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역대 대사
- 3.1. 제1대 서건이 (1994년 3월 ~ 1997년 3월)
- 3.2. 제2대 최영하 (1997년 3월 ~ 2000년 3월)
- 3.3. 제3대 장훈 (2000년 3월 ~ 2002년 8월)
- 3.4. 제4대 김성환 (2002년 8월 ~ 2004년 8월)
- 3.5. 제5대 문하영 (2004년 8월 ~ 2007년 3월)
- 3.6. 제6대 견제민 (2007년 3월 ~ 2010년 3월)
- 3.7. 제7대 전대완 (2010년 3월 ~ 2013년 6월)
- 3.8. 제8대 이욱헌 (2013년 6월 ~ 2016년 5월)
- 3.9. 제9대 권용우 (2016년 5월 ~ 2019년 5월)
- 3.10. 제10대 강재권 (2019년 5월 ~ 2022년 3월)
- 3.11. 제11대 김희상 (2022년 3월 ~ 2024년 6월)
- 3.12. 제12대 원도연 (2024년 6월 ~ )
- 참조
1. 개요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 간 외교 관계를 위해 1993년 12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설립되었다. 1992년 외교 관계 수립 이후, 초기에는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관련 업무를 겸임했다. 역대 대사로는 서건이, 최영하, 장훈, 김성환, 문하영, 견제민, 전대완, 이욱헌, 권용우, 강재권, 김희상, 원도연 등이 있으며, 각 대사들은 양국 간의 경제, 문화 교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강화,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 관계 -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은 1996년 1월 서울에 개설되어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외교 관계 증진, 양국 간 협력 증진, 대한민국 내 우즈베키스탄 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외교 공관이다. - 1993년 설립 -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는 1994년 현암학원이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경상북도 영주시에 본캠퍼스, 경기도 동두천시에 제2캠퍼스를 둔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며, 과거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및 표창장 위조, 학력 위조 논란이 있었다. - 1993년 설립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약칭 | (정보 없음) |
설립일 | 1993년 7월 12일 |
설립 근거 | (정보 없음) |
전신 | (정보 없음) |
해산일 | (정보 없음) |
후신 | (정보 없음) |
관할 | 우즈베키스탄 |
소재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Afrosiab st. 7 |
직원 | (정보 없음) |
예산 | (정보 없음) |
모토 | (정보 없음) |
기관장 | (정보 없음) |
기관장 이름 | (정보 없음) |
기관장2 | (정보 없음) |
기관장2 이름 | (정보 없음) |
상급 기관 | 외교부 |
산하 기관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
각주 | (정보 없음)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1월 29일에 우즈베키스탄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한동안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우즈베키스탄 관련 외교 업무를 겸임했다.[1] 외무부는 1993년 9월 7일에 개정된 《외무부와 그 소속 기관 직제》(대통령령 제13974호)에 따라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2]
이에 따라 1993년 12월, 타슈켄트에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이 설립되었다. 이후 1996년 1월에는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대한민국 서울에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을 설치하여 양국 간의 외교 관계 발전에 기여했다.[3]
3. 역대 대사
대수 이름 임기 제1대 서건이 1994년 3월 ~ 1997년 3월 제2대 최영하 1997년 3월 ~ 2000년 3월 제3대 장훈 2000년 3월 ~ 2002년 8월 제4대 김성환 2002년 8월 ~ 2004년 8월 제5대 문하영 2004년 8월 ~ 2007년 3월 제6대 견제민 2007년 3월 ~ 2010년 3월 제7대 전대완 2010년 3월 ~ 2013년 6월 제8대 이욱헌 2013년 6월 ~ 2016년 5월 제9대 권용우 2016년 5월 ~ 2019년 5월 제10대 강재권 2019년 5월 ~ 2022년 3월 제11대 김희상 2022년 3월 ~ 2024년 6월 제12대 원도연 2024년 6월 ~ 현재
3. 1. 제1대 서건이 (1994년 3월 ~ 1997년 3월)
서건이는 1994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초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다. 그는 대사관 설립 초기에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 관계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2. 제2대 최영하 (1997년 3월 ~ 2000년 3월)
제2대 대사는 최영하이며, 1997년 3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재임하였다.
3. 3. 제3대 장훈 (2000년 3월 ~ 2002년 8월)
장훈 대사는 IMF 외환 위기 이후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의 경제 관계 회복에 주력했다.
3. 4. 제4대 김성환 (2002년 8월 ~ 2004년 8월)
김성환은 제4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로, 2002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재임하였다.
3. 5. 제5대 문하영 (2004년 8월 ~ 2007년 3월)
문하영은 2004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제5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로 재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고려인 동포 사회와의 관계 강화에 힘썼다.
3. 6. 제6대 견제민 (2007년 3월 ~ 2010년 3월)
제6대 대사로 견제민이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재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양국 간 고위급 인사 교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7. 제7대 전대완 (2010년 3월 ~ 2013년 6월)
제7대 주우즈베키스탄 대사로 전대완이 2010년 3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재임하였다. 전대완 대사는 재임 기간 동안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
3. 8. 제8대 이욱헌 (2013년 6월 ~ 2016년 5월)
제8대 대사로 이욱헌이 2013년 6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재임하였다. 이욱헌 대사는 재임 기간 동안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 간의 경제 협력 강화에 힘썼으며, 특히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3. 9. 제9대 권용우 (2016년 5월 ~ 2019년 5월)
권용우 대사는 2016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제9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로 재임하였다.
3. 10. 제10대 강재권 (2019년 5월 ~ 2022년 3월)
3. 11. 제11대 김희상 (2022년 3월 ~ 2024년 6월)
제11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로 김희상이 2022년 3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재임하였다. 이 기간 동안 김희상 대사는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 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미래를 내다보는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3. 12. 제12대 원도연 (2024년 6월 ~ )
2024년 6월부터 원도연 대사가 제12대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로 재임 중이다.
참조
[1]
뉴스
韓國, 우즈베키스탄共과 修交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2-01-30
[2]
웹인용
외무부와 그 소속 기관 직제
https://www.law.go.k[...]
2022-10-25
[3]
웹인용
공관 약사
https://overseas.mof[...]
2022-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