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항공군 (일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항공군은 1944년 2월 일본 육군 항공 전력 강화를 위해 제3비행사단 사령부를 재편성하여 창설되었다. 중국 전선에서 대륙타통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편성되었으나, 실제로는 중국 서남부의 미군 항공대에 대한 공격보다는 야간 공격에 주력했다. 이후 항공총군에 배속되어 한반도로 이동, 결호 작전을 준비했으나,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인해 방어 준비를 하던 중 종전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육군의 항공군 - 항공총군
항공총군은 일본군이 본토 결전을 위해 창설한 육군 항공대 총괄 지휘 부대로, 본토와 조선에서의 항공 작전을 담당하고 가미카제 특공 공격을 준비했으며, 종전 후 해체되었으나 현대 일본 항공자위대에 영향을 주었다. - 일본 제국 육군의 항공군 - 제6항공군 (일본군)
제6항공군은 일본군이 본토 결전을 대비하여 창설한 항공 부대로, 오키나와 전투에 특별공격대 위주의 항공 작전을 수행했으며 종전 당시 다양한 부대로 구성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군 - 제1군 (일본군)
제1군 (일본군)은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중일 전쟁에 걸쳐 세 차례 편성되어 각 전쟁의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5년 중일 전쟁 중 타이위안에서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군 - 제4군 (일본군)
러일 전쟁과 중일 전쟁 시기에 존재했던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 제4군은 러일 전쟁 중 창설 및 해산 후, 중일 전쟁 발발 후 재소집되어 만주국 북부 국경을 수비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해체되었으며, 만주 전략공세작전에서 소련군에 패배하여 하얼빈에서 항복했다. - 1944년 설립 - 영국 태평양 함대
영국 태평양 함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영국 해군의 함대로, 1944년에 창설되어 1948년에 해산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지휘를 받아 팔렘방 정유소 공격, 오키나와 전투 지원, 일본 본토 공격 등의 작전을 수행하고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 1944년 설립 - 골든 글로브상
골든 글로브상은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설립되어 시작된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지만, 논란과 보이콧을 겪은 후 재단으로 재편되어 현재는 영화와 텔레비전 각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고 전 세계에 방송된다.
| 제5항공군 (일본군) | |
|---|---|
| 개요 | |
| 명칭 | 제5항공군 |
| 원어 명칭 | (다이고코쿠군) |
| 통칭 | 매() |
| 군사 정보 | |
| 창설일 | 1944년 2월 10일 |
| 해체일 | 1945년 |
| 규모 | 항공군 |
| 병과 | 항공병과 |
| 담당 지역 | 중국 - 조선 |
| 최종 위치 | 경성 |
| 주요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일본 전쟁) |
| 지휘부 | |
| 상위 부대 | 항공총군 |
| 전투 기록 | |
| 참전 전투 | 중일 전쟁 대륙타통작전 |
2. 역사
1944년 2월 10일, 군령육갑 제8호(軍令陸甲第八号일본어)에 따라 제3비행사단 사령부를 제5항공군사령부로 재편성하고, 15일에 대륙명 제745호(大陸命第九四五号일본어)에 의해 제3비행사단에서 제5항공군으로 전투 서열을 교체하고, 지나 파견군(중국 파견군)에 전속되었다. 제5항공군은 대륙타통작전(1호 작전)을 위한 훈련과 준비를 했지만, 중국 서남부의 중국-버마-인도 전구군의 미국 육군 항공대에 대한 진공은 하지 못했고, 소수의 가와사키 항공기의 99식 쌍발경량폭격기로 야간 공격에 주력하였다.
제5항공군의 작전 계획은 화중과 화난이 우기를 맞이하는 5월까지 구이린 외 동부 지구에 있는 적 공군을 격멸하고, 주력 부대인 제11군 작전에 협력하여 한커우 작전(토호 작전) 지원 및 양쯔강 병참 보급선과 시설을 확보하면서 일본 본토 공습을 경계하며 막기 위한 것이었다.
