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찬가는 신이나 절대적인 존재를 찬양하고 경배하는 노래를 의미하며, 종교적 신념과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고대부터 기독교, 힌두교, 시크교, 불교, 유교, 이슬람교, 자이나교, 유대교, 신토, 조로아스터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찬가의 형태와 내용이 존재해 왔다. 기독교 찬송가는 하느님을 찬양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언급하며, 특별한 날이나 시기에 따라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2. 찬가의 정의와 역사

찬가는 이나 절대적인 존재를 찬양하고 경배하는 노래를 의미한다. 이는 종교적인 신념과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고대 동방에서는 이집트의 ''아톤 찬가'',[6] 후리안의 ''니칼 찬가'',[7] 인도의 ''리그베다'',[8] 중국 ''시경''의 찬가,[9] 조로아스터교의 ''가타'',[10] 그리고 성경의 ''시편''[11] 등 다양한 찬가가 발전했다.

서양의 찬가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호메로스 찬가''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기원전 7세기부터 고대 그리스 종교의 신들을 찬양했다.[12] 이후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칼리마코스가 남긴 문학 찬가(Ὕμνοι|휨노이grc)[13]나 ''오르페우스 찬가''[14] 등도 서양 찬가 역사의 일부를 이룬다.

2. 1. 어원

교부 작가들은 그리스어 ὕμνος|휨노스grc에서 유래한 라틴어 hymnus|휨누스la라는 용어를 기독교의 찬양 노래를 가리키는 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종종 시편과 같은 의미로 쓰기도 했다.[15]

현대어에서 '찬가'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에는 다음과 같은 구분이 있다.

  • '''성가(聖歌)''': 고대 및 중세부터 이어져 온 종교적인 노래를 폭넓게 지칭한다. 주로 동방 교회(정교회, 동방 기독교회)의 예배나 가톨릭교회, 성공회전례에서 사용되는 노래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아래의 '찬송가'도 포함될 수 있다. 일본의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는 '성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찬송가(讃美歌)'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 '''찬송가·찬미가(讃美歌)''': 주로 개신교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에서 사용되는 종교 노래를 가리킨다. 교회의 회중이 함께 부르며 신앙을 고백하고 세상에 증언하는 성격을 가진다. 다만, 일본에서는 일본 복음 연맹의 "성가", 성가의 벗사의 "성가", 교문관의 "새 성가"처럼 찬송가집임에도 '성가'라는 이름이 붙는 경우도 있다.


기독교 음악은 성가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가사가 없는 기악곡 등도 포함하지만, '성가'는 일반적으로 가사가 있는 노래를 의미한다. 특히 정교회의 성가는 원칙적으로 아카펠라(무반주 성악) 형식을 따르므로, 정교회 예배에서 사용되는 음악은 모두 성가에 해당한다.

2. 2. 고대 찬가

고대 동방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찬가가 발전했다. 이집트에서는 파라오 아크나톤이 작곡한 ''아톤 찬가''가 있으며,[6] 후리안에게는 ''니칼 찬가''가 전해진다.[7] 인도에서는 베다 찬가 모음집인 ''리그베다''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8] 중국에서는 기원전 11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시를 모은 ''시경''에 찬가가 포함되어 있다.[9]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조로아스터가 직접 작곡했다고 여겨지는 아베스타 찬가 ''가타''가 있으며,[10] 성경의 ''시편'' 역시 대표적인 고대 찬가 모음집이다.[11]

서양의 찬가 전통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 ''호메로스 찬가''는 고대 그리스 종교의 신들을 찬양하는 노래 모음집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7세기에 쓰였다.[12] 기원전 3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칼리마코스는 6개의 문학적인 찬가(Ὕμνοιgrc) 모음집을 남겼다.[13] 또한, 그리스 종교와 관련된 87편의 짧은 시 모음집인 ''오르페우스 찬가''도 있다.[14]

교부 작가들은 그리스어 ὕμνοςgrc, 즉 라틴어로 ''hymnus''라는 용어를 기독교의 찬양 노래를 가리키는 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종종 와 같은 의미로 쓰기도 했다.[15]

2. 3. 서양 찬가의 기원

찬송가의 서양 전통은 고대 그리스 찬가 모음집인 ''호메로스 찬가''에서 시작되었으며, 그중 가장 오래된 찬가는 기원전 7세기에 쓰여 고대 그리스 종교의 신들을 찬양했다.[12] 기원전 3세기부터 전해지는 것으로는 알렉산드리아 시인 칼리마코스가 쓴 6개의 문학 찬가(Ὕμνοιgrc) 모음집이 있다.[13] 그리스 종교에는 87편의 짧은 시 모음집인 ''오르페우스 찬가''도 있다.[14]

교부 작가들은 ὕμνοςgrc, 즉 라틴어로 hymnusla라는 용어를 기독교 찬양 노래에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의 동의어로 자주 사용했다.[15]

3. 기독교의 찬가

기독교에서 찬가는 주로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경배를 내용으로 하며, 많은 경우 예수 그리스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이는 구약성경시편이나 다른 시적인 구절들을 본받아 만들어졌기 때문이다.[112][22] 찬가는 신자들의 신앙 감정을 표현하고 공동체가 함께 부르며 영적인 일치를 이루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기독교 찬가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특정 절기나 예식, 인물(성인 등)을 주제로 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찬송가와 더불어 대중 음악의 영향을 받은 현대 예배 음악도 널리 사용된다.[53][54][25][26]

3. 1. 초기 기독교 찬가

기독교에서 교회 신도들은 예배의 일부로 함께 찬송가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사진: 1944년 영국 어핑턴 교구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는 사람들)


원래 성경의 시편과 다른 시적 구절(일반적으로 "칸티클"이라 불림)을 본뜬 기독교 찬송가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의 하느님을 찬양하는 데 사용된다. 많은 찬송가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언급한다.

