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침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공은 한 국가나 무장 세력이 다른 국가나 세력의 영토나 세력권을 침범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해 왔다. 고대에는 대규모 병력 이동이 주를 이루었고, 정부, 종교, 철학, 기술 등의 문화 전파에도 영향을 미쳤다. 침략을 막기 위해 요새와 같은 방어 시설이 건설되었지만, 현대에는 정밀 공습과 기계화의 발달로 이동성이 뛰어난 방어 체계가 중요해졌다. 침공은 육상, 해상, 공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각 방법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진다. 침공은 물자 보급, 통신과 같은 지원을 필요로 하며,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명분을 내세우기도 한다. 침공의 결과는 침략자와 방어자의 목표, 성공 여부, 합의된 해결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영토 상실, 정부 변화, 종속, 독립 등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침공
개요
정의한 지정학적 실체의 군사력이 다른 지정학적 실체에 강제로 진입하는 군사 작전
특징
목적영토 점령
자원 확보
정치적 영향력 확대
적대 세력 제거
규모소규모 침투부터 대규모 전쟁까지 다양함
수단군사력 (육군, 해군, 공군)
사이버 공격
정보전
경제적 압박
법적 측면
국제법침략 행위는 국제법상 불법 행위로 간주될 수 있음 (다만, 자위권 행사 등 예외 존재)
역사적 사례
고대페르시아 전쟁
로마 제국의 갈리아 전쟁
중세몽골 제국의 유럽 원정
노르만 정복
근대나폴레옹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현대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관련 용어
점령침공 후 특정 지역을 군사적으로 통제하는 행위
합병침공 후 특정 지역을 자국 영토로 편입하는 행위
군사 개입침공보다 넓은 의미로, 군사력을 사용하여 타국 내정에 간섭하는 행위

2. 역사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침공은 선사 시대부터 빈번하게 발생했다. 고대에는 침략이 문화 전파의 주요 경로 중 하나였으며, 정부, 종교, 철학, 기술 분야의 발전을 통해 고대 세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

다음은 역사 속 주요 침공 사례이다.

발생년도사건
1240년몽골의 폴란드 침공
1264년몽골의 사할린 침공
1761년도미니카 침공 (1761년)
1795년실론 침공
1939년폴란드 침공, 소련의 핀란드 침공
1940년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
1941년유고슬라비아 침공
1983년그레나다 침공
1989년파나마 침공
1990년쿠웨이트 침공
2001년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2003년미국의 이라크 침공
2006년레바논 침공 (2006년)
2014년가자 침공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공
2022년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 1. 고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침략은 선사 시대부터 빈번하게 발생했다. 고대 시대에는 라디오 통신과 빠른 운송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군대가 충분한 증원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대규모 병력을 하나의 덩어리로 이동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침략 전략이 생겨났다. 침략과 함께 정부, 종교, 철학, 기술 분야에서 문화 전파가 이루어졌고, 이는 고대 세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

패키지 여행과 저가 항공이 등장하기 전, 군사적 침략은 일종의 주요한 형태의 원시 관광으로 작용했다.[3] 즉, 많은 수의 외국 방문객이 새로운 환경으로 유입되면서, 원주민과 침략자 모두에게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2. 2. 방어 시설

만리장성, 중국을 침략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이웃 국가를 가진 국가들은 침략을 지연시키거나 막기 위해 방어 조치를 취한다. , 습지, 험준한 지형과 같은 지리적 장벽을 활용하는 것 외에도, 역사적으로 요새를 건설해왔다. 이러한 방어 시설에는 확장되고 잘 방어된 장벽을 통해 침략군이 국가에 진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만리장성, 하드리아누스 장벽, 다네베르크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장벽에는 참호와 더불어 현대에는 지뢰밭, 카메라, 동작 감지 센서 등이 포함된다.[4] 그러나 이러한 장벽은 방어를 제공하고 장비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대규모 군사력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국가에 큰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별 작전 기간 동안, 연합군은 공중 투하된 지뢰를 사용하여 일본의 자국 내 물류 작전을 심각하게 방해했다.[5]

도버 성에서 본 모습.


