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 2.1. 지역구별 선거 결과
- 2.1.1. 중구동 선거구
- 2.1.2. 명륜동 선거구
- 2.1.3. 옥을동 선거구
- 2.1.4. 신흥동 선거구
- 2.1.5. 용성동 선거구
- 2.1.6. 동남동 선거구
- 2.1.7. 대흥동 선거구
- 2.1.8. 대신동 선거구
- 2.1.9. 당북동 선거구
- 2.1.10. 태화동 선거구
- 2.1.11. 법상동 선거구
- 2.1.12. 평화동 선거구
- 2.1.13. 안기동 선거구
- 2.1.14. 안막동 선거구
- 2.1.15. 옥동 선거구
- 2.1.16. 송하동 선거구
- 2.1.17. 송천동 선거구
- 2.1.18. 강남동 선거구
- 2.1.19. 풍산읍 선거구
- 2.1.20. 와룡면 선거구
- 2.1.21. 북후면 선거구
- 2.1.22. 서후면 선거구
- 2.1.23. 풍천면 선거구
- 2.1.24. 일직면 선거구
- 2.1.25. 남후면 선거구
- 2.1.26. 남선면 선거구
- 2.1.27. 임하면 선거구
- 2.1.28. 길안면 선거구
- 2.1.29. 임동면 선거구
- 2.1.30. 예안면 선거구
- 2.1.31. 도산면 선거구
- 2.1.32. 녹전면 선거구
- 2.1. 지역구별 선거 결과
- 참조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는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26개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각 선거구별 당선자는 중구동 정사은, 명륜동 안상하, 옥을동 이실건, 신흥동 이태규, 용성동 김중기, 황명한, 동남동 지성호, 대흥동 박승우, 대신동 권대수, 당북동 김학효, 태화동 손광영, 남재수, 법상동 김근환, 평화동 권경환, 안기동 유영우, 안막동 이영걸, 옥동 김홍일, 송하동 김성진, 송천동 송시태, 강남동 권혁기, 풍산읍 김수한, 와룡면 박재서, 북후면 강병도, 서후면 조영특, 풍천면 신현식, 일직면 이장원, 남후면 김석현, 남선면 권삼석, 임하면 김성구, 길안면 고석환, 임동면 윤병진, 예안면 이두환, 도산면 이동한, 녹전면 이재갑 후보이다.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정사은 후보가 1,032표(56.3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윤종춘 후보는 800표(43.66%)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37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832표였다.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 유권자 수 3,072명 colspan="3" | 후보 득표수 득표율 안상하 (무소속) 1,151표 48.85% 김덕년 (무소속) 901표 38.24% 정만진 (무소속) 304표 12.90% 합계 2,356표 당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안상하 후보가 1,151표(48.85%)를 얻어, 901표(38.24%)를 얻은 무소속 김덕년 후보와 304표(12.90%)를 얻은 무소속 정만진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을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실건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흥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2,322명이었다. 무소속 이태규 후보가 920표(52.15%)를 얻어 844표(47.84%)를 얻은 무소속 황병운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76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용성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중기 후보가 3,721표(36.75%), 무소속 황명한 후보가 3,099표(30.6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도경 후보는 2,277표(22.49%), 무소속 심상동 후보는 1,027표(10.14%)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14,028명, 총 투표수는 10,12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남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지성호 후보가 1,626표(68.06%)를 얻어 763표(31.93%)를 얻은 무소속 이정호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86명, 총 투표수는 2,38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흥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승우 후보가 1,008표(71.64%)를 얻어 399표(28.35%)를 얻은 무소속 손상욱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는 1,836명이고, 총 투표수는 1,40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신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대수 후보가 1,309표(67.75%)를 얻어 623표(32.24%)를 얻은 무소속 소시열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당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학효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태화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광영 후보가 3,325표(34.61%), 무소속 남재수 후보가 2,819표(29.3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김시중 후보 2,242표(23.34%), 무소속 김동진 후보 1,219표(12.69%)를 기록했다. 총 유권자 수는 13,483명, 투표수는 9,605표이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법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근환 후보가 1,141표(50.86%)를 얻어 1,102표(49.13%)를 얻은 무소속 신재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는 2,934명이었고, 2,24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화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권경환 무소속 1,221 35.67% 배원섭 무소속 1,202 35.11% 홍종청 무소속 1,000 29.21% 합계 3,423 100%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권경환 후보가 35.6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기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유영우 후보가 2,986표(47.2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조재진 후보가 2,006표(31.76%), 무소속 정창진 후보가 1,323표(20.95%)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8,59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6,31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막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영걸 후보가 1,081표(56.1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홍락 후보가 516표(26.81%), 무소속 설영락 후보가 327표(16.99%)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407명, 총 투표 수는 1,92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홍일 후보가 54.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홍일 후보는 1,456표를 얻었으며, 다른 무소속 후보인 김평 후보는 36.76%(985표), 이기덕 후보는 8.88%(238표)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3,658명이고, 총 투표수는 2,67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하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성진 후보는 1,132표(20.41%)를 득표하여, 1,027표(18.52%)를 얻은 무소속 박태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권무영(943표, 17.00%), 권진동(936표, 16.88%), 강병국(754표, 13.59%), 김정년(608표, 10.96%), 김형수(145표, 2.61%)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송하동의 유권자는 7,339명이고, 총 5,54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천동 선거구 송시태 (무소속) 550표 (51.78%) 득표로 당선. 김광정 (무소속) 310표 (29.19%) 배순직 (무소속) 202표 (19.02%) 합계: 1,062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혁기 후보가 353표(21.76%)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서정욱(무소속, 346표, 21.33%), 서정빈(무소속, 276표, 17.01%), 서일교(무소속, 261표, 16.09%), 김만호(무소속, 218표, 13.44%), 서대교(무소속, 168표, 10.35%) 후보가 있었다. 