사도 바울은 신약성경에서 에베소 교회와 골로새 교회 신자들에게 서로 격려하고 교화하기 위해 시편과 찬송가를 부르라고 명했다.[16] 이는 바울 자신이 불운한 상황에서도 실라와 함께 빌립보 감옥에서 찬송가를 불렀던 데서 나타났다.[16] 시편 30편 4절이나 요한계시록 14장 3절과 같은 다른 성경 구절들도 기독교인들이 하느님을 찬양하는 찬송가를 부르도록 권장한다.[16]

이처럼 초기부터 기독교인들은 사적인 경건함과 공동 예배에서 "시편과 찬송가와 영적인 노래"를 불러왔다.[17][18] 오늘날에도 불리는 초기 교회의 비성경적 찬송가(즉, 시편이나 칸티클이 아닌 찬송가)로는 'Phos Hilaron', 'Sub tuum praesidium', 'Te Deum' 등이 있다.[19][20][21]

3. 2. 찬가의 정의 (기독교)

찬가는 오르간 음악이 종종 동반된다.


기독교에서 찬가는 일반적으로 ‘서정적인 시적 문구로 경건하고 헌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노래로 불리도록 고안되어 하나님이나 하나님의 업적 등에 대한 인간의 흠숭(崇敬, 숭배하고 공경함)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12][22] 찬가의 형식은 단순하고 운율적이어야 하며, 내용은 서정적이고 시적이며 문학적이어야 한다. 또한 그 의미가 직접적이고 명백하여, 회중이 모두 한 목소리로 노래하며 영적으로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112][22]

원래 기독교의 찬가는 구약성경시편과 다른 시적인 구절들(칸티클)을 본받아 만들어졌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경배가 주된 내용을 이룬다. 많은 찬가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언급한다.

초대 교회 시대부터 기독교인들은 개인적인 신앙 실천이나 공동 예배에서 시편과 찬가, 영적인 주제를 다룬 노래들을 불러왔다.[17][18] 신약성경에서 사도 바울은 에베소 교회와 골로새 교회 신자들에게 서로를 격려하고 영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시편과 찬송가를 부르라고 권면했으며[16], 자신도 감옥에서 실라와 함께 찬송가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오늘날까지도 불리는 초기 교회의 비성경적 찬가(즉, 시편이나 칸티클이 아닌 찬가)로는 'Phos Hilaron', 'Sub tuum praesidium', 'Te Deum' 등이 있다.[19][20][21]

기독교의 찬가는 종종 특별한 날이나 시기별로 주제가 다른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탄절, 부활절과 같은 주요 축일이나 대림시기, 사순시기와 같은 특정 절기를 위한 찬가가 있다. 다른 찬가들은 세례성찬과 같은 기독교 예식을 기념하거나, 성경에 대한 경외심을 고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찬가는 특히 성모 마리아나 다른 성인들을 기리고 그들에 대한 신심을 표현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러한 찬가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그리고 어느 정도는 성공회고교회파에서 널리 사용된다.

찬가를 쓰는 사람은 '찬송가 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찬가를 부르는 행위를 '찬송'이라고 한다. 이 용어는 특정 교파나 시대에 속하는 찬가의 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예: "19세기 감리교 찬송가").[23] 찬가 모음집은 '찬송가', '찬송가 책' 또는 '찬송가집'이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음악 악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각 가사에 맞는 찬송가 곡조의 이름만 명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찬가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찬송가학이라고 하며, 연구자는 '찬송가학자'라고 부른다. 찬가를 부를 때 사용되는 곡조는 '찬송가 곡조'라고 한다.[24]

3. 3. 특별 절기와 찬가

기독교의 찬가는 종종 특별한 날이나 시기별로 주제가 다른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탄절, 부활절과 같이 예수와 관련된 주요 축일이나 대림시기, 사순시기, 모든 성인의 날과 같은 특정 절기에 맞춰 그 의미를 담은 찬가를 부른다.

이 외에도 성경에 대한 경외심을 고취하거나 세례성찬과 같은 기독교 예식을 기념하는 내용의 찬가도 있다. 또한 성모 마리아를 비롯한 특정 성인에 대한 찬양과 신심을 표현하는 노래들도 있는데, 이러한 찬가는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성공회고교회파에서 널리 불린다.

3. 4. 성인 찬가

기독교 찬가는 모든 성인의 날과 같은 특정 축일에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찬송가는 특히 성모 마리아와 같은 개별 성인을 찬양하거나 언급하며 신심을 표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성인 찬가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그리고 성공회고교회파에서 특히 널리 불린다.

3. 5. 음악과 반주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시편이나 찬가의 반주로 하프나 수금(리라), 류트와 같은 현악기들이 사용되었다.[28]

초기 기독교 작품에는 기보법이 없었기 때문에[113][27], 초대 교회의 실제 음악 형태는 정확히 알기 어렵고 추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그레고리오 성가나 단선율 성가 형태의 음악이 발전하여 많은 찬가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가는 주로 수도원 성가대에 의해 불렸으며, 정해진 선법에 따라 라틴어 가사로 불렸으나 점차 각 지역 언어로 번역되기도 하였다.[28]

3. 5. 1. 서방 교회

서방 교회의 찬가는 시간이 흐르면서 장조와 단조를 받아들이고, 4성부 보컬 하모니를 표준으로 삼았다. 이와 함께 오르간과 성가대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고전 음악과 많은 요소를 공유하게 되었다.[29] 오늘날 찬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가대뿐만 아니라 회중 전체가 함께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은 제창으로 불리지만, 오르간 반주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찬가를 권장하며, 특히 주례 사제와 신자, 성가대가 서로 주고받으며 부를 수 있는 형식을 선호한다. 가톨릭 찬가는 내용과 전례 시기에 따라 분류되며, 가사는 성경과 전례서에 근거해야 하고, 공동체가 쉽게 부를 수 있으면서도 성음악으로서의 품위를 지녀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통적으로 악기 반주나 독주에는 파이프 오르간을 중요하게 여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찬송가를 "노래와 함께 하는 하나님의 찬양이며, 영원한 것에 마음을 두고 음성으로 터져 나오는 마음의 환희"라고 정의했다.[37] 가톨릭 교회는 샤르팡티에, 모차르트, 몬테베르디 등의 고전적인 성가와 더불어 '사랑하는 빛을 인도하소서', '고요한 밤', 오 거룩한 성체, '우리 조상들의 신앙'과 같은 대중적인 찬송가들도 꾸준히 만들어왔다.[50]

