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와 자기에 관한 논문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와 자기에 관한 논문집》은 1873년에 출판된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저서로, 정전기학, 전류역학, 자기학, 전자기학을 다루며 전자기 현상에 대한 수학적 이론을 제시한다. 이 책은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을 담고 있으며, 빛의 전자기 이론을 포함하여 현대 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출판 당시와 이후 여러 학자들의 리뷰와 평가를 받았으며, 전자기학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3년 책 - 지옥에서 보낸 한 철
《지옥에서 보낸 한 철》은 아르튀르 랭보가 1873년에 쓴 산문시집으로, 랭보의 개인적인 경험과 고뇌를 담아 분열된 자아와 자유를 추구하는 정신을 보여주며, 문학과의 결별을 선언한 작품이다. - 물리학 책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아이작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는 고전 역학의 기초를 세우고 만유인력의 법칙과 운동 법칙을 제시하여 케플러 법칙을 유도했으며, 다양한 물리 현상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 태양중심설을 옹호하는 근거를 제시한 과학 혁명의 중요한 저서이다. - 물리학 책 - 색채론
- 전자기학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전자기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전기와 자기에 관한 논문집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저자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장르 | 논픽션 논문집 과학 저술 |
출판일 | 1873년 |
주제 | 전자기학 수리물리학 |
언어 | 영어 |
국가 | 영국 |
출판사 |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위키문헌 | A Treatise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
2. 내용
맥스웰의 《전기 및 자기에 관한 논문집》은 서론과 총 4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에서는 전기와 자기 현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 서론: 물리량 측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1부: 정전기학: 정전기 현상, 전기의 수학적 이론, 도체 시스템의 에너지, 등전위면, 영상법, 정전기 측정기 등을 다룬다.
- 제3부: 자기학: 자기의 기초 이론, 자기력, 자기 유도, 자석, 유도 자화, 베버의 자기 유도 이론, 자기 측정, 지자기 등을 다룬다.
- 제4부: 전자기학: 전자기력, 전류의 상호작용, 전류 유도, 역학의 일반 방정식, 빛의 전자기 이론, 원격 작용 이론 등을 다룬다.
2. 1. 제1부: 정전기학
# 현상의 기술.# 전기의 기본적인 수학적 이론.
# 도체계의 전기적 일과 에너지.
# 일반적인 정리.
# 두 전기적 시스템 간의 기계적 작용.
# 평형점 및 평형선.
# 등전위면과 흐름선의 형태.
# 대전의 간단한 경우.
# 구면 조화 함수.
# 이차 곡면의 공초점면.
# 전기 영상 이론.
# 2차원에서의 공액 함수.
# 정전기학 기기.[1]
2. 2. 제2부: 전류역학
- 전류.
- 전도 및 저항.
- 접촉하는 물체 사이의 기전력.
- 전기 분해.
- 전해 분극.
- 전기 전류 분포에 대한 수학적 이론.
- 3차원에서의 전도.
- 3차원에서의 저항과 전도율.
- 불균질 매체를 통한 전도.
- 유전체 내의 전도.
- 도체의 전기 저항 측정.
- 물질의 전기 저항.