1944년 3월, 주로 양쯔강을 지나는 함선 호위와 기지 방공, 국민혁명군 공군의 전진 기지를 공격하였다. 4월, 대륙타통작전의 1호 작전이 시작되고, 제5항공군은 지상 부대의 국민혁명군 제1전구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였다. 6월 2일, 1호 작전의 서막인 토호 작전이 5월 27일에 개시되자, 제2비행단을 남지나 광둥 지방으로 보냈다. 북지나 방면에서는 우한 지구에서 국민혁명군의 기지가 있는 시안, 한중, 안캉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였다.
1945년 5월 8일, 항공총군으로 예속이 변경되었고, 6월 상순에 한반도로 이동하여 결호 작전을 준비하였다. 8월 9일, 소련-일본 전쟁(소련 대일 참전)으로 만주를 거쳐 한반도로 진입하는 소련의 붉은 군대를 방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5항공군은 실제 전투를 치르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44년 초, 일본군은 중국 전선에서 국민혁명군과 대치하고 있었고, 태평양 전선에서는 미군의 공세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육군은 항공 전력을 강화하고, 전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제5항공군을 창설하였다. 1944년 2월 10일, 군령육갑 제8호(軍令陸甲第八号일본어)에 따라 제3비행사단 사령부를 제5항공군 사령부로 재편성하고, 15일에 대륙명 제745호(大陸命第九四五号일본어)에 의해 제3비행사단에서 제5항공군으로 전투 서열을 교체하고, 지나 파견군에 전속하였다.[1] 지나 파견군(중국 파견군)에 배속된 제5항공군은 주로 중국 전선에서의 항공 작전을 담당하게 되었다.제5항공군은 대륙타통작전을 위한 훈련과 준비를 했지만, 중국 서남부의 중국-버마-인도 전구군의 미국 육군 항공대에 대한 진공은 하지 못했고, 소수의 가와사키 항공기의 99식 쌍발경량폭격기로 야간 공격을 하였다.[2]
2. 2. 중일전쟁 시기 활동
1944년 2월 10일, 군령육갑 제8호(軍令陸甲第八号일본어)에 따라 제3비행사단 사령부를 제5항공군 사령부로 재편성하고, 15일에 대륙명 제745호(大陸命第九四五号일본어)에 의해 제3비행사단에서 제5항공군으로 전투 서열을 교체하고, 지나 파견군에 전속하였다.[1] 제5항공군은 대륙타통작전(1호 작전)을 위한 훈련과 준비를 했지만, 중국 서남부의 중국-버마-인도 전구군의 미국 육군 항공대에 대한 진공은 하지 못했고, 소수의 가와사키 항공기의 99식 쌍발경량폭격기로 야간 공격에 주력하였다.[2]제5항공군의 작전 계획은 화중과 화난이 우기를 맞이하는 5월까지 구이린 외 동부 지구에 있는 적 공군을 격멸하고, 주력 부대인 제11군 작전에 협력하여 한커우 작전(토호 작전) 지원 및 양쯔강 병참 보급선과 시설을 확보하면서 일본 본토 공습을 경계하며 막기 위한 것이었다.[3]
1944년 3월에는 주로 양쯔강을 지나는 함선 호위와 기지 방공, 국민혁명군 공군의 전진 기지를 공격하였다.[4] 4월, 대륙타통작전의 1호 작전이 시작되고, 제5항공군은 지상 부대의 국민혁명군 제1전구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였다.[5] 5월 27일에 1호 작전의 일환인 토호 작전이 개시되자(6월 2일), 제2비행단을 남지나 광둥 지방으로 보냈다. 북지나 방면에서는 우한 지구에서 국민혁명군의 기지가 있는 시안, 한중, 안캉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였다.[6]
2. 3. 태평양 전쟁 말기
1945년 5월 8일, 항공총군으로 예속이 변경되었고, 6월 상순에 한반도로 이동하여 결호 작전을 준비하였다.[1] 결호 작전은 일본 본토 방어를 위한 최후의 작전이었다.하지만, 1945년 8월 9일 소련-일본 전쟁 (소련 대일 참전)으로 만주를 거쳐 한반도로 진입하는 소련의 붉은 군대를 방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1] 소련 대일 참전으로 조선 북부에 소련 노동농민 적군이 침공하자, 이에 대한 방위 태세를 갖추었다.[6]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5항공군은 실제 전투를 치르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3. 조직
제5항공군은 1944년 2월 14일에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시모야마 다쿠마 중장이, 초대 참모장은 하시모토 히데노부 소장이 맡았다. 이후 참모장과 참모부장은 여러 차례 교체되었다. 종전 시점에는 제1비행단, 제2비행단, 제8비행단 등 여러 부대로 구성되었다.