총 유권자 수는 2,071명, 총 투표 수는 1,62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산읍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수한 후보가 5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수한 후보는 3,163표를 획득하였으며, 경쟁 후보인 무소속 황시영 후보는 3,029표(48.91%)를 얻는 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8,531명이었고, 이 중 6,192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와룡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재서 후보가 1,526표(39.45%)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기한 후보는 832표(21.50%), 이준구 후보는 795표(20.55%), 김관수 후보는 715표(18.4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강병도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영특 후보가 24.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영특 후보는 745표를 획득했으며, 다른 후보로는 김지섭(무소속, 692표), 장성진(무소속, 679표), 김완섭(무소속, 525표), 권충갑(무소속, 373표) 후보가 출마했다. 전체 유권자는 3,778명이며, 총 3,01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천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신현식 후보가 1,406표(33.5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하종호 후보가 1,140표(27.16%), 무소속 김종원 후보가 968표(23.06%), 무소속 김일환 후보가 682표(16.25%)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5,517명이었고, 총 4,19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직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장원 후보가 1,207표(37.5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정웅 후보(889표, 27.64%), 무소속 오종철 후보(705표, 21.92%), 무소속 신종만 후보(415표, 12.90%)가 출마했다. 총 유권자 수는 4,207명, 총 투표 수는 3,21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석현 후보가 954표(50.34%)를 얻어 941표(49.65%)를 얻은 무소속 김욱동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89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선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삼석 후보가 57.0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권삼석 후보는 1,178표를 획득하였으며, 무소속 김재년 후보는 886표(42.92%)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653명, 투표수는 2,06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하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구 후보가 1,349표(47.0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임낙현 후보가 777표(27.09%), 무소속 김광영 후보가 742표(25.8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6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길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고석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석환 후보는 1,113표(34.14%)를 얻어, 803표(24.63%)를 얻은 김시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조대영 후보는 770표(23.61%), 임병협 후보는 574표(17.60%)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는 4,115명이었고, 총 3,26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동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병진 후보가 대한민국 후보들 중 1,603표(73.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류성기 후보는 592표(26.97%)를 얻는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2,851명, 총 투표수는 2,19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두환 후보가 36.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두환 후보는 807표를 획득하였으며,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세환 후보(771표, 35.09%), 무소속 권정대 후보(619표, 28.17%)가 출마하였다. 전체 유권자는 2,700명이었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산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동한 후보가 35.8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중석 후보가 24.29%, 무소속 이재철 후보가 24.15%, 무소속 이창영 후보가 15.66%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 수는 2,681명이었고, 총 2,062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녹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재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재갑 후보는 1,063표(48.38%)를 득표하여, 720표(32.77%)를 얻은 무소속 이교식 후보와 414표(18.84%)를 얻은 무소속 우병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해당 선거구의 유권자는 2,789명이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2. 1. 지역구별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정사은 후보가 1,032표(56.3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윤종춘 후보는 800표(43.66%)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37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83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 | ||
---|---|---|
유권자 수 | 3,072명 | |
colspan="3" | |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안상하 (무소속) | 1,151표 | 48.85% |
김덕년 (무소속) | 901표 | 38.24% |
정만진 (무소속) | 304표 | 12.90% |
합계 | 2,356표 | 당선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안상하 후보가 1,151표(48.85%)를 얻어, 901표(38.24%)를 얻은 무소속 김덕년 후보와 304표(12.90%)를 얻은 무소속 정만진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을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실건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흥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2,322명이었다. 무소속 이태규 후보가 920표(52.15%)를 얻어 844표(47.84%)를 얻은 무소속 황병운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76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용성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중기 후보가 3,721표(36.75%), 무소속 황명한 후보가 3,099표(30.6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도경 후보는 2,277표(22.49%), 무소속 심상동 후보는 1,027표(10.14%)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14,028명, 총 투표수는 10,12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남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지성호 후보가 1,626표(68.06%)를 얻어 763표(31.93%)를 얻은 무소속 이정호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86명, 총 투표수는 2,38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흥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승우 후보가 1,008표(71.64%)를 얻어 399표(28.35%)를 얻은 무소속 손상욱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는 1,836명이고, 총 투표수는 1,40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신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대수 후보가 1,309표(67.75%)를 얻어 623표(32.24%)를 얻은 무소속 소시열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당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학효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태화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광영 후보가 3,325표(34.61%), 무소속 남재수 후보가 2,819표(29.3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김시중 후보 2,242표(23.34%), 무소속 김동진 후보 1,219표(12.69%)를 기록했다. 