개신교에서는 종교 개혁 이후 찬송가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이 나타났다. 츠빙글리파나 칼뱅주의자들 일부는 예배의 규제 원리에 따라 성경에서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은 찬송가나 기악 반주를 거부하고, 오르간을 교회에서 없애기도 했다. 이들은 성경의 시편만을 단순한 곡조에 맞춰 아카펠라로 부르는 독점 시편가를 선호했다.[38][39] 반면, 루터와 같이 예배의 규범적 원리를 따른 개혁가들은 찬송가 작곡과 회중 찬송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41] 루터 자신도 내 주는 강한 성이요(Ein feste Burg ist unser Gottde), Gelobet seist du, Jesu Christde 등 많은 찬송가를 직접 작곡했으며,[42] 찬송가를 통해 신자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기도 했다. 최초의 개신교 찬송가집은 1532년 보헤미아의 Unitas Fratrum에 의해 출판되었다.[43]

성공회 전통에서 유래한 감리교 예배에서는 성찬대에서의 개회 찬송, 성찬 중, 그리고 예배 중 특정 시간에 찬송가를 부른다. 이러한 찬송가들은 The United Methodist Hymnaleng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십일조와 헌금을 걷은 후에는 영광송을 부르기도 한다. 성공회에서는 전통적으로 제단으로 향하는 행진곡 동안, 성찬을 받는 동안, 퇴장곡으로, 그리고 때때로 예배 중 다른 시점에 오르간 반주와 함께 찬송가를 부른다.[30]

18세기에는 아이작 와츠가 성경을 직접 의역하지 않은 영어 찬송가를 처음 썼고,[45][46] 찰스 웨슬리는 개인적인 신앙 감정을 표현하는 찬송가를 통해 감리교 신학을 널리 알렸다.[39] 이후 미국제2차 대각성 운동과 함께 패니 크로스비, 아이라 D. 생키 등에 의해 가스펠 음악이 발전했으며, 이는 후렴구가 있고 템포가 빠른 특징을 지닌다.[39][49]

현대에 와서, 특히 복음주의와 오순절파 등에서는 현대 기독교 예배의 영향으로 파이프 오르간 대신 키보드, 색소폰, 전기 기타, 드럼 등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고 록 음악과 같은 현대 대중음악의 요소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나타났다.[28] 이는 때로 전통적인 찬송가를 선호하는 이들과 현대적인 예배 음악을 선호하는 이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53][54] 한편, 그리스도의 교회, 메노나이트 등 일부 교단들은 초대 교회의 전통을 따라 기악 반주 없이 아카펠라로 찬송가를 부르는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31][32][33]

3. 5. 2. 동방 교회

동방 기독교(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등)는 오랜 역사를 지닌 풍부하고 다양한 고대 찬가 전통을 가지고 있다.

동방 교회의 성가는 거의 대부분 무반주 음악이며, 악기 반주는 극히 드물다. 동방 정교회의 가장 대표적인 성가인 비잔틴 성가는 모든 전례 양식에 사용된다. 만약 무반주로 부르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ἴσον|이손el 또는 드론만 반주로 사용된다. 오르간과 다른 악기들은 교회 사용에서 제외되었지만, 황실 의식에서는 사용되었다.[35]

그러나 일부 오리엔트 전통에서는 악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콥트 정교회(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전통에서는 심벌즈와 트라이앵글만을 사용하며,[36] 에티오피아 정교회(테와헤도 교회)에서는 특정 행사에서 드럼, 심벌즈 및 기타 악기를 사용한다. 인도 정교회(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는 오르간을 사용하기도 한다.

3. 6. 한국 기독교의 찬가

한국기독교에서는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찬송가가 처음 소개되었다. 초기에는 서양 찬송가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나, 점차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신앙 경험을 반영한 찬송가들이 창작되기 시작했다.

특히 개신교의 찬송가 역사에서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배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만들어지고 불린 찬송가 중에는 민족이 겪는 고난과 압제 속에서 신앙을 통해 위로를 얻고 해방을 염원하는 내용을 담은 곡들이 많았다. 이러한 찬송가들은 당시 한국 교회 공동체의 아픔과 희망을 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 6. 1. 가톨릭교회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성가는 고대부터 이어져 온 전례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통적으로 라틴어로 된 그레고리오 성가가 대표적이며, 이는 오랫동안 가톨릭 전례의 공식적인 성가로 사용되어 왔다.

가톨릭 성가는 하느님을 찬미하고 신앙을 고백하는 내용 외에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나 여러 성인들을 기리고 그들의 전구를 청하는 내용을 담기도 한다. 이러한 성가는 특히 가톨릭교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널리 불린다.

한국 가톨릭교회에서는 전통적인 그레고리오 성가와 함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한국어로 번역되거나 새롭게 창작된 전례 성가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는 신자들이 전례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돕기 위한 변화의 일환이다.

일반적으로 '성가'라는 용어는 가톨릭교회나 성공회, 정교회 등에서 사용하는 전례 음악을 가리키는 반면, '찬송가'는 주로 개신교에서 사용하는 회중 찬양의 성격이 강한 노래를 의미하는 경향이 있다.