국경 근처에 위치한 이나 요새와 같은 일련의 장소에 요새를 건설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방어 국가가 방어나 반(反)침략에 충분한 규모의 군대를 동원할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침략을 지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마지노 선이 그 예이다. 요새는 수비대가 침략자의 보급선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된 요새 뒤에 있는 이론은 침략자가 이러한 방어를 우회할 수 없으므로 구조물을 포위해야 한다는 것이다.[6]

알자스의 Ouvrage Schoenenbourg에 있는 포대에서 본 모습. 왼쪽에 접이식 포탑이 보인다.


현대에는 육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대규모의 정적인 방어 시설을 건설한다는 개념은 대체로 구식이 되었다. 정밀 공습과 대규모 기계화의 사용은 군사 계획자에게 더 가볍고 이동성이 뛰어난 방어를 필요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요새의 노후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마지노 선의 실패로 드러났다. 현대 침략에 대항하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도시 또는 마을과 같은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을 방어 지점으로 사용한다. 침략자는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방어자의 능력을 파괴하기 위해 이러한 지점을 점령해야 한다. 방어자는 이러한 지점을 보호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장갑차보병 사단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매우 이동성이 뛰어나며 일반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도시를 요새로 사용하는 두드러진 예는 이라크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이라크군바그다드, 티크리트, 바스라에서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보인 입장에서 볼 수 있다. 방어자는 이러한 이동 자산을 사용하여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 붉은 군대 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과 같은 반격을 촉발할 수도 있다.

정적인 거점은 해상 공격 및 대공 방어 모두에서 여전히 유용하다. 해군 기뢰는 항구를 방어하고 보급선을 차단하는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대공포와 미사일 발사대를 결합한 대규모 정적 방공 시스템은 여전히 대공 공격을 방어하는 최상의 방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하노이 주변의 북베트남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미국은 핵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정적 방어망인 국가 미사일 방어 시스템 건설에 상당한 시간과 돈을 투자했다.

영국이나 일본과 같은 섬나라미국과 같이 해안이 광대한 대륙 국가는 국경 지역을 요새화하기보다는 자국 침략을 막기 위해 상당한 해군력을 활용해 왔다. 그러나 성공적인 해상 방어는 일반적으로 해군력의 우위와 해당 방어력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대규모 국가에서는 방어군이 침략자를 적대적 영토 깊숙이 끌어들여 반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술의 한 가지 효과는 침략군이 너무 분산되어 보급이 어려워지고 노선이 공격에 더 취약해진다는 것이다. 이 전술은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소련이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7] 침략군이 너무 멀리 확장되어 포위 기동으로 증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것이 미국 독립 전쟁카우펜스 전투에서 영국이 패배한 원인이었다.[8] 너무 많은 증원을 보내면 공격자의 영토에 방어자가 너무 적게 남아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발생한 것처럼 다른 지역에서 반침략을 허용할 수 있다.

2. 3. 침공의 방법

침공은 육상, 해상, 공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각 방법은 장단점을 가진다.

  • 육상 침공: 무력 부대가 국경이나 비무장 지대를 넘어 특정 지역으로 직접 진입하는 방식이다. 빠른 승리를 거둘 수 있지만, 병력 이동이 느리고 지형과 기상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취약 지역에 방어 태세를 갖추고 있어 침공 계획을 숨기기 어렵다. 현대 전쟁에서는 공습과 순항 미사일 등으로 목표를 무력화한 후 육상 침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라크 침공과 1939년 폴란드 침공에서 독일군이 사용한 방법이 그 예시이다.

1939년 폴란드 바르샤바를 행진하는 독일군.

