 죽지 않도록 통찰력을 주소서
:지식이 우리를 천국에 계신 아버지에게 닿게 해줄 것이니,
'''후렴'''
:진실한 지혜를 내려주소서
:정의, 진실이 영원하도록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자메이카,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1절은 영원하신 아버지에게 자메이카를 축복하고, 악의 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오랜 시간 동안 빛이 되어 달라고 간구한다.[4] 또한 지도자들에게 참된 지혜를 내려 정의와 진실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자메이카를 사랑하는 땅이라고 칭송한다.[4]
2절에서는 모든 사람을 존중하고 의무에 응답하며, 약자를 소중히 여기고 멸망하지 않도록 비전을 달라고 요청한다.[4] 또한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게 지식과 참된 지혜를 내려 정의와 진실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자메이카를 사랑하는 땅이라고 노래한다.[4]
이는 자메이카의 종교적, 사회적 가치관을 반영하며, 국민들에게 애국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특히, "정의, 진실이 영원하도록"이라는 구절은 사회 정의와 진실 추구를 강조하는 중도진보적 가치와 연결되며, 약자를 보호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가사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연대를 강조하는 사회자유주의적 관점을 반영한다.
3. 1. 한국어 가사
] 랜드/'''R'''영어]/'''R'''영어 어스/us영어 위/with영어 타이/Thy영어 마이티/mighty영어 핸/hand영어
]/'''P'''영어 어스/us영어 프리/free영어 프롬/from영어 ]/'''V'''영어 ㄹ/'''L'''영어] ㅍ/'''P'''영어아워[ㅈ/'''Z'''영어]
]/'''R'''영어 라잇/light영어 뜨루-/through영어 ]/'''T'''영어레스 ]/'''Z'''영어
]/'''R'''영어 ]/'''Z'''영어 ]/'''T'''영어 ]/'''R'''영어
]/'''T'''영어 트루-/true영어 위즈덤/wisdom영어 프롬/from영어 ]/'''V'''영어
]/'''S'''영어티[ㅅ/'''S'''영어] 트루-/truth영어 비/be영어 ]/'''Z'''영어 ]/'''R'''영어
]/'''M'''영어메이카 랜드/land영어 위/we영어 ]/'''V'''영어
]/'''M'''영어메이카, ]/'''M'''영어메이카, ]/'''M'''영어메이카, 랜드/land영어 위/we영어 ]/'''V'''영어
]/'''CH'''영어 어스/us영어 트루-/true영어 ]/'''T'''영어 ]/'''R'''영어 올/all영어
]/'''R'''영어 ]/'''S'''영어 투/to영어 ]/'''Z'''영어 콜/call영어
]/'''TH'''영어언 어스/us영어 더/the영어 ]/'''K'''영어 투/to영어 ]/'''SH'''영어
]/'''V'''영어 어스/us영어 비전/vision영어 ]/'''T'''영어 위/we영어 ]/'''SH'''영어
]/'''J'''영어 ]/'''D'''영어 어스/us영어, ]/'''V'''영어언리 ]/'''R'''영어
]/'''T'''영어 트루-/true영어 위즈덤/wisdom영어 프롬/from영어 ]/'''V'''영어
]/'''S'''영어티[ㅅ/'''S'''영어] 트루-/truth영어 비/be영어 ]/'''Z'''영어 ]/'''R'''영어
]/'''M'''영어메이카 랜드/land영어 위/we영어 ]/'''V'''영어
]/'''M'''영어메이카, ]/'''M'''영어메이카, ]/'''M'''영어메이카, 랜드/land영어 위/we영어 ]/'''V'''영어[4]
1절
영원하신 아버지, 우리 땅에 복을 내려주소서
주님의 강한 손으로 우리를 지켜주소서
사악한 세력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고
수많은 시간 동안 우리의 빛이 되어주소서
우리의 지도자들에게, 위대한 수호자시여,
진정한 지혜를 위로부터 내려주소서
정의와 진실이 영원히 우리 것이 되게 하소서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자메이카, 자메이카,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2절
모든 사람을 진정으로 존중하는 법을 가르쳐주소서
의무의 부름에 응답하게 하소서
약자를 소중히 여기도록 우리를 강하게 하시고
우리가 멸망하지 않도록 비전을 주소서
지식을 우리에게 보내주소서, 하늘의 아버지,
진정한 지혜를 위로부터 내려주소서
정의와 진실이 영원히 우리 것이 되게 하소서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자메이카, 자메이카,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
"정의, 진실이 영원하도록"이라는 구절은 사회 정의와 진실 추구를 강조하는 중도진보적 가치와 연결되며, 약자를 보호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가사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연대를 강조하는 사회자유주의적 관점을 반영한다.
