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영주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
- 2.1. 풍기읍 선거구
- 2.2. 이산면 선거구
- 2.3. 평은면 선거구
- 2.4. 문수면 선거구
- 2.5. 장수면 선거구
- 2.6. 안정면 선거구
- 2.7. 봉현면 선거구
- 2.8. 순흥면 선거구
- 2.9. 단산면 선거구
- 2.10. 부석면 선거구
- 2.11. 상망동 선거구
- 2.12. 하망1동 선거구
- 2.13. 하망2동 선거구
- 2.14. 하망3동 선거구
- 2.15. 영주1동 선거구
- 2.16. 영주2동 선거구
- 2.17. 영주3동 선거구
- 2.18. 영주4동 선거구
- 2.19. 휴천1동 선거구
- 2.20. 휴천2동 선거구
- 2.21. 휴천3동 선거구
- 2.22. 가흥1동 선거구
- 2.23. 가흥2동 선거구
- 참조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시의회 선거는 영주시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각 읍·면·동별로 진행된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었으며, 일부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도 있었다. 각 선거구별 유권자 수, 투표수, 후보별 득표율 등의 정보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기읍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075명이었다. 무소속 김진현 후보가 3,613표(41.8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학선 후보는 3,093표(35.84%), 무소속 강신태 후보는 1,922표(22.2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628표였다.
2. 영주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9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식 후보가 942표(37.9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우옥 후보는 874표(35.17%), 무소속 강정구 후보는 669표(26.92%)를 얻었다. 총 2,485표가 투표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18명이었다. 무소속 박성일 후보가 888표(42.8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석상홍 후보는 760표(36.66%), 무소속 장태윤 후보는 425표(20.50%)를 얻었다. 총 2,073표가 투표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수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284명이었다. 무소속 민무식 후보가 758표(42.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우연하 후보는 662표(37.08%), 무소속 임병대 후보는 365표(20.44%)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747명이었다. 무소속 송준우 후보가 743표(33.0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김균 후보가 540표(24.05%), 무소속 김양호 후보가 510표(22.71%), 무소속 백동기 후보가 452표(20.13%)를 득표하였다. 전체 2,747명의 유권자 중에서 2,245명이 투표에 참여 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정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83명이었다. 무소속 최호득 후보가 1,412표(50.9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복규 후보는 1,359표(49.04%)를 얻어 낙선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현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301명이었다. 무소속 이상만 후보가 1,580표(63.3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윤희형 후보는 466표(18.66%), 무소속 남창수 후보는 450표(18.02%)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순흥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70명이었다. 무소속 윤이승 후보가 626표(28.5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권창복 후보가 621표(28.35%)를 얻었다. 무소속 김병수 후보는 417표(19.04%), 무소속 김영동 후보는 266표(12.14%), 무소속 이인수 후보는 260표(11.8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190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단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781명이었다. 무소속 황충식 후보가 981표(43.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허정진 후보는 791표(35.04%), 무소속 서중만 후보는 485표(21.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25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석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351명이었다. 무소속 권헌영 후보가 839표(24.2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이재창 후보가 782표(22.64%), 이수근 후보가 742표(21.48%), 김시영 후보가 661표(19.13%), 안용운 후보가 430표(12.4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45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상망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46명이었다. 무소속 전오석 후보가 665표(39.77%)를 얻어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1동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정병조 후보가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39명이었다. 무소속 손만식 후보가 1,450표(62.5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병묵 후보는 868표(37.44%)를 얻었다. 총 2,318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32명이었다. 무소속 오동수 후보가 1,239표(53.1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태경 후보는 838표(35.95%), 무소속 박헌순 후보는 254표(10.89%)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92명이었다. 무소속 송화선 후보가 627표(42.5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규완 후보는 474표(32.20%), 무소속 최영락 후보는 371표(25.20%)를 얻었다. 투표수는 총 1,47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01명이었다. 무소속 권영우 후보가 1,227표(61.1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임상덕 후보는 781표(38.89%)를 얻어 낙선하였다. 총 투표수는 2,00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92명이었다. 무소속 배석태 후보가 1,157표(51.2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금춘 후보는 733표(32.46%), 무소속 권영욱 후보는 368표(16.2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25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시의회 영주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930명이었다. 무소속 김동조 후보가 1,538표(38.7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김태영 후보가 1,416표(35.71%)를, 무소속 정남철 후보가 1,011표(25.49%)를 득표하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32명이었다. 무소속 신현용 후보가 1,634표(58.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재웅 후보는 1,170표(41.72%)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155명이었다. 무소속 안길좌 후보가 2,578표(37.0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정명훈 후보가 2,225표(31.94%), 무소속 우순하 후보가 2,163표(31.05%)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166명이었다. 무소속 강정길 후보가 2,188표(39.7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이교식 후보가 1,752표(31.79%), 무소속 오진호 후보가 1,571표(28.5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흥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8,743명이었다. 무소속 권태동 후보가 2,244표(34.6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권영욱 후보가 2,029표(31.33%), 무소속 김종욱 후보가 1,130표(17.44%), 무소속 박하식 후보가 1,073표(16.5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47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흥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207명이었다. 권영설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1,255표(39.1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석동옥 후보가 1,044표(32.57%), 권태림 후보가 906표(28.2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05표였다.
