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H. 마이켈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H. 마이켈리스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36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502 낙하산 보병 연대를 지휘했으며, 바스토뉴 전투에서 101 공수 사단의 참모장으로 복무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제27 보병 연대("울프하운드")를 지휘하며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고, 매슈 리지웨이 장군의 지휘 아래 유엔군의 반격에 기여했다. 전쟁 이후에는 미국 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 사령관, 제5군 지휘관, 주한 미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대장으로 퇴역했다. 1972년 퇴역 후 대한항공 고문으로 활동하다가 1985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군 사령관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주한 미군 사령관 - 존 R. 하지
    존 R. 하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1945년 인천에 상륙하여 일본 총독부의 항복을 받고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군정청 사령관을 겸임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남한을 통치했으며, 195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 사망했다.
  • 미국 육군 대장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 육군 대장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 육군사관학교 동문 - 마이크 폼페이오
    마이크 폼페이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과 CIA 국장을 역임했으며, 이전에는 캔자스주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공화당 내 강경 보수파이자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이다.
  • 미국 육군사관학교 동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존 H. 마이켈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9년의 마이클리스
마이클리스 (1969년)
별명강철 마이크
마이크 대령
출생일1912년 8월 20일
출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프레시디오
사망일1985년 10월 31일 (73세)
사망지미국 조지아주 클레이턴
안장지알링턴 국립묘지
소속미국 육군
복무 기간1931년–1932년, 1936년–1972년
최종 계급대장
지휘
지휘제502 낙하산 보병 연대
제27 보병 연대
남유럽 기동 부대
제5군
주한 미군/제8군
유엔군 사령부
주요 참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훈장
훈장수훈 십자 훈장
공훈 훈장 (3회)
은성 훈장 (2회)
공로 훈장 (4회)
청동성 훈장 (3회)
퍼플 하트 훈장 (2회)
항공 훈장

2. 군 경력

존 H. 마이켈리스는 1931년 육군에 입대하여 1936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42년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을, 1949년 합동 참모대학을 졸업했다.[3] 1947년부터 1948년까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육군 원수의 부관으로 복무했다.

1956년 소장, 1959년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1962년 제5군단장, 1966년 제5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72년 퇴역 시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5]

2. 1. 제2차 세계 대전

존 H. 마이켈리스는 1936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502낙하산보병연대의 부지휘관이었으나, 지휘관 조지 밴 혼 모세이 주니어가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비행기 낙하에서 다리 골절 부상을 당하자, 부대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9] 이후 마이켈리스는 네덜란드에서 심한 부상을 입었다.[4] 그는 바스토뉴 전투에서 제101공수사단의 참모장으로 복무했으며, 대령으로 전쟁을 마쳤다.[5] 마이켈리스는 은성 훈장과 두 개의 퍼플 하트 훈장을 받았다.[6]

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에서 "울프하운드"로 알려진 제25보병사단 27연대를 지휘했으며, 이 공로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7] 종군 기자 마거릿 히긴스가 여러 차례 그를 취재했기 때문에 미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초기 미군 부대들이 붕괴되는 상황에서도, 마이켈리스의 부대는 공수부대 경험을 바탕으로 포위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매슈 리지웨이 장군은 마이켈리스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더 이상 후퇴는 없다"는 정책을 펼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맡겼다. 1951년 1월 15일, 마이켈리스 부대는 울프하운드 작전을 통해 북진하며 유엔군 반격의 선봉에 섰다. 2월에는 라운드 업 작전이 시작되었고, 제27연대는 경부 본도를 따라 진격하여 유엔군 공세의 발판을 마련했다.

1950년 7월 23일부터 28일까지 벌어진 보은-황간 지연 작전에서 북한군 제2사단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로 인해 북한군 제2사단은 8월 공세에 참여하지 못했다.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제27연대는 제8군의 기동 부대로 활약했다.