2. 3. 제3부: 자기학
# 자기의 기본적인 이론.# 자기력과 자기 유도.
# 자석의 특정 형태.
# 유도 자화.
# 자기 문제.
# 베버의 자기 유도 이론.
# 자기 측정.
# 지자기.
2. 4. 제4부: 전자기학
- 전자기력
- 전류의 상호 작용
- 전류의 유도
- 자체 전류의 유도
- 역학의 일반 방정식
- 전자기학에 대한 역학의 적용
- 전기 역학
- 이차 회로를 이용한 자기장 탐사
- 일반 방정식
- 전기 단위의 차원
- 에너지와 응력
- 전류판
- 평행 전류
- 원형 전류
- 전자기기
- 전자기적 관측
- 유도 계수의 전기적 측정
- 전자기 단위로 저항 결정
- 정전기 단위와 전자기 단위의 비교
- 빛의 전자기 이론
- 빛에 대한 자기 작용
- 자기에 대한 전기 이론
- 원격 작용 이론
3. 평가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1881년에 패러데이의 전기 및 자기력 개념을 수학적으로 해석한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패러데이의 직관이 수학적 분석을 통해 얼마나 정확하고 정밀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4]
올리버 헤비사이드는 1893년에 맥스웰의 이론이 처음에는 모호하고 모순된 부분이 있었지만, 자신의 연구를 통해 표현 형식을 변경하여 명확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과학의 발전에는 끝이 없으므로 맥스웰의 이론을 엄격하게 고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25][26]
알렉산더 맥팔레인은 1902년에 맥스웰의 작업이 헤르츠, 마르코니 등 무선 전신 분야 연구자들의 과학적 토대가 되었다고 평가했다.[27]
올리버 로지는 1907년에 맥스웰이 뛰어난 통찰력, 수학적 능력, 표현력을 바탕으로 패러데이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다른 과학자들의 이론과 연결하여 전기에 관한 현대 과학을 발전시켰다고 설명했다.[28]
E. T. 휘태커는 1910년에 맥스웰의 논문이 전기 및 자기 이론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루지만, 패러데이의 관점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독일 전기 기술자들의 가설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맥스웰의 독창적인 이론은 논문 전반부가 아닌 후반부에 소개된다고 덧붙였다.[29]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31년에 맥스웰 이전의 물리학은 물질적 점을 중심으로 한 전미분 방정식으로 설명되었지만, 맥스웰 이후에는 편미분 방정식이 적용되는 연속적인 장으로 물리적 현실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뉴턴 이후 물리학에서 가장 심오하고 유익한 변화라고 평가했다.[30]
리처드 파인만은 1964년에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은 맥스웰의 전자기학 법칙 발견이며, 미국 남북 전쟁은 이에 비하면 무의미한 사건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L. 피어스 윌리엄스는 1991년에 맥스웰의 《전기와 자기에 관한 논문집》이 뉴턴의 《프린키피아》처럼 전자기학의 수학적 도구를 제공하고 이론 물리학과 실험 물리학의 틀을 바꾸었으며, 원거리 작용 물리학을 장 물리학으로 대체했다고 평가했다.[31]
마크 실버맨은 1998년에 맥스웰의 '논문집'을 교과서로 삼아 공부한 경험을 회상하며, 맥스웰은 까다로운 교사이지만 그의 저서를 통해 전자기학의 독특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32]
앤드루 워윅은 2003년에 맥스웰이 '논문집'에서 많은 오류를 범했으며, 전자기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맥스웰의 오류와 물리적, 수학적 추론을 구별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3. 1. 리뷰
1873년 4월 24일, 네이처는 이 논문집의 출판을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표하며 극찬했다.[20] 1881년에 제2판이 출판되었을 때, 조지 크리스탈이 《네이처》에 서평을 썼다.[21]피에르 뒤엠은 맥스웰의 《전기 및 자기에 관한 논문집》에서 발견한 오류를 지적하는 비판적인 에세이를 발표했다.[22] 뒤엠의 책은 《네이처》에 서평으로 실렸다.[23]
3. 2. 코멘트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1881년에 패러데이의 전기 및 자기력 개념을 수학적으로 해석한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패러데이의 직관이 수학적 분석을 통해 얼마나 정확하고 정밀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4]올리버 헤비사이드는 1893년에 맥스웰의 이론이 처음에는 모호하고 모순된 부분이 있었지만, 자신의 연구를 통해 표현 형식을 변경하여 명확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과학의 발전에는 끝이 없으므로 맥스웰의 이론을 엄격하게 고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25][26]
알렉산더 맥팔레인은 1902년에 맥스웰의 작업이 헤르츠, 마르코니 등 무선 전신 분야 연구자들의 과학적 토대가 되었다고 평가했다.[27]
올리버 로지는 1907년에 맥스웰이 뛰어난 통찰력, 수학적 능력, 표현력을 바탕으로 패러데이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다른 과학자들의 이론과 연결하여 전기에 관한 현대 과학을 발전시켰다고 설명했다.[28]
E. T. 휘태커는 1910년에 맥스웰의 논문이 전기 및 자기 이론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루지만, 패러데이의 관점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독일 전기 기술자들의 가설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맥스웰의 독창적인 이론은 논문 전반부가 아닌 후반부에 소개된다고 덧붙였다.[29]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31년에 맥스웰 이전의 물리학은 물질적 점을 중심으로 한 전미분 방정식으로 설명되었지만, 맥스웰 이후에는 편미분 방정식이 적용되는 연속적인 장으로 물리적 현실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뉴턴 이후 물리학에서 가장 심오하고 유익한 변화라고 평가했다.[30]
