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문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문휴는 발해 무왕의 명을 받아 732년 당나라의 등주를 공격한 발해의 장군이다. 흑수말갈 문제로 당나라와 대립하던 중, 당나라와 흑수말갈 간의 추가적인 접촉을 막기 위해 무왕은 장문휴에게 등주 공격을 명령했다. 장문휴의 등주 공격은 발해가 당나라와 대등한 군사력을 보유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발해와 당나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의 군인 - 대문예
대문예는 발해 무왕 시기 흑수말갈 정벌을 반대하여 당나라로 망명, 좌효기장군을 지냈으며 발해로 송환되지 못하고 당나라에서 사망했다. - 8세기 한국 사람 - 연남산
연남산은 연개소문의 아들로, 639년에 태어나 701년에 사망했으며, 아들로 천광부를 두었다. - 8세기 한국 사람 - 김암
김암은 신라의 학자이자 관료, 군사 지도자로, 김유신의 후손이며 당나라 유학 후 음양학 연구와 저술, 여러 주의 태수 역임, 패강진두상 활동, 천문, 풍수지리, 군사 분야 업적, 일본 사신 파견 등의 활동을 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장문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장문휴 |
원어명 | 張文休 |
로마자 표기 | Jang Mun-hyu |
한자 표기 | 張文休 |
한국어 음역 | 장문휴 |
로마자 음역 | Chang Munhyu |
기본 정보 | |
국적 | 발해 |
성별 | 남성 |
생애 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미상 |
경력 | |
주군 | 발해 무왕 |
복무 | 발해군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등주 공격 |
![]() |
2. 당나라와의 군사적 충돌
발해 무왕은 당나라에 대해 강경한 외교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흑수말갈 문제를 둘러싼 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군사적 충돌로 이어졌다. 732년, 무왕은 장군 장문휴에게 수군을 이끌고 당나라의 등주(산둥 반도)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장문휴는 이 명령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등주 자사 위준(韋俊)을 전사시키는 등 당나라에 타격을 입혔다.[1] 이 사건은 발해가 당나라에 군사적으로 맞설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1. 흑수말갈 문제와 당나라의 개입
발해 무왕 시기, 발해는 북쪽에 위치한 흑수말갈 부족 문제로 당나라와 대립하고 있었다. 727년, 흑수말갈이 당나라의 영향력 아래로 들어가자, 발해는 당나라와 흑수말갈이 협력하여 발해를 공격할 것을 우려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발해는 흑수말갈을 먼저 공격하여 견제했다. 나아가 당나라와 흑수말갈 간의 추가적인 연결을 차단하고자, 무왕은 장군 장문휴에게 당나라의 등주(산둥 반도)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732년, 장문휴가 이끄는 발해 수군은 바다를 건너 등주를 공격하여 당나라의 등주 현령 위준(偉俊)을 전사시키는 전과를 올렸다.[1] 발해군은 잠시 등주를 점령했으나, 이후 전략적으로 철수했다.2. 2. 장문휴의 등주 공격 (732년)
발해는 흑수말갈 문제를 두고 당나라와 대립하고 있었다. 727년, 발해 북쪽의 흑수말갈이 당나라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자, 무왕은 당나라와의 협공을 우려하여 흑수말갈을 먼저 공격했다. 또한, 당나라와 흑수말갈 부족 간의 접촉을 차단하고자 732년 (인안 13년)에는 장군 장문휴에게 수군을 이끌고 산둥반도에 있는 당나라의 주요 국제 무역항인 등주(登州)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1] 장문휴가 감행한 해상 공격으로 등주 자사 위준(韋俊)이 살해되는 등 당나라는 큰 타격을 입었다.[1] 등주는 잠시 장문휴 군대에게 점령되었으나, 발해군은 곧 전략적으로 철수하였다.[1] 이는 발해의 군사력을 과시하고 당나라를 압박하려는 목적의 군사 작전이었음을 시사한다.3. 역사적 의의와 평가
장문휴가 이끈 732년(인안 13년) 등주 공격은 단순한 군사적 충돌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당시 발해가 당나라와 대등한 수준의 군사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흑수말갈 문제 등 국제 관계에서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1] 발해 무왕은 727년 흑수말갈이 당나라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 흑수말갈을 먼저 공격했고, 나아가 당나라와 흑수말갈의 연계를 차단하고자 장문휴에게 산둥반도의 등주 공격을 명령했다. 장문휴는 수군을 이끌고 등주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당나라 자사 위준(韋俊)을 살해하고[1] 일시적으로 등주를 점령하는 등 큰 전과를 올렸다. 이 공격은 발해의 군사적 역량과 동북아시아에서의 독자적인 위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후 발해와 당나라의 관계가 악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