3. 2. 가사 해설
1절은 영원하신 아버지에게 자메이카를 축복하고, 악의 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오랜 시간 동안 빛이 되어 달라고 간구한다.[4] 또한 지도자들에게 참된 지혜를 내려 정의와 진실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자메이카를 사랑하는 땅이라고 칭송한다.[4]2절에서는 모든 사람을 존중하고 의무에 응답하며, 약자를 소중히 여기고 멸망하지 않도록 비전을 달라고 요청한다.[4] 또한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게 지식과 참된 지혜를 내려 정의와 진실이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자메이카를 사랑하는 땅이라고 노래한다.[4]
이는 자메이카의 종교적, 사회적 가치관을 반영하며, 국민들에게 애국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4. 사용
4. 1. 경례
모든 사람은 국가 제창 시 차렷 자세를 취해야 하며, 남자는 모자를 벗어야 한다.[7] 제복을 착용한 사람은 경례해야 한다. 총독과 총리의 도착과 출발은 국가의 첫 소절 연주 또는 재생으로 표시된다.[7] 또한, 각 학년의 시작과 끝에서 깃발을 올리고 내릴 때, 그리고 독립 기념일 축하 행사 동안 국가를 제창해야 한다.[8]4. 2. 기타 사용
"자메이카, 우리가 사랑하는 땅"은 자메이카 문화와 역사에 관한 텔레비전 쇼와 다큐멘터리에 등장해왔다. 독립 기념일과 자메이카 선수가 참여하는 운동 경기 등 국경일 행사 및 텔레비전 방송에 흔히 사용된다.[9] 자메이카에서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국에서 관례적으로 국가를 방송 종료 시퀀스 중에 연주하는데, 이는 방송이 24시간 운영되지 않고 밤에는 운영을 중단했던 시대를 기리는 것이다.[9] 텔레비전 자메이카(Television Jamaica)와 라디오 자메이카(Radio Jamaica)는 국가를 방송 종료 루틴에 포함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이 방송국들은 일일 방송 종료 시 일반적으로 국가를 연주하여 송신을 중단하기 전에 프로그램의 공식적인 마무리를 알린다.[9]5. 평가 및 영향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한국과의 관계
6. 1. 문화 교류
6. 2. 경제 협력
6. 3. 인적 교류
참조
[1]
웹사이트
'Jamaican National Symbols {{!}} The National Library of Jamaica'
https://nlj.gov.jm/j[...]
2024-06-01
[2]
웹사이트
Jamaica: Self governmen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8-01
[3]
웹사이트
West Indies Federation
http://www.caricom.o[...]
Caricom
2015-08-01
[4]
웹사이트
Anthem & Pledge
https://jis.gov.jm/i[...]
Jamaica Information Service
2020-05-08
[5]
웹사이트
The forgotten woman
http://www.jamaicaob[...]
2011-08-28
[6]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co-authors finally have their day
http://www.jamaicaob[...]
2011-10-18
[7]
웹사이트
'Anthem & Pledge – Jamaica Information Service'
https://jis.gov.jm/i[...]
2024-06-01
[8]
웹사이트
'Jamaican National Symbols {{!}} The National Library of Jamaica'
https://nlj.gov.jm/j[...]
2024-06-01
[9]
웹사이트
'Jamaican National Anthem Lyrics, History and Protocol {{!}} theCaribbeanAmphibian.com'
https://www.thecarib[...]
2024-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