총 유권자 수는 13,483명, 투표수는 9,605표이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법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근환 후보가 1,141표(50.86%)를 얻어 1,102표(49.13%)를 얻은 무소속 신재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는 2,934명이었고, 2,24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화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경환 | 무소속 | 1,221 | 35.67% |
배원섭 | 무소속 | 1,202 | 35.11% |
홍종청 | 무소속 | 1,000 | 29.21% |
합계 | 3,423 | 100%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권경환 후보가 35.6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기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유영우 후보가 2,986표(47.2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조재진 후보가 2,006표(31.76%), 무소속 정창진 후보가 1,323표(20.95%)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8,59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6,31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막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영걸 후보가 1,081표(56.1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홍락 후보가 516표(26.81%), 무소속 설영락 후보가 327표(16.99%)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407명, 총 투표 수는 1,92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홍일 후보가 54.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홍일 후보는 1,456표를 얻었으며, 다른 무소속 후보인 김평 후보는 36.76%(985표), 이기덕 후보는 8.88%(238표)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3,658명이고, 총 투표수는 2,67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하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성진 후보는 1,132표(20.41%)를 득표하여, 1,027표(18.52%)를 얻은 무소속 박태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권무영(943표, 17.00%), 권진동(936표, 16.88%), 강병국(754표, 13.59%), 김정년(608표, 10.96%), 김형수(145표, 2.61%)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송하동의 유권자는 7,339명이고, 총 5,54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천동 선거구 |
---|
송시태 (무소속) 550표 (51.78%) 득표로 당선. |
김광정 (무소속) 310표 (29.19%) |
배순직 (무소속) 202표 (19.02%) |
합계: 1,062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혁기 후보가 353표(21.76%)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서정욱(무소속, 346표, 21.33%), 서정빈(무소속, 276표, 17.01%), 서일교(무소속, 261표, 16.09%), 김만호(무소속, 218표, 13.44%), 서대교(무소속, 168표, 10.35%) 후보가 있었다. 총 유권자 수는 2,071명, 총 투표 수는 1,62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산읍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수한 후보가 5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수한 후보는 3,163표를 획득하였으며, 경쟁 후보인 무소속 황시영 후보는 3,029표(48.91%)를 얻는 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8,531명이었고, 이 중 6,192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와룡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재서 후보가 1,526표(39.45%)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기한 후보는 832표(21.50%), 이준구 후보는 795표(20.55%), 김관수 후보는 715표(18.48%)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강병도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영특 후보가 24.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영특 후보는 745표를 획득했으며, 다른 후보로는 김지섭(무소속, 692표), 장성진(무소속, 679표), 김완섭(무소속, 525표), 권충갑(무소속, 373표) 후보가 출마했다. 전체 유권자는 3,778명이며, 총 3,01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천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신현식 후보가 1,406표(33.5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하종호 후보가 1,140표(27.16%), 무소속 김종원 후보가 968표(23.06%), 무소속 김일환 후보가 682표(16.25%)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5,517명이었고, 총 4,19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직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장원 후보가 1,207표(37.5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정웅 후보(889표, 27.64%), 무소속 오종철 후보(705표, 21.92%), 무소속 신종만 후보(415표, 12.90%)가 출마했다. 총 유권자 수는 4,207명, 총 투표 수는 3,21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석현 후보가 954표(50.34%)를 얻어 941표(49.65%)를 얻은 무소속 김욱동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89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선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삼석 후보가 57.0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권삼석 후보는 1,178표를 획득하였으며, 무소속 김재년 후보는 886표(42.92%)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653명, 투표수는 2,06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하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구 후보가 1,349표(47.0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임낙현 후보가 777표(27.09%), 무소속 김광영 후보가 742표(25.8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6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길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고석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석환 후보는 1,113표(34.14%)를 얻어, 803표(24.63%)를 얻은 김시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조대영 후보는 770표(23.61%), 임병협 후보는 574표(17.60%)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는 4,115명이었고, 총 3,26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동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병진 후보가 대한민국 후보들 중 1,603표(73.