  • 해상 침공: 무력 집단이 수역을 이용하여 육지나 섬으로 진입하는 방식이다. 비행기 발명 이전에는 다른 진입 방법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되었다. 해상에서 기습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륙양용차량과 같은 특수 장비가 많이 필요하고, 사상자 수가 많으며, 방어 구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타라와 전투에서 미국 해병대산호초에 상륙정이 걸리고 해변에서 포탄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9]

호버크래프트가 장갑차를 싣고 이라크 침공 당시 상륙하고 있다.

  • 공중 침공: (요약에 언급되어 있으나 원문에 내용이 없어 작성 불가)

3. 침략(侵略)과의 비교

1974년 국제 연합은 침략(侵略, aggression영어)을 "국가에 의한 다른 국가의 주권, 영토 보전 또는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의 행사" 또는 "국제 연합 헌장과 양립하지 않는 기타 방법으로의 무력의 행사"라고 정의했다.[26] 즉, 침략은 다음을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 어떤 국가가 무력으로 타국의 영역에 침입하거나 공격하는 것
  • 어떤 국가가 타국의 토지나 재물을 빼앗는 것
  • 어떤 국가가 타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


침략과 침공을 비교하면, 침략이 더 광범위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용어이다. 대규모 침략 계획의 첫 단계로 침공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는 관계이다. 종종 그러한 대규모 침략의 "첫 단계"로서 침공이 수행된다.

; 용어의 역사

국가에 의한 타국에 대한 무력 행사라는 의미에서의 "침략" aggression이 사용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의 강화 조약 베르사유 조약 (1919년)에서이다. 당시 일본 제국은 aggression을 "공격"으로 번역했다.[27]

4. 군사학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이웃 국가를 가진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침략을 지연시키거나 막기 위해 방어 조치를 취한다. , 습지, 또는 험준한 지형과 같은 지리적 장벽을 활용하는 것 외에도, 역사적으로 요새를 포함해 왔다. 이러한 방어는 확장되고 잘 방어된 장벽을 통해 침략군이 국가에 진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만리장성, 하드리아누스 장벽, 다네베르크가 유명한 예이다. 이러한 장벽에는 참호와, 더 현대적인 시대에는 지뢰밭, 카메라, 동작 감지 센서가 포함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장벽은 방어를 제공하고 장비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대규모 군사력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국가에 큰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일부는 방어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그들이 탈출하거나 보급받는 것을 막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별 작전 기간 동안, 연합군은 공중 투하된 지뢰를 사용하여 일본의 자국 내 물류 작전을 심각하게 방해했다.[5]

또는 국경 근처에 위치한 이나 요새와 같은 일련의 장소에 요새를 건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방어 국가가 방어 또는 경우에 따라 반(反)침략에 충분한 규모의 군대를 동원할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침략을 지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마지노 선이 있다. 요새는 수비대가 침략자의 보급선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된 요새 뒤에 있는 이론은 침략자가 이러한 방어를 우회할 여유가 없으므로 구조물을 포위해야 한다는 것이다.[6]

현대 시대에는 육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대규모의 정적인 방어 시설을 건설한다는 개념은 대체로 구식이 되었다. 정밀 공습과 대규모 기계화의 사용은 군사 계획자에게 더 가볍고 이동성이 뛰어난 방어를 필요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요새의 노후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마지노 선의 실패로 드러났다. 현대 침략에 대항하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도시 또는 마을과 같은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을 방어 지점으로 사용한다. 침략자는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방어자의 능력을 파괴하기 위해 이러한 지점을 점령해야 한다. 방어자는 이러한 지점을 보호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장갑차보병 사단을 사용하지만, 방어자는 여전히 매우 이동성이 뛰어나며 일반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도시를 요새로 사용하는 두드러진 예는 이라크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이라크군바그다드, 티크리트, 바스라에서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보인 입장에서 볼 수 있다. 방어자는 또한 이러한 이동 자산을 사용하여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 붉은 군대 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과 같은 반격을 촉발할 수 있다.