3. 6. 2. 개신교

한국의 개신교에서는 통일찬송가21세기 찬송가가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찬송가집이다.[23]

개신교 찬송가의 발전은 16세기 종교 개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교 개혁은 찬송가에 대해 두 가지 주요한 흐름을 만들었다. 하나는 예배의 규제 원리로, 성경에 명시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요소들을 예배에서 배제하려는 입장이었다. 이 관점을 따른 츠빙글리파, 칼뱅주의자 등은 성경의 시편만을 운율에 맞춰 부르는 독점 시편가를 선호했으며, 악기 반주나 성경 외 가사를 가진 찬송가를 금지하기도 했다.[38][39] 다른 하나는 예배의 규범적 원리로, 성경에서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는 한 예배에 유익한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이 관점은 찬송가 작곡과 회중 찬송의 활성화를 가져왔다.[41] 마틴 루터는 종교 개혁가일 뿐만 아니라, "Ein feste Burg ist unser Gott|내 주는 강한 성이요de"와 같은 수많은 찬송가를 직접 작곡하여 신자들에게 신앙의 교리를 가르치는 데 활용했다.[42] 최초의 개신교 찬송가집은 1532년 보헤미아 형제단에 의해 출판되었다.[43]

영국에서는 아이작 와츠가 성경 본문, 특히 시편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성경을 직접 의역하지 않은 독창적인 영어 찬송가를 처음으로 쓴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45] 그는 '영국 찬송가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하지만, 그의 찬송가가 예배자들을 구약 시편만 부르는 전통에서 벗어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노래하게 하고 예배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영국 찬송가의 해방자'로 보기도 한다.[46][48] 이후 감리교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찰스 웨슬리는 "O for a Thousand Tongues to Sing|만입이 내게 있으면영어", "Love Divine, All Loves Excelling|사랑의 왕 내 목자시니영어" 등 수많은 찬송가를 통해 감리교 신학을 전파하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경향을 이끌었다.[39]

18세기 모라비아 교회의 지도자 친첸도르프 백작 역시 약 2,000개의 찬송가를 썼으며,[44] 18세기 감리교 부흥은 웨일스어 찬송가 작곡의 부흥을 가져왔다.[51]

미국에서는 제2차 대각성 운동과 함께 가스펠 음악이라는 새로운 스타일이 등장했다. 패니 크로스비, 필립 블리스, 아이라 D. 생키 등은 부흥회나 전도 집회에서 불리는 간증적인 성격의 찬송가를 많이 작곡했다.[39] 가스펠송은 일반적으로 후렴구가 있고 찬송가보다 빠른 박자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후렴이 없는 전통적인 찬송가에 속하지만, "How Great Thou Art|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영어"는 후렴이 있는 가스펠송으로 분류될 수 있다.[49] 19세기 동안 가스펠송은 개신교 교단 전반에 빠르게 확산되었다.[50] 또한, 19세기 미국에서는 셰이프 노트 기보법을 사용한 찬송가집들이 인기를 끌었는데, 벤자민 프랭클린 화이트의 ''성스러운 하프''(The Sacred Harp영어), 윌리엄 워커의 ''크리스천 하모니'', ''미주리 하모니'', ''켄터키 하모니'', ''사우던 하모니'' 등이 대표적이다.[68][69]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노예 시절의 영가에서부터 현대의 흑인 가스펠에 이르기까지 독특하고 풍부한 찬송가 전통을 발전시켰다. 초기 흑인 교회에서는 아이작 와츠의 찬송가 등이 불렸으며,[76] 이후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경험과 신앙이 담긴 독자적인 찬송가들이 만들어졌다.

오늘날 많은 개신교 교회에서는 전통적인 찬송가와 함께 대중 음악의 영향을 받은 현대 기독교 음악(CCM)과 같은 다양한 스타일의 현대 예배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때로 세대 간의 음악적 선호 차이로 인한 논의를 낳기도 하지만,[53][54] 기독교 음악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해 온 오랜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55] 일부 현대 찬송가 작가들은 전통적인 찬송가 가사에 새로운 멜로디를 붙이거나, 옛 찬송가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편곡하여 발표하기도 한다.[25][26]

4. 다른 종교의 찬가

고대 동방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찬가가 존재했다. 이집트에서는 파라오 아크나톤이 작곡한 ''아톤 찬가''가 있으며,[6] 후리안의 ''니칼 찬가''도 중요한 예시다.[7] 인도에는 베다 찬가 모음집인 ''리그베다''가 있고,[8] 중국에는 기원전 11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시 모음집인 ''시경''에 찬가가 포함되어 있다.[9]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조로아스터가 직접 작곡했다고 여겨지는 아베스타 찬가 ''가타''가 있으며,[10] 유대교에서는 성경의 ''시편''이 대표적인 찬가 모음집이다.[11]

서양의 찬송가 전통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7세기에 쓰인 ''호메로스 찬가''로, 고대 그리스 종교의 신들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2] 기원전 3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칼리마코스가 쓴 6개의 문학 찬가(Ὕμνοι|힘노이grc) 모음집이 전해진다.[13] 또한, 그리스 종교에는 87편의 짧은 시 모음집인 ''오르페우스 찬가''도 있다.[14]

이후 교부 작가들은 그리스어 ὕμνος|힘노스grc, 즉 라틴어로 hymnus|힘누스la라는 용어를 기독교의 찬양 노래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종종 성경의 ''''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15]

4. 1. 힌두교

기원전 1500~1200년경의 "Vivaha sukta" ''리그베다'' 산스크리트어 필사본 페이지


''리그베다''는 1,000편이 넘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전례 찬송가 모음집으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되고 기본적인 종교 문헌 중 하나이다.[81]

그 외에도 주목할 만한 힌두교 찬송가(''stotra'' 등) 또는 그 모음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날라야이라 디비야 프라반담''
  • ''람 락샤 스토트라''
  • ''사운다르야 라하리''
  • ''시바 스투티''
  • ''시바 탄다바 스토트람''
  • ''티루무라이''
  • ''바유 스투티''