2. 1. 풍기읍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기읍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075명이었다. 무소속 김진현 후보가 3,613표(41.8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학선 후보는 3,093표(35.84%), 무소속 강신태 후보는 1,922표(22.2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628표였다.
2. 2. 이산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96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식 후보가 942표(37.9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우옥 후보는 874표(35.17%), 무소속 강정구 후보는 669표(26.92%)를 얻었다. 총 2,485표가 투표되었다.
2. 3. 평은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은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18명이었다. 무소속 박성일 후보가 888표(42.8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석상홍 후보는 760표(36.66%), 무소속 장태윤 후보는 425표(20.50%)를 얻었다. 총 2,073표가 투표되었다.
2. 4. 문수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수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284명이었다. 무소속 민무식 후보가 758표(42.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우연하 후보는 662표(37.08%), 무소속 임병대 후보는 365표(20.44%)를 얻었다.
2. 5. 장수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747명이었다. 무소속 송준우 후보가 743표(33.0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김균 후보가 540표(24.05%), 무소속 김양호 후보가 510표(22.71%), 무소속 백동기 후보가 452표(20.13%)를 득표하였다. 전체 2,747명의 유권자 중에서 2,245명이 투표에 참여 하였다.
2. 6. 안정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정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83명이었다. 무소속 최호득 후보가 1,412표(50.9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장복규 후보는 1,359표(49.04%)를 얻어 낙선하였다.
2. 7. 봉현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봉현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301명이었다. 무소속 이상만 후보가 1,580표(63.3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윤희형 후보는 466표(18.66%), 무소속 남창수 후보는 450표(18.02%)를 얻었다.
2. 8. 순흥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순흥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70명이었다. 무소속 윤이승 후보가 626표(28.5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권창복 후보가 621표(28.35%)를 얻었다. 무소속 김병수 후보는 417표(19.04%), 무소속 김영동 후보는 266표(12.14%), 무소속 이인수 후보는 260표(11.8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190표였다.
2. 9. 단산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단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781명이었다. 무소속 황충식 후보가 981표(43.4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허정진 후보는 791표(35.04%), 무소속 서중만 후보는 485표(21.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257표였다.
2. 10. 부석면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석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351명이었다. 무소속 권헌영 후보가 839표(24.29%)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이재창 후보가 782표(22.64%), 이수근 후보가 742표(21.48%), 김시영 후보가 661표(19.13%), 안용운 후보가 430표(12.4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454표였다.
2. 11. 상망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상망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146명이었다. 무소속 전오석 후보가 665표(39.77%)를 얻어 당선되었다.
2. 12. 하망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1동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정병조 후보가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2. 13. 하망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139명이었다. 무소속 손만식 후보가 1,450표(62.5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병묵 후보는 868표(37.44%)를 얻었다. 총 2,318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2. 14. 하망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망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32명이었다. 무소속 오동수 후보가 1,239표(53.1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태경 후보는 838표(35.95%), 무소속 박헌순 후보는 254표(10.89%)를 얻었다.
2. 15. 영주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92명이었다. 무소속 송화선 후보가 627표(42.5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규완 후보는 474표(32.20%), 무소속 최영락 후보는 371표(25.20%)를 얻었다. 투표수는 총 1,472표였다.
2. 16. 영주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601명이었다. 무소속 권영우 후보가 1,227표(61.1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임상덕 후보는 781표(38.89%)를 얻어 낙선하였다. 총 투표수는 2,008표였다.
2. 17. 영주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992명이었다. 무소속 배석태 후보가 1,157표(51.2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금춘 후보는 733표(32.46%), 무소속 권영욱 후보는 368표(16.2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258표였다.
2. 18. 영주4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주시의회 영주4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930명이었다. 무소속 김동조 후보가 1,538표(38.78%)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김태영 후보가 1,416표(35.71%)를, 무소속 정남철 후보가 1,011표(25.49%)를 득표하였다.
2. 19. 휴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732명이었다. 무소속 신현용 후보가 1,634표(58.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재웅 후보는 1,170표(41.72%)를 얻었다.
2. 20. 휴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155명이었다. 무소속 안길좌 후보가 2,578표(37.0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정명훈 후보가 2,225표(31.94%), 무소속 우순하 후보가 2,163표(31.05%)를 얻었다.
2. 21. 휴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휴천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166명이었다. 무소속 강정길 후보가 2,188표(39.7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이교식 후보가 1,752표(31.79%), 무소속 오진호 후보가 1,571표(28.50%)를 얻었다.
2. 22. 가흥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흥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8,743명이었다. 무소속 권태동 후보가 2,244표(34.6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권영욱 후보가 2,029표(31.33%), 무소속 김종욱 후보가 1,130표(17.44%), 무소속 박하식 후보가 1,073표(16.5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476표였다.
2. 23. 가흥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가흥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207명이었다. 권영설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1,255표(39.1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석동옥 후보가 1,044표(32.57%), 권태림 후보가 906표(28.2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05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