클레이 블레어에 따르면, 마이켈리스는 터키 여단의 전투 준비 태세를 비관적으로 평가했다. 블레어는 종군기자들이 터키군을 "강인한" 군대로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훈련과 지휘, 전투 경험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는 마이켈리스의 말을 인용했다.

마이켈리스는 한국 전쟁에서 세운 공로로 두 번째 은성 훈장과 항공 훈장을 받았다.[6] 1951년에 준장으로 진급했다.[5]

2. 3. 한국 전쟁 이후

1952년, 마이켈리스는 미국으로 돌아와 미국 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 사령관을 역임했다.[5] 이후 제5군을 지휘했다.[5] 1969년, 주한 미8군 사령관 겸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되었으며, 대장으로 진급했다.[5] 그는 1972년에 군에서 퇴역했다.[5]

3. 생애

존 H. 마이켈리스는 펜실베이니아 주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31년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 1936년에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101공수사단 참모장을 지냈다.

한국 전쟁에는 제27연대장으로 참전했다. 종군 기자 마거릿 히긴스가 여러 차례 그를 취재했기 때문에 미국에서 널리 알려졌다. 1950년 7월 23일부터 28일까지 보은-황간 지연 작전에서 북한군 제2사단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로 인해 북한 제2사단은 8월 공세에 참여하지 못했다.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제27연대는 제8군의 기동 부대로 활약했다.

1951년 1월 15일, 제27연대의 별명을 딴 울프하운드 작전이 실시되어, 제27연대는 경부 본도를 북상하며 위력 정찰을 실시했다. 2월에는 라운드 업 작전이 시작되어 제27연대는 경부 본도를 돌진, 유엔군 공세의 발단이 되었다.

1952년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1956년 소장, 1959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62년에는 제5군단장, 1966년에는 제5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69년, 주한 제8군 사령관 겸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대장으로 진급했다.

1985년 10월, 조지아 주 클레이턴의 병원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1]

3. 1. 초기 생애

존 H. 마이켈리스는 1931년 6월 18일에 육군에 입대했으며, 이후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임명되었다. 그는 1936년 웨스트포인트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42년에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을 졸업했다.[3]

3. 2. 퇴역 이후

1972년, 군에서 퇴역하고 대한항공 고문으로 취임했다.[1] 1976년, 플로리다 주에서 은거 생활을 시작했다.[1]

4. 사망

존 H. 마이켈리스는 1985년 10월 31일 조지아주 클레이턴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으며, 최고 군사 예우를 받았다.[9]

5. 서훈 내역


  • 수훈 십자 훈장 1개 (1950년 10월 4일)
  • 육군 공로 훈장(Distinguished Service Medal (U.S. Army)) 2개 (1966년 4월/1969년 3월 6일)
  • 은성 무공 훈장 2개 (1944년/1951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4개 (1945년?/1948년 3월 5일/1951년?/1959년 9월 10일)

참조

[1] 서적 Assembly https://books.google[...] 1989
[2] 웹사이트 Los Angeles Times: Archives - Retired Gen. 'Iron Mike' Michaelis Dies https://pqasb.pqarch[...] pqasb.pqarchiver.com 2015-08-20
[3] 서적 U.S. Army Register: United States Army Active and Retired List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4-01-01
[4] 웹사이트 Personalities and Commanders | "Iron Mike" http://www.101airbor[...] 101airborneww2.com 2015-08-20
[5] 뉴스 Retired Gen. 'Iron Mike' Michaelis Dies: Veteran of WWII, Korea Was Eisenhower Aide, West Point Chief https://www.latimes.[...] 1985-11-03
[6] 서적 Official Register of the Officers and Cadets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1971
[7] 웹사이트 TIME magazine article April 06, 1959 http://www.time.com/[...] Time 2015-08-20
[8] 웹사이트 John Hersey Michaelis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6-01-03
[9] 뉴스 Retired Gen. 'Iron Mike' Michaelis Dies: Veteran of WWII, Korea Was Eisenhower Aide, West Point Chief http://articles.lati[...] 1985-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