찬송가는 박티 운동이 활발했던 중세 시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는 여러 시인-상투(바사바, 찬디다스, 다두 다야르, 하리다스, 히트 하리반시, 카비르, 미라 바이, 남데브, 나나크, 람프라사드 센, 라비다스, 상카르데브, 수르다스, 비디야파티)들이 지은 찬송가 (바잔 및 키르탄)가 각 지역 언어로 불렸다. 이러한 찬송가들은 다두 판스, 카비르 판스, 린가야트, 라다-발라바, 시크교 등 다양한 종교 집단에서 기존의 산스크리트 문학을 대체하거나 그 중요성을 넘어서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바울 운동의 노래 역시 마찬가지였으며, 새로운 찬송가 자체가 경전과 같은 지위를 얻기도 했다. 15~16세기 아삼의 개혁가인 구루 상카르데브는 서정 시인이자 작곡가로서 찬송가를 직접 만들었는데, 그의 ''보르기트''는 대표적인 예이다.[82][83]

4. 2. 시크교

시크교의 성서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 (ਗੁਰੂ ਗ੍ਰੰਥ ਸਾਹਿਬ|구루 그란트 사히브pa)는 신의 자질[84]과 신의 이름을 묵상해야 하는 이유를 묘사하는 찬송가(샤바드) 또는 ''구르바니''의 모음집이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시크교 전통에서 1,430페이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다른 라가에 맞춰져 있고 이를 ''앙'' (사지)이라고 부른다.[85] 열 번째 구루인 구루 고빈드 싱 (1666–1708)은 아디 그란트에 구루 테그 바하두르의 바니를 추가한 후[86][87] 이 성서를 자신의 후계자로 확정하고, 이를 ''구루 그란트 사히브''로 격상시켰다.[88] 이 텍스트는 시크교도들에게 10명의 구루의 가르침으로 여겨지는 성서로 남아 있다.[89] 기도 지침서로서 구루 그란트 사히브의 역할[90]시크교 예배에서 매우 중요하다.

4. 3. 불교

경전을 암송하는 것은 정토진종 신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도록 권장되는 종교적 행위이다. 사찰 의례 암송에는 모든 불교 전통에 공통적인 삼보(부처, , 승가)에 대한 헌신, 부처의 가르침을 기록한 ''정토삼부경''의 발췌, 용수선도와 같은 정토 불교 스승들의 작곡 암송 등이 포함될 수 있다.[91]

스토트라는 신성하고 초월적인 존재를 찬양하는 산스크리트어 찬가 또는 찬사이다. 일반적으로 힌두교자이나교 전통과 관련되어 있으며, 스토트라는 다른 산스크리트 종교 운동에서도 발견되는 헌신과 영감의 멜로디컬한 표현이다.[92]

불교 세계에서 이러한 찬가를 부르는 관행은 오늘날 네팔에서 여전히 살아 있다. 네팔 라릿푸르의 나가르주나 정밀 방법 연구소 전 소장인 민 바하두르 샤캬는 다음과 같이 썼다.[92]

: 네팔 사람들은 번영이나 고통 속에서 보호, 건강, 번영, 가족 복지, 그리고 윤회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부처와 보살에게 예배하고 기도한다. 스토트라 또는 찬가는 불교 교리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조명한다. 스토트라는 수행자들이 명상이나 헌신의 행위 중에 부른다. 이 스토트라의 내용은 단순한 고백, 부처와 보살의 자질, 현세적이고 초월적인 존재의 찬양, 다양한 탄트라 신의 도상학적 데이터, 그리고 구절 형식으로 된 부처의 가르침에 대한 설명까지 다양하다. 이 스토트라는 선율적인 음악과 함께 부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현대 세계에서도 신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92]

4. 4. 유교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중국 시가 모음집인 ''시경''의 초기 항목은 처음에는 가사였다.[93] 시와 민요 모음집인 ''시경''은 철학자 공자가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공식적인 유교 경전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주제에 대한 그의 언급은 고대 음악 이론의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94]

4. 5. 이슬람교

무함마드 예언자 시대의 초기 이슬람 음악은 특정 악기나 보컬 사용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었다. 현악기, 금관악기, 관악기, 여성 보컬은 허용되지 않았으며, 유일하게 허용된 악기는 아랍 드럼의 일종인 다프였다.[95] 이러한 최소한의 형태는 오늘날에도 걸프 지역과 아랍 세계의 다른 일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9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터키, 파키스탄, 동남아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적인 노래가 발전했다. 터키에서는 수피교 신자들이 예배에 음악을 통합했는데, 특히 찬송가와 메블레비 교단의 회전 명상 의식을 포함하는 예배 음악이 유명하다.[97] 수피 음악은 이슬람 신비주의 전통 속에서 발전한 중요한 음악 형태이다.

파키스탄과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이슬람 종교 음악 형식은 카왈리이다.[98] 카왈리는 최대 9명의 남성으로 구성된 그룹이 공연하며, 하모늄과 같은 건반 악기와 타블라, 돌락과 같은 타악기를 사용한다.[99] 노래는 보통 15분에서 30분 동안 이어지며, 기악 전주곡, 반복되는 후렴구, 보컬 즉흥 연주 등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악기 사용 금지 규칙을 창의적인 방식으로 극복하려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나시드는 보컬 중심의 이슬람 종교 음악으로, 걸프 지역의 아티스트들, 예를 들어 샤르자의 아흐메드 부카티르나 쿠웨이트의 미샤리 라시드 알 아파시는 스튜디오 기술을 이용해 백킹 보컬을 마치 신시사이저나 현악기 소리처럼 변형하여 사용한다.[96] 서구에서는 미국의 네이티브 딘이나 호주의 The Brothahood와 같은 그룹이 힙합 음악을 통해 젊은 무슬림 세대에게 영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100]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자인 비카는 영어로 부른 나시드로 유럽과 중동에서 많은 팬을 확보했다.[96]