그러나 정적인 거점은 해상 공격 및 대공 방어 모두에서 여전히 유용하다. 해군 기뢰는 여전히 항구를 방어하고 보급선을 차단하는 저렴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이다. 대공포와 미사일 발사대를 결합한 대규모 정적 방공 시스템은 여전히 대공 공격을 방어하는 최상의 방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하노이 주변의 북베트남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미국국가 미사일 방어 시스템, 즉 핵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정적 방어망 건설에 상당한 시간과 돈을 투자했다.

섬나라 (예: 영국, 일본) 및 해안이 광대한 대륙 국가 (예: 미국)는 국경 지역을 요새화하기보다는 자국 침략을 막기 위해 상당한 해군력을 활용해 왔다. 그러나 성공적인 해상 방어는 일반적으로 해군력의 우위와 해당 방어력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대규모 국가에서는 방어군이 침략자를 적대적 영토 깊숙이 끌어들여 반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술의 한 가지 효과는 침략군이 너무 분산되어 보급이 어려워지고 노선이 공격에 더 취약해진다는 것이다. 이 전술은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소련이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7] 또한 침략군이 너무 멀리 확장되어 포위 기동으로 증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것이 미국 독립 전쟁카우펜스 전투에서 영국이 패배한 원인이었다.[8] 마지막으로, 너무 많은 증원을 보내면 공격자의 영토에 방어자가 너무 적게 남아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발생한 것처럼 다른 지역에서 반침략을 허용할 수 있다.

침략(侵略, aggression영어)이라는 용어는 1974년 국제 연합이 "국가에 의한 다른 국가의 주권, 영토 보전 또는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의 행사" 또는 "국제 연합 헌장과 양립하지 않는 기타 방법으로의 무력의 행사"라고 정의했다.[26] 즉, 침략은 다음을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 어떤 국가가 무력으로 타국의 영역에 침입하거나 공격하는 것
  • 어떤 국가가 타국의 토지나 재물을 빼앗는 것
  • 어떤 국가가 타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


침략과 침공을 비교하면, 침략이 더 광범위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용어이다. 대규모 침략 계획의 첫 단계로 침공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는 관계이다. 대규모 침략에서는 타국의 주변부에 먼저 침공한 후, 다음으로 그 수도까지 쳐들어가, 결국에는 그 나라의 중앙 정부도 붕괴시키고 그 기능을 빼앗거나 종속국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종종 그러한 대규모 침략의 "첫 단계"로서 침공이 수행된다.

; 용어의 역사

국가에 의한 타국에 대한 무력 행사라는 의미에서의 "침략" (aggression)이 사용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의 강화 조약 베르사유 조약 (1919년)에서이다. 당시 일본 제국은 aggression을 "공격"으로 번역했다.[27]

침공의 수단으로는 육해공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된다.

침공·침입(invasion)은 정복(conquest), 점령(occupation)과 혼용되기도 한다.[25]

또한 침공받은 측에서 행하는 대응(저항)은 넓게는 방위라고 불린다.

5. 현대의 침공

현대에는 비국가 전투원의 등장으로 침공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중앙 집권적인 국가 정부가 아닌 독립적인 지도부에 의해 통제되는 전투원 집단, 즉 "4세대 전쟁"이라 불리는 유형의 전쟁에서 침공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집단은 민간인, 외교관, 용병, 정치인, 종교 지도자, 정규 군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규모로 활동하고 국경에 얽매이지 않으며 국가의 직접적인 지원에 의존하지 않아 기존의 침공이나 점령 방식으로는 제압하기 어렵다.[16]

이에 대한 반대 이론으로는, 극단주의 이념과 부당한 정부에 대응하여 침공을 통해 정부를 교체하고 국민을 재교육함으로써 지속적인 저항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미래의 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이론은 변화에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비밀 세포의 구성원을 줄이고 보급선을 차단하여 즉각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침공 전략 지지자들은 강력한 점령군이 소모전과 유사하게 수많은 작은 승리를 통해 전술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18]

