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안은 신라, 발해, 일본에서 사용된 연호이다. 연대 대조표가 제시되어 있으며, 주요 사건으로 인안 8년 고인위의 일본 파견, 9년 히키타노 무시마로의 파견이 있다. 신라에서는 성덕왕 19년(720년)부터 효성왕 2년(738년)까지 사용되었고, 일본에서는 양로, 진귀, 덴표 연호와 함께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의 연호 - 대흥 (발해)
대흥은 발해 고왕 대조영 이후 713년부터 737년까지 사용된 연호로, 발해의 정치적 안정과 국제적 위상 강화, 당나라로부터의 공식적인 인정 및 그에 따른 간섭, 신라의 견제 속에서 발해의 독자적인 국가임을 천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 발해의 연호 - 건흥 (발해)
건흥은 발해의 연호로, 819년부터 830년까지 12년간 사용되었으며, 신라 헌덕왕 11년부터 흥덕왕 5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 한국의 연호 - 주체연호
주체연호는 북한에서 김일성 출생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사용하는 연호였으나, 2024년 10월 노동신문에서 그레고리력만 사용하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 한국의 연호 - 건양
건양은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도입된 조선의 연호로, 서양식 역법 도입과 근대 국가 체제로의 이행을 상징하며 대한제국 수립과 함께 폐지되었지만, 조선 근대화 과정의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인안 | |
---|---|
연호 정보 | |
연호 | 인안(仁安) |
사용 기간 | 719년 ~ 737년 |
국가 | 발해(渤海) |
군주 | 발해 무왕 |
2. 연대대조표
진키 원년
덴표 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