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류성기 후보는 592표(26.97%)를 얻는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2,851명, 총 투표수는 2,19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두환 후보가 36.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두환 후보는 807표를 획득하였으며,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세환 후보(771표, 35.09%), 무소속 권정대 후보(619표, 28.17%)가 출마하였다. 전체 유권자는 2,700명이었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산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동한 후보가 35.8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중석 후보가 24.29%, 무소속 이재철 후보가 24.15%, 무소속 이창영 후보가 15.66%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 수는 2,681명이었고, 총 2,062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녹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재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재갑 후보는 1,063표(48.38%)를 득표하여, 720표(32.77%)를 얻은 무소속 이교식 후보와 414표(18.84%)를 얻은 무소속 우병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해당 선거구의 유권자는 2,789명이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2. 1. 1. 중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구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정사은 후보가 1,032표(56.3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윤종춘 후보는 800표(43.66%)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37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832표였다.2. 1. 2. 명륜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 | ||
---|---|---|
유권자 수 | 3,072명 | |
colspan="3" | |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안상하 (무소속) | 1,151표 | 48.85% |
김덕년 (무소속) | 901표 | 38.24% |
정만진 (무소속) | 304표 | 12.90% |
합계 | 2,356표 | 당선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명륜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안상하 후보가 1,151표(48.85%)를 얻어, 901표(38.24%)를 얻은 무소속 김덕년 후보와 304표(12.90%)를 얻은 무소속 정만진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2. 1. 3. 옥을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을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실건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1. 4. 신흥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흥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2,322명이었다. 무소속 이태규 후보가 920표(52.15%)를 얻어 844표(47.84%)를 얻은 무소속 황병운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764표였다.2. 1. 5. 용성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용성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중기 후보가 3,721표(36.75%), 무소속 황명한 후보가 3,099표(30.6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도경 후보는 2,277표(22.49%), 무소속 심상동 후보는 1,027표(10.14%)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14,028명, 총 투표수는 10,124표였다.2. 1. 6. 동남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남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지성호 후보가 1,626표(68.06%)를 얻어 763표(31.93%)를 얻은 무소속 이정호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86명, 총 투표수는 2,389표였다.2. 1. 7. 대흥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흥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승우 후보가 1,008표(71.64%)를 얻어 399표(28.35%)를 얻은 무소속 손상욱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구의 유권자는 1,836명이고, 총 투표수는 1,407표였다.2. 1. 8. 대신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신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대수 후보가 1,309표(67.75%)를 얻어 623표(32.24%)를 얻은 무소속 소시열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2. 1. 9. 당북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당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학효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1. 10. 태화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태화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손광영 후보가 3,325표(34.61%), 무소속 남재수 후보가 2,819표(29.34%)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김시중 후보 2,242표(23.34%), 무소속 김동진 후보 1,219표(12.69%)를 기록했다. 총 유권자 수는 13,483명, 투표수는 9,605표이다.2. 1. 11. 법상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법상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근환 후보가 1,141표(50.86%)를 얻어 1,102표(49.13%)를 얻은 무소속 신재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는 2,934명이었고, 2,24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12. 평화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화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경환 | 무소속 | 1,221 | 35.67% |
배원섭 | 무소속 | 1,202 | 35.11% |
홍종청 | 무소속 | 1,000 | 29.21% |
합계 | 3,423 | 100%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권경환 후보가 35.6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 1. 13. 안기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기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유영우 후보가 2,986표(47.2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조재진 후보가 2,006표(31.76%), 무소속 정창진 후보가 1,323표(20.95%)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8,594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6,315표였다.
2. 1. 14. 안막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막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영걸 후보가 1,081표(56.18%)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홍락 후보가 516표(26.81%), 무소속 설영락 후보가 327표(16.99%)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407명, 총 투표 수는 1,924표였다.2. 1. 15. 옥동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옥동 선거구의 안동시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홍일 후보가 54.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홍일 후보는 1,456표를 얻었으며, 다른 무소속 후보인 김평 후보는 36.76%(985표), 이기덕 후보는 8.88%(238표)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3,658명이고, 총 투표수는 2,679표였다.