이 문제에 대한 현대의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비국가 전투원을 제압하는 데 어떤 전략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확실한 결론은 없다. 침공 전략 반대론자들은 점령군이나 평화 유지군이 결정적인 성공을 거둔 사례가 부족하며, 북아일랜드 분쟁, 이스라엘, 체첸, 이라크와 같은 지속적인 분쟁과 레바논,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실패 사례를 지적한다.[19] 반면, 침공 전략 지지자들은 그러한 상황을 실패로 단정하기에는 이르며, 계획을 관철하기 위한 인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침공 자체가 성공적이었지만 정치적 반대자[20]와 국제 언론[21]선정주의나 정치적 이득을 위해 사실을 왜곡한다고 주장한다.

5. 1. 비국가 전투원

20세기와 21세기에 들어 비국가 전투원, 때로는 "4세대 전쟁"이라고 불리는 유형의 전쟁에서 침공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전투원 집단은 중앙 집권적인 국가 정부가 아닌 독립적인 지도부에 의해 통제되며, 이 집단은 민간인, 외교관, 용병, 정치인, 종교 지도자 및 정규 군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집단은 소규모로 활동하며, 국경에 얽매이지 않고, 반드시 국가의 직접적인 지원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단순한 침공이나 지속적인 점령만으로는 쉽게 제압되지 않는다. 해당 국가의 정규군이 패배하고 정부가 교체될 수 있지만, 이러한 집단의 비대칭 전쟁은 무기한으로 지속될 수 있다.[16] 정규군 부대는 소규모 비밀 세포의 유연성과 독립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강력한 점령군의 개념 자체가 실제로 불리함을 만든다고 믿는다.[17]

반대 이론은 극단주의 이념과 부당한 정부에 대응하여 침공이 정부를 변화시키고 국민을 재교육하여 지속적인 저항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미래의 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이러한 변화가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어떤 경우에는 수 세대가 걸릴 수 있다)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비밀 세포의 구성원을 줄이고 보급선을 차단함으로써 즉각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쟁에서 침공 전략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강력한 점령군이 소모전과 유사하게 수많은 작은 승리를 바탕으로 전술적 수준에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18]

이 문제에 대한 현대의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어느 쪽도 비국가 전투원을 제압하는 데 어떤 전략이 궁극적으로 효과적일지 확신할 수 없다. 침공 전략의 반대론자들은 점령군 또는 평화 유지군이 결정적인 성공을 거둔 사례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19] 또한 북아일랜드 분쟁, 이스라엘, 체첸, 그리고 이라크와 같은 지속적인 분쟁을 언급하며, 레바논과 아프가니스탄과 같이 궁극적으로 실패로 판명된 사례를 제시한다. 침공 전략 지지자들은 그러한 상황을 실패라고 부르기에는 너무 이르며, 계획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침공 자체가 실제로 성공적이었지만, 정치적 반대자[20]와 국제 언론[21]선정주의나 정치적 이득을 위해 사실을 왜곡한다고 말한다.

6. 침공의 지원

성공적인 침공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물자 보급과 신속한 통신이 필수적이다.[12]

6. 1. 물자 보급(Logistics)

안정적인 물자 공급은 침공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12] 고대 그리스 침공을 준비하면서 크세르크세스 1세는 3년에 걸쳐 아시아 전역에서 물자를 비축했다. 헤로도토스페르시아 제국의 군대가 너무 거대해서 "강물을 말렸다"고 기록했다.[12]