3. 1. 지휘부
| 직책 | 이름 | 계급 | 취임일 | 퇴임일 |
|---|---|---|---|---|
| 사령관 | 시모야마 다쿠마 | 중장 | 1944년 2월 14일 | 종전 |
| 참모장 | 하시모토 히데노부 | 소장 | 1944년 2월 14일 | |
| 참모장 | 나카니시 요스케 | 소장 | 1944년 10월 2일 | 1945년 8월 23일 |
| 참모부장 | 요시이 호이치 | 대좌 | 1944년 2월 14일 | |
| 참모부장 | 호리바 카즈오 | 대좌 | 1944년 6월 4일 | 1945년 8월 22일 |
| 고급 참모 | 오가 토키오 | 대좌 | ||
| 작전 참모 | 카노코시마 타카시 | 중좌 | ||
| 후방 참모 | 카마이 코키 | 중좌 | ||
| 정보 참모 | 스기야마 이치로 | 중좌 | ||
| 후방 참모 | 미즈오 히로키치 | 중좌 | ||
| 우에히로 치카타카 | 소좌 | |||
| 편제 참모 | 노리타 사다타케 | 소좌 | ||
| 타카하시 마사지 | 소좌 | |||
| 사카가미 요시아키 | 소좌 | |||
| 호리이케 마사오 | 소좌 | |||
| 나카노 코사쿠 | 소좌 | |||
| 우에무라 에이이치 | 소좌 | |||
| 고급 부관 | 타카하시 히데츠구 | 소좌 | ||
| 병기 부장 | 히라야마 세이스케 | 대좌 | ||
| 경리 부장 | 사와모토 시로 | 주계 소장 | ||
| 군의 부장 | 호리구치 슈스케 | 군의 소장 | ||
| 법무 부장 | 타카츠카 켄타로 | 법무 소장 |
3. 2. 종전 시점 편성
| 부대 | 지휘관 |
|---|---|
| 제1비행단 | 하라다 기요시 대좌 |
| 제2비행단 | 마쓰모토 리쿄 대좌 |
| 제8비행단 | 히로나카 손로쿠 대좌 |
| 독립 제105교육비행단 | |
| 제5항공지구사령부 | |
| 제16항공지구사령부 | |
| 제26항공지구사령부 | |
| 제44항공지구사령부 | |
| 제50항공지구사령부 | |
| 제54항공지구사령부 | |
| 제5항공통신사령부 | |
| 제4기상연대 | |
| 제26야전항공수리창 | |
| 제15야전항공보급창 |
- 제1비행단 예하:
- * 비행 제22전대
- * 비행 제25전대
- * 비행 제85전대
- 제2비행단 예하:
- * 비행 제6전대
- * 비행 제9전대
- 제8비행단 예하:
- * 비행 제16전대
- * 비행 제44전대
- * 비행 제82전대
- 제5항공통신사령부 예하:
- * 제15항공통신연대
- * 제24항공통신연대
참조
[1]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2]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3]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4]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5]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6]
서적
戦史叢書4巻 一号作戦<1>河南の会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