4. 6. 자이나교

자이나교의 찬가는 힌디어로 bhajan|바잔hi이라고도 불리며, 자이나교의 Jina를 찬양하기 위해 작곡되고 연주된다. 자이나교도들이 사용해 온 모든 언어로 쓰여졌으며, 주된 형식은 파다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자이나교가 인도의 시학, 특히 힌두교와 관련된 바크티 헌신 운동에 참여했음을 반영한다.[101]

음악적으로 자이나교 찬가는 구자라트의 rās-garbā|라스-가르바gu라자스탄 민속 음악과 같은 서부 인도의 민속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자이나교도들은 하루에 두 번 순서대로 수행해야 하는 여섯 가지 의무적인 행위가 있다. 이 중 두 번째는 티르탕카라(길을 만드는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인데, 이는 티르탕카라를 찬양하는 24절의 찬가를 낭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102]

자이나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헌신적인 찬가 중 하나는 ''Bhaktāmara Stotra''이다. 이는 '헌신적인 신들'이라는 뜻을 가진 찬가로, 슈베탐바라(Śvetāmbaras)와 디감바라(Digambara) 두 주요 종파 모두 이를 받아들이며, 각각 44절과 48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찬가는 첫 번째 지나인 리샤바나타(Ṛṣabhanātha) 또는 흔히 '첫 번째 주님'을 의미하는 아디나타(Ādinātha)에게 헌정되었다. 찬가의 제목은 "그의 발은 헌신적인 신들이 낮춘 왕관에 박힌 보석의 광채를 더한다"는 내용의 첫 구절에서 유래했다.[103]

4. 7. 유대교

히브리어 단어 ''제미로트''(זְמִירוֹת|제미로트he)는 문자 그대로 '노래' 또는 '찬가'를 의미하지만, 유대교 내에서 두 가지 특정 종교 음악 레퍼토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첫 번째는 세파르딕 전통에서 사용되는 용례로, ''샤하리트''(שַׁחֲרִית|샤하리트he, 아침 기도) 중에 암송되는 시편과 성경 구절의 예비 부분을 가리킨다. 아슈케나지 유대인은 이 부분을 ''프수케이 데짐라''(פְּסוּקֵי דְּזִמְרָא|프수케이 데짐라he)라고 부른다.

두 번째는 아슈케나지 전통에서 주로 사용되는 의미로, ''즈미로트 셸 샤바트''(זְמִירוֹת שֶׁל שַׁבָּת|즈미로트 셸 샤바트he, 안식일 찬가)를 지칭한다. 이는 테이블 송, 가정 노래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기도 한다.[104] 이 찬가는 10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주로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로 쓰인 특정 종교 시의 집합으로, 안식일 식사 중이나 식사 직후에 불린다. 음악적으로는 다양한 스타일과 지역적 기원을 반영하며, 계속해서 확장되는 민속 자료를 포함하여 풍부하고 다채로운 특징을 보인다.[105]

한편, 스페인과 포르투갈 지역의 세파르딕 유대인들은 수세기에 걸쳐 독자적인 종교 의례를 발전시켰다. 이들의 예배는 주요 축제(샬로쉬 레갈림)와 ''야밈 노라임''(대속죄일) 같은 특별한 날에 운율을 맞춘 미터법 찬가인 ''피유트''(פיוט|피유트he)를 추가하며 더욱 풍성해졌다. 이러한 시적 삽입물의 상당수는 스페인 유대인의 황금기 (c. 950–1150) 동안 활동했던 솔로몬 이븐 가비롤, 유다 할레비, 그리고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와 모세 이븐 에즈라와 같은 뛰어난 문학가들의 작품이었다.[106]

유대교 찬가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특히 안식일이나 다른 성스러운 날에 회당에서 진행되는 의식에서 거의 전적으로 목소리만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현대에는 오르간과 같은 악기가 반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회중의 노래와 하잔(찬트 인도자)의 역할이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107]

그러나 쇼파르(שופר|쇼파르he)라는 악기는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쇼파르는 로쉬 하샤나(유대교 새해)와 욤 키푸르(속죄의 날)에 특별한 기도와 회개를 촉구하는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악기이다.[107]

4. 8. 신토

일본 신화에 따르면, 신토 음악은 땅과 바다가 없던 신들의 시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신토에서 성스러운 음악은 ''미카구라''라고 불린다. ''카구라''라는 단어는 "신들의 기쁨"을 의미하며, 접두사 "''미''"는 대상의 가치를 매우 높이는 의미를 지녀 ''미카구라''는 "가장 숭고하고 위대한 신을 위한 카구라"로 해석될 수 있다. 카구라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황실과 최고 귀족 및 성직자에게 엄격하게 보존되고 헌정되는 ''미카구라''와, 초자연적 영웅과 인간 영웅의 대중적인 행적을 다채롭고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골 ''카구라''가 있다.[108]

4. 9. 조로아스터교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인 조로아스터(자라투스트라)가 직접 작곡했다고 여겨지는 신성한 노래들을 가타라고 부른다.[10] 가타는 아베스타의 일부로, 기원전 1200년경 예언자 자라투슈트라가 지은 17개의 찬가로 구성되어 있다. 가타는 사용된 운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그룹으로 나뉜다.[109]

  • 아후나바이티 가타 (야스나 28 ~ 34)
  • 우슈타바이티 가타 (야스나 43 ~ 46)
  • 스펜타마이뉴 가타 (야스나 47 ~ 50)
  • 보후크샤트라 가타 (야스나 51)
  • 바히슈토이시티 가타 (야스나 53)


