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속언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정속언해(正俗諺解)는 1518년(중종 13년)에 김안국이 중국의 『정속편(正俗篇)』을 한글로 번역한 책입니다. 『정속편』은 원나라 일암왕(逸庵王)이 지은 책으로, 14세기 중엽 왕지화(王至和)가 서문을 붙여 간행하였습니다.

정속언해는 풍속을 바로잡기 위해 다음과 같은 18가지 조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효부모(孝父母): 부모에게 효도하라.
  • 우형제(友兄弟): 형제간에 우애 있게 지내라.
  • 화실가(和室家): 집안을 화목하게 하라.
  • 훈자손(訓子孫): 자손을 올바르게 가르쳐라.
  • 목종족(睦宗族): 친족 간에 화목하라.
  • 후친의(厚親誼): 친척과 이웃 간에 정을 두텁게 하라.
  • 휼인리(恤隣里): 이웃을 도와라.
  • 신교우(愼交友): 벗을 신중하게 사귀어라.
  • 대간복(待幹僕): 하인을 잘 대우하라.
  • 근상제(謹喪祭): 상례와 제례를 신중하게 하라.
  • 중분묘(重墳墓): 묘를 소중히 여겨라.
  • 원음사(遠淫祀): 음란한 제사를 멀리하라.
  • 무본업(務本業): 생업에 힘써라.
  • 수전조(收田租): 세금을 잘 내라.
  • 숭검박(崇儉朴): 검소하게 생활하라.
  • 징분노(懲忿怒): 분노를 다스려라.
  • 진기황(賑飢荒): 흉년에는 서로 도와라.
  • 적음덕(積陰德): 남모르게 덕을 쌓아라.


김안국은 경상도 관찰사로 재직하면서 백성들의 풍속을 교화하기 위해 『정속편』을 번역하고, 원문에 구결을 달아 1518년에 경상도에서 간행하였습니다. 정속언해는 1권 1책의 목판본 형태로, 여씨향약언해, 이륜행실도 등과 함께 간행되었습니다.

정속언해는 한글로 번역되어 백성들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선시대 윤리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16세기 국어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계명대학교 이원주 소장본은 1518년본으로 추정되며, 방점과 ㅿ(옛이응) 등이 나타나 16세기 국어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정속언해
기본 정보
제작 시기성종
저자미상
언어한국어
분야유학
종류언해본
형태목판본
내용
내용 설명'사서의 하나인 대학의 내용을 한글로 번역하여 조선 시대에 간행한 책이다. 대학언해라고도 한다.'
참고 문헌'디지털한글박물관 - 정속언해'
'국립국어원 - 대학언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