리처드 파인만은 1964년에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은 맥스웰의 전자기학 법칙 발견이며, 미국 남북 전쟁은 이에 비하면 무의미한 사건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L. 피어스 윌리엄스는 1991년에 맥스웰의 《전기와 자기에 관한 논문집》이 뉴턴의 《프린키피아》처럼 전자기학의 수학적 도구를 제공하고 이론 물리학과 실험 물리학의 틀을 바꾸었으며, 원거리 작용 물리학을 장 물리학으로 대체했다고 평가했다.[31]
마크 실버맨은 1998년에 맥스웰의 '논문집'을 교과서로 삼아 공부한 경험을 회상하며, 맥스웰은 까다로운 교사이지만 그의 저서를 통해 전자기학의 독특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32]
앤드루 워윅은 2003년에 맥스웰이 '논문집'에서 많은 오류를 범했으며, 전자기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맥스웰의 오류와 물리적, 수학적 추론을 구별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참조
[1]
서적
The Maxwellians
1991
[2]
서적
Waves and Grains: reflections on light and learn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Maxwell's Mathematical Rhetoric: rethinking the Treatise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Green Lion Press
2010
[4]
학술지
A Treatise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https://www.nature.c[...]
1873-04-24
[5]
뉴스
Review: 2nd edition
http://www.nature.co[...]
Nature
1882
[6]
서적
Les Théories Électriques de J. Clerk Maxwell: Étude Historique et Critique
https://archive.org/[...]
A. Hermann
1902
[7]
뉴스
A French Critic of Maxwell
http://www.nature.co[...]
Nature
1902-04-17
[8]
강연
On the modern development of Faraday's conception of electricity
Royal Society
1881
[9]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893
[10]
서적
The Maxwellians
[11]
서적
Lectures on Ten British Physicists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916
[12]
서적
Modern Views of Electricity
Macmillan & Company
1907
[13]
서적
A History of the Theories of Aether and Electricity
1910
[14]
학술지
Maxwell's Influence On The Evolution Of The Idea Of Physical Reality
https://web.archive.[...]
C.U.P.
2014-07-07
[15]
서적
The Maxwellian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16]
서적
The Maxwellians
1991
[17]
서적
Masters of Theory: Cambridge and the Rise of Mathematical Phys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18]
서적
The Maxwellians
1991
[19]
서적
Maxwell's Mathematical Rhetoric: rethinking the Treatise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Green Lion Press
2010
[20]
저널
A Treatise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https://www.nature.c[...]
1873-04-24
[21]
뉴스
Review: 2nd edition
http://www.nature.co[...]
Nature
1882
[22]
서적
Les Théories Électriques de J. Clerk Maxwell: Étude Historique et Critique
https://archive.org/[...]
A. Hermann
1902
[23]
뉴스
A French Critic of Maxwell
http://www.nature.co[...]
Nature
1902-04-17
[24]
강연
On the modern development of Faraday's conception of electricity
Royal Society
1881
[25]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893
[26]
서적
The Maxwellians
[27]
서적
Lectures on Ten British Physicists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916
[28]
서적
Modern Views of Electricity
Macmillan & Company
1907
[29]
서적
A History of the Theories of Aether and Electricity
1910
[30]
저널
Maxwell's Influence On The Evolution Of The Idea Of Physical Reality
https://web.archive.[...]
C.U.P.
2014-07-07
[31]
서적
The Maxwellians
1991
[32]
서적
Waves and Grains: reflections on light and learn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