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M. 켈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M. 켈러는 1938년 3월 5일에 태어난 교육 공학 분야의 권위자이다. 1974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교육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시러큐스 대학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켈러는 1979년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ARCS 모델을 제시하여 널리 알려졌다. ARCS 모델은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탤러해시 출신 - 드와이트 스미스
    드와이트 스미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활약한 미국의 야구 선수로, 1989년 시카고 컵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1995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으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2022년 심부전과 폐부전으로 사망했다.
  • 탤러해시 출신 - 브래드 데이비스 (배우)
    브래드 데이비스는 영화 《미드나잇 익스프레스》로 골든 글로브 신인상을 수상한 미국의 배우였으며, HIV 양성 판정을 받고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동문 - 조 켈리 (1988년)
    조 켈리는 빠른 속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던지는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보스턴 레드삭스와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거쳐 현재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투수이며, 2018년과 2020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동문 - 존 W. 헨리
    존 W. 헨리는 1949년 일리노이주 퀸시에서 태어난 미국의 사업가로, 존 W. 헨리 & 컴퍼니를 설립하여 선물 거래를 시작했으며 보스턴 레드삭스, 리버풀 FC 등 여러 스포츠 구단을 소유하고 보스턴 글로브를 인수하여 미디어 사업도 하는 인물이다.
  • 교육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교육심리학자 - 제롬 브루너
    제롬 브루너는 인지 심리학, 발달 심리학, 교육 심리학에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인지 과학자로, 인지 혁명을 주도하고 발견 학습, 나선형 교육과정, 비계 개념 등을 제시하며 교육 개혁과 서사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존 M. 켈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존 M. 켈러
원어 이름John M. Keller
출생일1938년 3월 5일
국적미국
직업교육심리학자
학력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학문 분야
분야교육공학
동기 부여 이론
주요 업적ARCS 모델 (수업 설계)

2. 생애 및 경력

존 M. 켈러는 1938년 3월 5일에 태어나 젊은 시절 스포츠와 학문을 즐겼다.[1][2] 19세에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여 4년간 복무한 후, 대학에 진학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에서 학사 학위를,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교육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2]

박사 학위 취득 후, 1974년부터 시러큐스 대학교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 공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2010년 명예 교수로 은퇴했다.[1][2] 그의 지인으로는 바르토슈 우드니키와 랭스턴 포드가 있었다.[1][2]

2. 1. 초기 생애

존 M. 켈러는 1938년 3월 5일에 태어났다. 젊은 시절 그는 스포츠와 학문을 즐겼으며, 특히 미식축구팀 디트로이트 라이언스를 좋아했다. 바르토슈 우드니키와 랭스턴 포드는 그의 지인이었다. 1957년, 19세의 나이로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여 4년간 복무했다. 군 복무를 마친 후 대학에 진학하여, 196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영어를 부전공으로 졸업했다. 이후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교육 공학을 연구하여 1974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2. 군 복무 및 학업

켈러는 1938년 3월 5일에 태어났다. 젊은 시절 그는 스포츠와 학문을 즐겼으며 디트로이트 라이언스의 팬이었다. 그의 지인으로는 바르토슈 우드니키와 랭스턴 포드가 있었다. 이후 1957년, 19세의 나이로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여 4년간 복무한 뒤 대학에 진학했다. 196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에서 철학전공하고 영어를 부전공으로 하여 졸업했다. 1974년에는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교육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2]

박사 학위 취득 후 1974년, 켈러는 시러큐스 대학교에서 교육 공학 분야의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1979년에는 부교수로 승진했으며, 1985년까지 시러큐스 대학교에 재직했다. 1985년에는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고, 1988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그는 2010년 교육 공학 및 교육 심리학 명예 교수로 은퇴했다.[1][2]

2. 3. 교수 활동

1974년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에서 교육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2] 같은 해 시러큐스 대학교에서 교육 기술 조교수로 임명되었고, 1979년에 부교수로 승진하여 1985년까지 재직했다.[1][2] 1985년에는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로 옮겨 1988년에 정교수가 되었다.[1][2] 2010년에 교육 기술 및 교육 심리학 명예 교수로 은퇴했다.[1][2]

3. ARCS 모델

켈러의 동기유발 교수설계이론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네 가지 핵심 요건으로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제시한다. 이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하도록 수업을 설계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론으로, 각 요건의 영문 앞글자를 따서 '''ARCS 모형'''이라고도 부른다.