2022년 침공 당시 키이우 지역의 러시아 호송대


과거에는 침략군이 점령지에서 물자를 조달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쟁법이 발달하기 전에는 침략하는 군대가 진격하면서 도시를 정복하고 그곳에서 물자를 획득하는 것에 크게 의존했다. 일례로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한니발은 물자 확보를 위해 군대를 우회시켜 도시를 점령하기도 했다. 그의 알프스 산맥 횡단 전략은 최소한의 물자로 이동하고, 국경을 넘은 후에는 로마 공화국의 물자로 버틸 수 있다고 예상했기 때문에 가능했다.[13] 나폴레옹 1세가 러시아에서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식량과 쉼터 부족으로 군대를 철수해야 했던 사례도 현지 조달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오늘날 육상전 규칙은 약탈과 사유 재산 몰수를 금지하고 있지만, 점령군은 부패하기 쉬운 현지 물자를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비행기를 통해 포위된 군대에 물자를 공수하기도 한다.[14]

현대에는 군수 지원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오늘날 군대는 식량, 쉼터, 탄약뿐만 아니라 연료, 배터리, 예비 부품, 전자 장비 등 다양한 물품을 필요로 한다. 미국의 경우, 국방물자청(Defense Logistics Agency)은 물류 지원만을 전담하는 22,000명 이상의 민간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매년 30,000명의 군인이 미 육군 물류 관리 대학(U.S. Army Logistics Management College)을 졸업한다.[14]

6. 2. 통신(Communication)

지도부와 침공군 간의 원활한 통신은 작전 수행에 필수적이었다. 고대에는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거나, 사자를 통해 소식을 전달했다. 마라톤 전투(기원전 490년)에서는 빠른 주자가 소식을 전달하는 데 활용되었다. 해상에서는 슬루프나 커터와 같은 선박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했다. 예를 들어, 넬슨이 1805년 트라팔가 해전에서 승리했다는 소식을 영국에 처음으로 알린 것은 였다.

모스 부호가 발명되고, 라디오 및 위성을 통한 음성 통신이 개발되면서, 소규모 부대도 침공군 본대와 연락을 유지하고 명령을 확인하거나 지원을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통신 기술은 독일의 전격전 전략에서 보병 지휘관이 방어 위치를 탱크와 폭격기에 전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동 위성 통신 센터

7. 침공의 명분

침공은 종종 "질서 회복", "잘못된 것 바로잡기" 등의 명분으로 정당화된다. 때로는 반체제 세력이나 제5열이 외국 지원을 요청하는 형태로 침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비잔틴 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제1차 십자군의 레반트 침공과 정복(1096~1099)은 1095년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가 아나톨리아의 투르크족에 대항하여 지원을 요청한 초대에서 비롯되었다.
  • 잉글랜드 왕 존에게 반대하는 잉글랜드 귀족들은 1215~1217년 제1차 남작 전쟁에서 프랑스 왕자 루이 8세가 잉글랜드를 침공하도록 초대했다.
  • 1688년 오렌지공 윌리엄 3세에게 영국을 침공하라는 초대는 명예 혁명에 도움이 되었다.
  • 울프 톤은 1798년 아일랜드 반란 직전에 프랑스의 개입(실패한 아일랜드 원정, 1796)을 요청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일부 구성원은 1968년 프라하의 봄 기간 동안 소련의 개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1968년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끝났다.


국가 건국 설화는 외국 전사를 초대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주제를 반영하기도 한다. 고대 연대기에 나오는 바랑기아인 침략자들이 노브고로드 (그리고 그 후 러시아)에 장기간 통치 체제를 구축하게 된 전통적인 이야기가 그 예시이다.