가타는 말장난과 의도적인 모호함이 특징이며, 이는 입문자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한 명상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09] 가타가 조로아스터의 가르침을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보여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의 가르침을 수정하고 상세하게 묘사한 형태로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종종 복잡하고 화려한 문체로 표현되며, 예언자 조로아스터는 자신의 시적 기교를 발휘하여 아후라 마즈다에게 자신의 요청을 전달하거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도 한다.[110]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HYMN https://www.merriam-[...] 2024-04-08
[2] 웹사이트 hymn {{!}}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4-04-08
[3] 웹사이트 Polyhymnia *** https://www.talesbey[...] 2024-04-08
[4] 서적 A Dictionary of Hinduism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1-01
[5] 웹사이트 What Is the Oldest Known Piece of Music? https://www.history.[...] 2015-12-18
[6] 웹사이트 Amarna Belief https://www.ucl.ac.u[...] 2024-04-08
[7] 웹사이트 The Hymn to Nikkal – Heritage for Peace https://www.heritage[...] 2024-04-08
[8] 간행물 Inside the Texts, Beyond the Texts: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the Vedas Harva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hijing {{!}} Classical Poetry, Ancient Texts & Confucianism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08
[10] 웹사이트 The Gathas ("Hymns") of Zarathushtra http://www.avesta.or[...] 2024-04-08
[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2] 서적 The Homeric Hymns: A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Notes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4-03-14
[1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07
[14] 논문 Orphism, Orphic poetry In Brill's New Pauly Online https://wikipedialib[...] 2024-04-08
[15] 문서 Entry on {{lang|grc|ὕμνος}}, Liddell and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Clarendon Press, 8th edition 1897, 1985 printing), p. 1849; entry on 'hymnus,' Lewis and Short, ''[[A Latin Dictionary]]'' (Oxford: Clarendon Press 1879, 1987 printing), p. 872.
[16] 서적 Worship in Song Lillenas Publishing 1972
[17] 문서 "Bible'', {{bibleverse||Matthew|26:30|nrsv}}; {{bibleverse|Mark|14:26|esv}}; {{bibleverse|Acts|16:25|esv}}; {{bibleverse|1|Cor|14:26|nrsv}}; {{bibleverse||Ephesians|5:19|nrsv}}; {{bibleverse||Colossians|3:16|nrsv}}; {{bibleverse||James|5:13|nrsv}}; cf. {{bibleverse||Revelation|5:8–10|nrsv}}; {{bibleverse||Revelation|14:1–5|nrsv}}"
[18] 웹사이트 BBC One - Songs of Praise - A Brief History of Hymns https://www.bbc.co.u[...] 2024-04-08
[19] 웹사이트 Ancient Christian Hymns https://westpark-bap[...] 2024-04-08
[20] 서적 The Lost Gospel of Mary: The Mother of Jesus in Three Ancient Texts Paraclete Press
[21] 서적 The laws and usages of the Church and clergy https://archive.org/[...] J. Hall and Son
[22] 서적 Sing with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Hymnology Broadman Press
[23] 웹사이트 Definition of HYMNODY https://www.merriam-[...] 2024-04-08
[24] 서적 Sing with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Hymnology https://books.google[...] Broadman Press 1980
[25] 뉴스 In praise of hymns http://www.cbsnews.c[...] 2017-05-18
[26] 문서 Songs of faith http://www.cbsnews.c[...]
[27] 서적 Hymn https://www.oxfordmu[...]
[28] 서적 The Music Sound https://books.google[...] Nicolae Sfetcu 2014-05-07
[29] 논문 Mendelssohn in Nineteenth-Century American Hymnody https://www.jstor.or[...] 2009
[30] 웹사이트 Processional Hymns, for Use in the Cathedral of All Saints, Albany, New York {{!}} Hymnary.org https://hymnary.org/[...] 2022-11-02
[31] 웹사이트 Why we worship Acapella? ‹ High School Road Church of Christ https://www.highscho[...] 2024-04-09
[32] 웹사이트 Direction: Anabaptist Hymn https://directionjou[...] 2024-04-09
[33] 웹사이트 Our hymns shape our church https://anabaptistwo[...] 2024-04-09
[34] 웹사이트 Psalm & Praise Resources https://freechurch.o[...] 2024-04-09
[35] 웹사이트 Byzantine chant https://doi.org/10.1[...] 2021-03-06
[36] 서적 Coptic Music: Musical Instruments Macmillan; Collier Macmillan Canada; Maxwell Macmillan International 1991
[37] 웹사이트 St. Thomas's Introduction to his Exposition of the Psalms of David http://www4.desales.[...] 2008-02-08
[38] 간행물 The Organ Controversy in the Netherlands Reformation to 1640 https://www.jstor.or[...] 1954
[39] 서적 Worship: Reformed According to Scripture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01-01
[40] 웹사이트 The 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 – Free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https://www.fpchurch[...] 2024-04-09
[41] 서적 Beyond the Bible: Moving from Scripture to Theology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42] 문서 Dr. Martin Luther’s Deutsche Geistliche Lieder
[43] 웹사이트 Appendix B: Early German Lutheran and Reformation Hymnals https://www.hymnsand[...] 2024-04-09
[44] 웹사이트 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https://www.hymnolog[...] 2024-04-09
[45]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Music Lion, [[SPCK]]
[46] 서적 Christian Hymns, An Introduction to Their Story (Audio Book) Prestige Publications, Inc.
[47] 서적 A Panorama of Christian Hymnody G.I.A. Publications, Inc. 1979
[48] 서적 Christian Hymns, An Introduction to Their Story (Audio Book) op. cit.
[49] 웹사이트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 Hymn and a Song? https://www.afrankvo[...] 2024-04-09
[50] 간행물 Change and Differentiation: The Adoption of Black American Gospel Music in the Catholic Church https://www.jstor.or[...] 1986
[51] 문서 The Evolution of the Welsh Hymn