켈러는 1979년에 ARCS 모형을 처음 소개했으며[3], 이는 기존의 행동주의나 인지 심리학 기반의 교수 설계 접근법들이 외부 자극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학습자 내면의 동기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했다. ARCS 모델은 학습자의 동기를 이 네 가지 구체적인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고, 교수자가 각 요소를 수업 상황에 맞게 통합하여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교육 및 훈련 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이후 학습자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이론적 토대이자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4] 켈러는 자신의 저서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에서도 이 네 가지 요소가 학습자의 노력, 수행, 그리고 학습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했다.

3. 1. ARCS 모델의 구성 요소

켈러의 동기유발 교수설계이론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네 가지 핵심 요건으로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제시한다. 이 네 요건을 충족하도록 수업을 설계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론으로, 각 요건의 영문 앞글자를 따서 '''ARCS 모형'''이라고도 불린다.

켈러는 1979년에 ARCS 모형을 처음 소개했으며[3], 이는 기존의 행동주의나 인지 심리학 기반의 교수 설계 접근법들이 주로 외부 자극에 초점을 맞추고 학습자 내면의 동기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켈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학습자 중심의 동기 부여 전략을 강조하는 ARCS 모델을 개발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에서도 이 네 가지 요소가 학습자의 노력, 수행, 그리고 학습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했다. ARCS 모델은 학습자의 동기를 네 가지 구체적인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고, 교수자가 각 요소를 수업 상황에 맞게 통합하여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교육 및 훈련 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이후 학습자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이론적 토대이자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4]

ARCS 모델의 네 가지 구성 요소와 각 요소를 증진시키기 위해 교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질문들은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ARCS 모델
주 분류 틀분류작업 질문
주의(Attention)
관심 획득·호기심 자극
지각적 환기지각 수준의 호기심을 환기시키고, 학습자의 흥미를 끌고 있는가?
탐구심 환기지적 호기심을 환기시키고 탐구적인 행동을 이끌어내고 있는가?
변화성학습자의 동기 부여를 유지하기 위해 수업에 변화를 주고 있는가?
관련성(Relevance)
긍정적인 태도에 작용
개인적인 요구와 목표를 충족시킴
목적 지향성학습자의 미래의 목적 또는 목표와 수업을 연결시키고 있는가?
동기와의 일치목적을 가지지 않는 학습자를 포함하여, 학습자를 수업에 관여시키기 위한 동기 부여를 하고 있는가?
친숙함학습자의 과거 경험 및 흥미와 수업을 관련시키고 있는가?
자신감(Confidence)
학습자가 성공할 수 있음
또한 성공은 자신 스스로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음을
확신·실감하도록 돕는다.
학습 요구학습자에게 기대하는 것 및 평가하는 것을 이해시키고 있는가?
성공의 기회성공을 경험할 기회를 학습자에게 주고 있는가?
성공에 대한 자신감성공이 학습자의 능력과 노력에 의한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있는가?
만족감(Satisfaction)
인센티브에 의한 달성 강화
내발적인 강화학습자가 내발적인 흥미를 발전시키기 위해 새롭게 획득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능한 빨리 활용할 기회를 주고 있는가?
외발적인 강화학습자의 성공에 대해 코멘트나 칭찬을 하고 있는가?
공정성체크리스트나 룰북을 통해 학습자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있는가?


