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블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블로는 잉글랜드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이다. 그는 로열 채플의 성가대원으로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웨스트민스터 사원 오르간 연주자, 왕실 예배당 신사, 세인트 폴 대성당 성가대 지휘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가면극 《비너스와 아도니스》가 있으며, 헨리 퍼셀과 함께 영국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작곡가 - 로버트 존슨 (잉글랜드의 작곡가)
    로버트 존슨은 잉글랜드의 작곡가이자 류트 연주자로서 엘리자베스 1세 시대부터 찰스 1세 시대 궁정에서 활동하며 가면극과 궁정 오락 음악을 작곡했고, 특히 셰익스피어 희곡에 음악을 더한 최초의 작곡가로 류트 독주곡, 벤 존슨 희곡 음악, 셰익스피어 희곡 음악 등의 작품이 오늘날까지 연주된다.
  • 17세기 작곡가 - 제러마이아 클라크
    제러마이아 클라크는 로열 채플 등에서 활동한 영국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로, "덴마크 왕자의 행진곡" 등의 작품을 남겼으나 우울증으로 자살했다.
  • 잉글랜드의 클래식 오르간 연주자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독일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하며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음악은 독창적인 스타일과 극적인 표현력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다.
  • 잉글랜드의 클래식 오르간 연주자 - 앤드루 데이비스 (지휘자)
    앤드루 데이비스는 1944년 잉글랜드 출생으로 왕립 음악원 등을 졸업하고 BBC 교향악단 등을 지휘했으며, 오페라 지휘자로 활동하다 2024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 1649년 출생 - 마리 안 망시니
    마리 안 망시니는 마자랭 추기경의 조카로서 프랑스 궁정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문인들을 후원하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루이 14세의 관대한 처분으로 사회에 복귀한 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한 17세기 프랑스의 문화 후원자이다.
  • 1649년 출생 - 김우항
    김우항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사마시와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경상도관찰사,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호조판서와 우의정을 지냈으며, 신임사화 때 화를 입었고 저서로 『갑봉집』을 남겼다.
존 블로
기본 정보
18세기 샤를 그르ignon의 로버트 화이트 판화
출생지콜링엄, 노팅엄셔, 잉글랜드
세례일1649년 2월 23일
사망일1708년 10월 1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직업작곡가
오르간 연주자

2. 생애와 교육

존 블로는 노팅엄셔 컬링엄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어린 시절 로열 채플 성가대원으로 활동하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그는 매우 어린 나이에 ''주님, 당신은 우리의 피난처가 되셨습니다'', ''주님, 저를 꾸짖지 마십시오'' 등 여러 찬가를 작곡했다. 특히 "클럽 찬가"로 불리는 ''나는 항상 감사할 것입니다''는 펠햄 험프리, 윌리엄 터너와 함께 작곡한 곡으로, 1665년 네덜란드와의 해전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거나 세 사람의 친분을 기리기 위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1668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고, 1674년에는 왕실 예배당의 신사 및 왕실 예배당 어린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1685년 제임스 2세의 개인 음악가가 되었으며, 1687년 세인트 폴 대성당의 성가대 지휘자가 되었다. 1695년 세인트 마가렛 교회(웨스트민스터)의 오르간 연주자로 선출되었고, 동시에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간 연주자 직을 다시 맡았다. 1700년에는 왕실 예배당 작곡가로 임명되었다.

1673년 9월, 블로는 엘리자베스 브래덕과 결혼했으나, 10년 후 출산 중 아내와 사별했다. 슬하에 세 딸을 두었으며, 1708년 10월 1일 59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존 블로는 노팅엄셔 컬링엄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뉴워크 교구 등록부에는 블로와 그의 형제자매의 세례, 부모의 결혼, 아버지의 장례식이 기록되어 있다. 1677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을 때 램버스 학위 등록부에는 블로가 자신의 출생지를 '충실한 뉴워크 자치구'라고 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649년 2월 23일에 세례를 받았으므로,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소년 시절 로열 채플 성가대원으로 발탁되어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1]