[52] 서적 Songs of the Doukhobors: An Introductory Outline https://collections.[...] The National Museums of Canada; Queen's Printer of Canada
[53] 웹사이트 Pop Goes the Worship https://www.christia[...] 2024-04-09
[54] 서적 Stones for Bread: A Critique of Contemporary Worship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01-01
[55] 서적 Contemporary Worship Music: A Biblical Defense https://www.christ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mpany
[56] 웹사이트 Vi gratulerar Elisabet Wentz-Janacek! https://lundsdomkyrk[...] 2021-04-03
[57] 서적 Hymns and the Christian Myth https://books.google[...] UBC Press 1986
[58] 문서 Abolition in the United States as a Religious Social Movement https://books.opened[...] Presses universitaires de la Méditerranée 2024-04-09
[59] 웹사이트 Reminder: 'O Holy Night Started Out As An Abolitionist Anthem https://relevantmaga[...] 2020-12-20
[60] 웹사이트 Foster's Complete Songs https://www.library.[...] 2024-04-09
[61] 간행물 Ministers vs. Laymen: The Singing Controversy in Puritan New England, 1720-1740 https://www.jstor.or[...] 1982
[62] 웹사이트 The Sabbath in Puritan New England, Chapter 15 {{!}} The Reformed Reader https://www.reformed[...] 2024-04-09
[63] 웹사이트 Common measure https://www.poetryfo[...] 2024-04-09
[64] 웹사이트 Introduction - MUSIC IN BOSTON, 1750–1770 https://www.colonial[...] 2024-04-09
[65] 웹사이트 The American Musical Landscape - Part III Three Composers and a Song - William Billings (1746-1800) and American Psalmody: a Study of Musical Dissemination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4-09
[66] 웹사이트 The Boston Handel and Haydn Society Collection of Church Music (Mason, Lowell) - IMSLP https://imslp.org/wi[...] 2024-04-09
[67] 문서 Hymnology A Collection of Source Readings
[68] 웹사이트 Shape Note Singing {{!}} Ritual and Worship {{!}} Musical Styles {{!}} Articles and Essays {{!}} The Library of Congress Celebrates the Songs of America {{!}} Digital Collections {{!}}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4-04-09
[69]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umeII: Performance and Production, Volume 11 A&C Black 2003
[70] 웹사이트 The Missouri Harmony 2005 Edition http://stlfasola.org[...] 2024-04-09
[71] 서적 History of the Town of Medfield, Massachusetts, 1650–1886 https://archive.org/[...] GH Ellis
[72] 웹사이트 Sacred Harp Bremen http://www.sacredhar[...] 2018-01-04
[73] 웹사이트 Welcome https://web.archive.[...] 2018-01-04
[74] 웹사이트 Sacred Harp in Poland {{!}} Polish Sacred Harp Community Website http://sacredharp86.[...] 2018-01-04
[75] 간행물 Hymnology A Collection of Source Readings Scarecrow Press, Inc.
[76]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77] 웹사이트 Poetry 101: What Is Meter?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er in Poetry with Examples https://www.mastercl[...] 2021-08-05
[78] 웹사이트 How to Use the Metrical Index in Your Hymnal https://www.ashleyda[...] 2024-04-13
[79] 서적 Children's Britannica
[80] 웹사이트 I Sing a Song of the Saints of God https://hymnary.org/[...] 2024-04-13
[81]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3] 서적 Poet-Saints of In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
[84] 서적 Sikhism Heinemann
[85] 서적 Sikh Art and Literature Routledge
[86] 서적 The Guru Granth Sahib and Sikhism Black Rabbit Books
[87] 서적 Guru Granth Sahib an Advance Study Hemkunt Press
[88] 서적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89] 간행물 Sri Guru Granth Sahib — A Juristic Person http://www.globalsik[...] Global Sikh Studies 2008-04-01
[90] 서적 A history of the sikhs Oxford University Press
[91] 웹사이트 Chanting https://www.buddhist[...] 2024-04-10
[92] 웹사이트 Bodhisvara - Melodies of Awakening http://www.bodhisvar[...] 2024-04-10
[93] 서적 Chinese Civilisation: A Sourcebook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94] 논문 In Quest of Harmony: Plato and Confucius on Poetry 1999-07
[95] 서적 Understanding Islam: The First Ten Steps https://books.google[...] SCM Press 2014-07-28
[96] 웹사이트 Music of the Arab World: The sound of Islam https://www.thenatio[...] 2024-04-10
[97] 웹사이트 The Mevlevi Sema Ceremony https://web.archive.[...] UNESCO
[98] 웹사이트 'Aaj rang hai' – Qawwali revisited https://web.archive.[...]
[99] 서적 Music, Culture and Identity in the Muslim World: Performance, Politics and Pie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0] 웹사이트 Native Deen's Muslim Rap https://web.archive.[...]
[101] 웹사이트 Songs of devotion https://jainpedia.or[...] 2024-04-10
[102] 서적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Hymns Ancient and Modern Ltd 2006
[103] 웹사이트 Bhaktāmara-stotra https://jainpedia.or[...]
[104] 웹사이트 Zemirot https://jewish-music[...] 2024-04-10
[105] 문서 Z'mirot Anthology Hal Leonard Corp.
[106] 논문 Non-Ashkenazic traditions - Leitmotifs in Sephardic High Holiday Liturgy https://www.cantors.[...]
[10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Jewish Music https://www.jewishvi[...] 2024-04-10
[108] 논문 Dances and Songs of the Japanese Shintō Cult https://www.jstor.or[...] 1983
[109] 웹사이트 The Gathas ("Hymns") of Zarathushtra http://www.avesta.or[...] 2024-04-10
[110] 웹사이트 Gathas https://iranicaonlin[...] 2024-04-10
[111] 서적 Critical Thought: An Anthology of Twentieth Century Indian English Essay Sterling Publishing
[112] 서적 Sing with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Hymnology
[113] 간행물 "Hymn: 4. Hymn Sources and Transmission," Warren Anderson, et al. http://www.oxfordmus[...] 2007-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