반대로, 현대에는 방어자가 올바른 메시지로 여론 관계를 개선할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대통령 임기 여러 해 동안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었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안 그의 지지율은 급격히 개선되었고, 푸틴의 계산적인 전략가 이미지는 손상되었으며, 러시아는 점점 더 국제 사회의 왕따로 여겨지게 되었다.[15]

8. 침공의 결과

침공의 결과는 침략자와 방어자의 목표, 침략과 방어의 성공 여부, 그리고 교전 당사자 간의 합의된 해결책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성공적인 침공의 가장 일반적인 결과는 방어자의 영토 상실이며, 일반적으로 정부의 변화와 패배한 세력에 의한 해당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력 상실이 동반된다. 이는 때때로 해당 국가를 종속국으로 변화시키며, 종종 승자에게 전쟁 배상금 또는 공물을 지불해야 하는 요구 사항이 따른다.[22]

다른 경우, 성공적인 침공의 결과는 단순히 현상 유지로의 복귀일 수 있다. 이는 인적 손실과 물자 파괴가 주요 전략적 목표인 소모전에서 볼 수 있으며,[22] 이전에 정복당하고 현재 공격적인 제3자에 의해 점령된 국가가 자국의 통제권을 회복하는 경우(예: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의 서유럽, 또는 1991년 이라크 패배 이후의 쿠웨이트)가 해당된다. 어떤 경우에는 침공이 지리적 영역으로 전략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과 같이 별도의 국가로 분리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9. 침공 사례

다음은 역사적으로 일어났던 침공 사례이다.



요약에 한국 관련 침공 사례를 추가하라는 내용이 있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몽골의 사할린 침공 외에 다른 한국 관련 침공 사례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작성해야 한다는 지침에 따라, 한국 관련 침공 사례를 추가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invading
[2] 서적 The Punic Wars: Rome, Carthage, and the Struggle for the Mediterranean https://archive.org/[...] Thomas Dunne Books
[3] 서적 Tourism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20-05-21
[4] 웹사이트 Accelerating the Kill Chain: Closing the Sensor-to-shooter Cycle http://www.defense-u[...] 2006-02-11
[5] 웹사이트 Operation Starvation http://www.stormingm[...] 2006-02-11
[6] 서적 Fortress France: The Maginot Line and French Defenses in World War II Prager Security International
[7] 웹사이트 Stalingrad – The Nazis Reach Beyond Their Grasp http://home.carolina[...] 2006-02-16
[8] 웹사이트 The Battle of Cowpens http://www.nps.gov/c[...] 2006-02-16
[9] 웹사이트 Tarawa: Testing Ground For The Amphibious Assault http://www.globalsec[...] 2006-02-11
[10] 서적 Hell's Highway: Chronicle of the 101st Airborne Division in the Holland Campaign, September–November 1944 101st Airborne Division Association
[11] 웹사이트 The Legacy of Bobby Sands http://www.radioneth[...] 2006-02-14
[12] 웹사이트 Persian society in the time of Darius and Xerxes http://hsc.csu.edu.a[...] 2006-02-24
[13] 웹사이트 The Histories, Book III https://penelope.uch[...] 2006-02-24
[14] 웹사이트 Background of ALMC http://www.almc.army[...] 2006-02-24
[15] 웹사이트 Ukraine is winning — at least in the public relations battle https://www.latimes.[...] 2023-07-21
[16] 웹사이트 Fallujah: Saved for Democracy? http://www.military.[...] 2006-02-19
[17] 웹사이트 Understanding Fourth Generation War http://www.military.[...] 2006-02-19
[18] 웹사이트 Winning in Iraq, One Step at a Time http://www.military.[...] 2006-02-19
[19] 문서 Lind, William S., op. cit.
[20] 웹사이트 Operation Pessimism and Perplexity http://www.military.[...] 2006-02-19
[21]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Iraq: Media Bias http://www.thetrutha[...] 2006-02-19
[22] 웹사이트 Civic Action: The Marine Corps Experience in Vietnam http://www.library.v[...] 2006-02-11
[23] 문서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コトバンク
[24] Cambridge Dictionary invasion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간행물 占領に關する一考察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法律研究所 1950
[26] 웹사이트 侵略の定義に関する決議 http://www1.umn.edu/[...] ミネソタ大学人権図書館 2022-03-07
[27]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九年・条約第一号・同盟及聯合国ト独逸国トノ平和条約及附属議定書 (国立公文書館) A030212942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