이례적으로 어린 나이에 여러 편의 찬가를 작곡했는데, ''주님, 당신은 우리의 피난처가 되셨습니다'', ''주님, 저를 꾸짖지 마십시오'' 및 이른바 "클럽 찬가"인 ''나는 항상 감사할 것입니다''가 포함된다. 마지막 작품은 펠햄 험프리, 윌리엄 터너와 공동으로 작곡했으며, 1665년 네덜란드와의 승리를 기념하거나, 세 성가대원들의 친목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

2. 2. 경력

1668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다.[2] 1674년 왕실 예배당의 신사 및 왕실 예배당 어린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2] 1685년 제임스 2세의 개인 음악가 중 한 명이 되었다. 1687년 세인트 폴 대성당의 성가대 지휘자가 되었다.[2] 1695년 세인트 마가렛 교회(웨스트민스터)의 오르간 연주자로 선출되었고,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오르간 연주자 직을 다시 맡았다. 1700년 왕실 예배당 작곡가로 임명되었다.[3][2]

2. 3. 개인적인 삶

John Blow영어는 1673년 9월에 엘리자베스 브래덕과 결혼했으나, 10년 후 출산 중 아내와 사별했다.[3] 슬하에 세 딸이 있었다.

John Blow영어는 1708년 10월 1일, 브로드 생츄어리에 있는 자택에서 59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1]

3. 주요 작품

블로는 14개의 서비스와 100개가 넘는 찬가를 작곡했다.[2] 1682년 신년 송가 ''위대한 폐하, 우리 모두의 기쁨''을 비롯해, 여러 해의 신년 송가와 성 세실리아 축일 기념 송가를 작곡했다.[3] 제임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한 찬가 ''보소서, 오 하나님, 우리의 수호자''와 ''하나님이 때때로 환상으로 말씀하셨네''를 작곡했고,[3] 헨리 플레이포드의 ''음악의 시녀''(1689)를 위한 하프시코드 곡, ''메리 여왕을 위한 장송곡''(1695), ''퍼셀의 죽음에 대한 송시''(1696)를 작곡했다.[3] 1700년에는 자신의 작품을 모아 통주 저음 반주가 있는 1, 2, 3, 4성부의 음악 작품 모음집인 ''Amphion Anglicus''를 출판했다.[3]

3. 1. 비너스와 아도니스

1680년부터 1687년 사이에 블로는 그의 유일한 무대용 작품인 가면극 "비너스와 아도니스"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국왕 찰스 2세를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4] "비너스와 아도니스"에서 찰스 2세의 정부(情婦)였던 메리 데이비스가 비너스 역을 맡았고, 그녀와 찰스 2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인 레이디 메리 튜더가 큐피드 역을 맡았다.[4]

4. 평가 및 유산

존 블로는 헨리 퍼셀과 함께 영국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영국 교회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6] 찰스 버니는 자신의 저서 《음악의 역사》에서 블로의 작품에 대해 다소 미숙하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지만, 그의 음악적 노력을 인정했다.[8]

노팅엄셔 콜링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존 블로 초등학교(John Blow Primary School)가 있다.[6] 아서 블리스는 1955년 블로의 시편 찬송가 "주는 나의 목자"를 주제로 《존 블로의 주제에 대한 명상》을 작곡했다.[7] 블로 서거 300주년인 2008년에는 BBC 라디오 3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그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성가대는 합창 저녁 기도를 생방송으로 진행했으며, 대부분 그의 작품과 동시대 사람들의 음악으로 구성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John Blow http://www.westminst[...] 2019-12-30
[2] 서적 Choral Repertoire https://books.google[...]
[3] 백과사전 Blow, John
[4] 웹사이트 'John Blow' http://www.twickenha[...]
[5] 문서 Amphion Anglicus 1700
[6] 웹사이트 Welcome https://www.johnblow[...] 2024-07-06
[7] 간행물 Meditations on a Theme by John Blow (1955). https://www.wisemusi[...] Novello & Co Ltd. Reprinted at Wise Music Classical 2021-08-01
[8] 라디오 Choral Evensong from Westminster Abbey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hn Blow http://www.bbc.co.uk[...] 2008-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