2. 1. 16. 송하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하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성진 후보는 1,132표(20.41%)를 득표하여, 1,027표(18.52%)를 얻은 무소속 박태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권무영(943표, 17.00%), 권진동(936표, 16.88%), 강병국(754표, 13.59%), 김정년(608표, 10.96%), 김형수(145표, 2.61%)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송하동의 유권자는 7,339명이고, 총 5,54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17. 송천동 선거구
wikitable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천동 선거구 |
---|
송시태 (무소속) 550표 (51.78%) 득표로 당선. |
김광정 (무소속) 310표 (29.19%) |
배순직 (무소속) 202표 (19.02%) |
합계: 1,062표 |
2. 1. 18. 강남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남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혁기 후보가 353표(21.76%)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서정욱(무소속, 346표, 21.33%), 서정빈(무소속, 276표, 17.01%), 서일교(무소속, 261표, 16.09%), 김만호(무소속, 218표, 13.44%), 서대교(무소속, 168표, 10.35%) 후보가 있었다. 총 유권자 수는 2,071명, 총 투표 수는 1,622표였다.2. 1. 19. 풍산읍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산읍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수한 후보가 5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수한 후보는 3,163표를 획득하였으며, 경쟁 후보인 무소속 황시영 후보는 3,029표(48.91%)를 얻는 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8,531명이었고, 이 중 6,192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2. 1. 20. 와룡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와룡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재서 후보가 1,526표(39.45%)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기한 후보는 832표(21.50%), 이준구 후보는 795표(20.55%), 김관수 후보는 715표(18.48%)를 얻었다.2. 1. 21. 북후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강병도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1. 22. 서후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영특 후보가 24.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영특 후보는 745표를 획득했으며, 다른 후보로는 김지섭(무소속, 692표), 장성진(무소속, 679표), 김완섭(무소속, 525표), 권충갑(무소속, 373표) 후보가 출마했다. 전체 유권자는 3,778명이며, 총 3,01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23. 풍천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천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신현식 후보가 1,406표(33.5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하종호 후보가 1,140표(27.16%), 무소속 김종원 후보가 968표(23.06%), 무소속 김일환 후보가 682표(16.25%)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는 5,517명이었고, 총 4,19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24. 일직면 선거구
wikitext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직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장원 후보가 1,207표(37.5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권정웅 후보(889표, 27.64%), 무소속 오종철 후보(705표, 21.92%), 무소속 신종만 후보(415표, 12.90%)가 출마했다. 총 유권자 수는 4,207명, 총 투표 수는 3,216표였다.
2. 1. 25. 남후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석현 후보가 954표(50.34%)를 얻어 941표(49.65%)를 얻은 무소속 김욱동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1,895표였다.2. 1. 26. 남선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선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권삼석 후보가 57.0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권삼석 후보는 1,178표를 획득하였으며, 무소속 김재년 후보는 886표(42.92%)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2,653명, 투표수는 2,064표였다.2. 1. 27. 임하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하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성구 후보가 1,349표(47.03%)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로는 무소속 임낙현 후보가 777표(27.09%), 무소속 김광영 후보가 742표(25.8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68표였다.2. 1. 28. 길안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길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고석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석환 후보는 1,113표(34.14%)를 얻어, 803표(24.63%)를 얻은 김시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이 외에도 조대영 후보는 770표(23.61%), 임병협 후보는 574표(17.60%)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는 4,115명이었고, 총 3,26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29. 임동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동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병진 후보가 대한민국 후보들 중 1,603표(73.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경쟁 후보인 무소속 류성기 후보는 592표(26.97%)를 얻는데 그쳤다. 총 유권자 수는 2,851명, 총 투표수는 2,195표였다.2. 1. 30. 예안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안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두환 후보가 36.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두환 후보는 807표를 획득하였으며,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세환 후보(771표, 35.09%), 무소속 권정대 후보(619표, 28.17%)가 출마하였다. 전체 유권자는 2,700명이었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2. 1. 31. 도산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산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동한 후보가 35.8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른 후보로는 무소속 박중석 후보가 24.29%, 무소속 이재철 후보가 24.15%, 무소속 이창영 후보가 15.66%를 득표했다. 전체 유권자 수는 2,681명이었고, 총 2,062명이 투표에 참여했다.2. 1. 32. 녹전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회 녹전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재갑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재갑 후보는 1,063표(48.38%)를 득표하여, 720표(32.77%)를 얻은 무소속 이교식 후보와 414표(18.84%)를 얻은 무소속 우병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해당 선거구의 유권자는 2,789명이고, 총 2,197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