3. 1. 1. 주의 (Attention)

켈러의 동기유발 교수설계 이론인 ARCS 모형은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네 가지 핵심 요소로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제시한다. 켈러는 기존의 행동주의나 인지 심리학 기반 교수 설계 방식이 외부 자극이나 학습 내용 전달에 치중한 나머지, 정작 학습자의 동기 부여, 특히 학습 시작 단계에서 학습 내용에 대한 '주의'를 집중시키는 데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고 보았다.[3]

ARCS 모형에서 '주의'는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주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켈러는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세부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1][4]

ARCS 모델: 주의(Attention) 전략
분류핵심 질문 (교수자 관점)
지각적 환기시청각 자료 활용, 비일상적인 사건이나 정보 제시 등을 통해 학습자의 지각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하고 있는가?
탐구심 환기질문 던지기, 문제 해결 상황 제시 등을 통해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스스로 탐구하도록 유도하고 있는가?
변화성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의, 토론, 시청각 자료 활용 등 다양한 교수 방법이나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에 변화를 주고, 학습자의 주의를 지속시키고 있는가?



이러한 주의 전략은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첫 단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1. 2. 관련성 (Relevance)

켈러의 ARCS 동기유발 모형에서 관련성(Relevance)은 학습 내용이 학습자 개인의 필요나 목표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낄 때 동기가 유발된다는 요소이다. 이는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학습 내용이 자신과 관련 있다고 느낄 때 학습 효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학습자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수업 내용과 학습자의 개인적인 목표 및 흥미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켈러는 관련성을 높이기 위한 세부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 목적 지향성(Goal Orientation): 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현재 또는 미래의 목표 달성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명확히 제시한다. 예를 들어, 특정 기술을 배우는 것이 미래 직업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방식이다.
  • 동기와의 일치(Motive Matching): 학습자 개개인이 가진 다양한 동기(성취욕구, 친화욕구, 권력욕구 등)에 부합하는 학습 환경이나 과제를 제공한다. 협동 학습을 선호하는 학생에게는 조별 과제를, 경쟁을 통해 동기를 얻는 학생에게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하는 방식 등이 있다.
  • 친숙함(Familiarity): 학습자의 과거 경험, 지식, 흥미 등을 새로운 학습 내용과 연결시킨다. 친숙한 예시나 인물, 사건 등을 활용하여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는 전략이다.

3. 1. 3. 자신감 (Confidence)

켈러의 동기유발 교수설계이론인 '''ARCS 모형'''에서 자신감(Confidence)은 학습자가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요건이다. 이는 학습자가 제시된 학습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나아가 그 성공이 자신 스스로의 노력과 능력에 달려 있다는 인식을 갖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3][1][4]

켈러는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 학습 요구 사항 제시: 학습 목표와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학습해야 하고, 어떤 기준으로 평가받는지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는 학습자가 성공을 위해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한지 예측하고 학습 과정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성공 기회 제공: 학습 과정 초반이나 중간 단계에서 학습자가 성공을 경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교적 쉬운 과제부터 도전하게 하거나 충분한 연습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작은 성공 경험들이 쌓여 학습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 성공에 대한 자신감 부여: 학습의 성공이 우연이나 운이 아닌 학습자 자신의 노력과 능력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인식시키는 전략이다.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해 노력과 성취 간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줌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해 통제감을 느끼고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도록 유도한다.

3. 1. 4. 만족감 (Satisfaction)

만족감(Satisfaction)은 켈러의 ARCS 모형에서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네 번째 핵심 요소이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 경험과 그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고, 학습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3][1][4]

켈러는 학습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 '''내발적 강화''': 학습자가 새로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해 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 내용의 유용성을 직접 경험하고 내적인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즉, 학습 활동 자체에서 내재적 동기를 찾도록 돕는다.
  • '''외발적 강화''': 학습자의 노력과 성과에 대해 칭찬, 보상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자의 성공적인 수행을 인정하고 외재적 동기를 부여하여 학습 행동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 '''공정성''': 학습 목표, 내용, 평가 기준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일관되게 적용하여 학습자가 평가 과정과 결과가 공정하다고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자신이 기울인 노력에 대해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낄 때 만족감을 느끼고 학습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만족감 전략은 학습자가 자신의 노력이 의미 있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느끼게 함으로써, 향후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2. ARCS 모델의 활용

켈러의 동기유발 교수설계이론은 동기유발의 네 가지 핵심 요건으로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제시한다. 이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하도록 수업을 설계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으로, 각 요건의 영문 앞 글자를 따서 '''ARCS 모형'''이라고도 부른다.

켈러는 그의 저서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에서 학습 동기의 주요 네 가지 요소(주의 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가 학습자의 노력, 수행, 그리고 결과에 거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했다. 그는 1979년에 처음 소개한 이 ARCS 모델을 통해 기존의 행동주의 및 인지 심리학 기반 교수 설계 접근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켈러는 이전 접근법들이 외부 자극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학습자의 내적 동기에는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고 보았다.[3]

ARCS 모델은 학습자 동기를 주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라는 네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고, 교육자가 각 요소를 수업에 통합하여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교육 현장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이후 학습자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1][4]

ARCS 모델의 구성 요소 및 관련 질문
주 분류 틀분류작업 질문
주의(Attention)
관심 획득·호기심 자극
지각적 환기학습자의 지각 수준에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흥미를 유발하고 있는가?
탐구심 환기지적 호기심을 자극하여 탐구적인 행동을 유도하고 있는가?
변화성학습자의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업 내용이나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는가?
관련성(Relevance)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개인적 요구/목표 충족
목적 지향성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미래 목표나 필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제시하고 있는가?
동기와의 일치뚜렷한 학습 목적이 없는 학습자를 포함하여 모든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있는가?
친숙함학습 내용이 학습자의 과거 경험이나 흥미와 관련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자신감(Confidence)
성공 가능성 및 노력의 중요성 인식
학습 요구 조건 제시학습 목표와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돕고 있는가?
성공 기회 제공학습자가 노력하면 성공을 경험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
성공에 대한 자신감 부여학습 성공이 외부 요인이 아닌 학습자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 의한 것임을 인지시켜 자신감을 갖도록 돕고 있는가?
만족감(Satisfaction)
성취감 강화 및 학습 지속 유도
내재적 강화학습자가 새롭게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실제 상황에 적용해 볼 기회를 제공하여 내재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는가?
외재적 보상학습자의 노력과 성과에 대해 칭찬이나 긍정적 피드백 등 외재적 보상을 제공하고 있는가?
공정성학습 평가가 미리 제시된 기준(체크리스트, 루브릭 등)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학습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있는가?


4. 주요 저서


  • ''학습 및 성과를 위한 동기 부여 설계: ARCS 모델 접근법''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RCS Model Approacheng). 뉴욕: 스프링거 (2010).
  • ''수업 설계 원리''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eng). 벨몬트, 캘리포니아: 와즈워스/톰슨 러닝 (2005).
  • ''매력적인 코스웨어 설계'' (The design of appealing coursewareeng).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다양성 교육 평가: 즉시 사용 가능한 17가지 도구'' (Evaluating diversity training: 17 ready-to-use toolseng). 샌디에이고: 파이퍼 & 컴퍼니 (1996).

참조

[1] 논문 John M. Keller: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ttp://media.wix.com[...]
[2] 웹사이트 John M. Keller – Vita http://media.wix.com[...] 2016-10-10
[3] 웹사이트 Model of Motivation: ARCS Instructional Design https://educationlib[...] 2021-01-30
[4] 뉴스 Motiv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http://www.ericdiges[...] 1998-01-01
[5] 논문 John M. Keller: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ttp://media.wix.com[...]
[6] 웹사이트 John M. Keller – Vita http://media.wix.com[...] 2016-10-10
[7] 뉴스 Motiv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http://www.ericdiges[...] 1998-01-01
[8] 서적 学習意欲をデザインする: ARCSモデルによるインストラクショナルデザイン https://www.worldcat[...] 北大路書房 2010
[9] 웹사이트 ARCS(アークス)モデル {{!}} FDアーカイブズ https://fd-handbook.[...] 201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