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외교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외교부는 1948년 외무부로 출범하여 외교 정책 수립, 재외 국민 보호, 국제 경제, 조약 관련 업무를 수행해왔다. 1998년 외교통상부로 개편되었다가 2013년 외교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3년에는 재외동포청을, 2024년에는 외교전략정보본부를 설치했다. 외교부의 주요 직무는 외교 정책의 수립 및 시행, 경제 외교, 국제 협력, 재외 국민 보호 등이며, 장관을 중심으로 2명의 차관, 국립외교원, 재외공관 등이 조직되어 있다. 또한, 환경 정책 수립 및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하며, P4G 서울 정상회의 개최 및 NDC 발표 등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의 장관으로서, 외교 정책을 총괄하고 외교, 경제 외교, 국제 관계 업무 조정, 조약 체결,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국제 정세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대 장관들은 국익과 국제적 위상 제고에 노력해왔다.
  • 대한민국 외교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되어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교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정치와 정부 -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1789년에 설립되어 외교 정책을 담당하며, 현재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며, 조약 협상 및 국제기구 활동 등을 수행한다.
  • 정치와 정부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대한민국 외교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기관명외교부
로마자 표기Oegyobu
한자 표기外交部
영어 표기Ministry of Foreign Affairs
설립일1948년 7월 17일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8길 60
우편번호110-787
웹사이트외교부
영어 웹사이트외교부 (영어)
예산 (2024년)₩4.29조 원 (미화 31.3억 달러)
직원 수901명
이전 기관 1외교부 (1948-1998)
이전 기관 2외교통상부 (1998-2013)
외교부 청사
조직
상위 기관국무총리
산하 기관 1재외동포청
산하 기관 2한반도평화교섭본부
주요 담당자
장관조태열
제1차관김홍균
제2차관강인선

2. 연혁

3. 직무

대한민국 외교부는 다음과 같은 직무를 수행한다.[24]


  • 외교 정책 수립 및 시행
  • 다자 및 양자 경제 외교, 국제 경제 협력 외교
  • 대외 경제 관련 외교 정책 수립, 시행 및 총괄 조정
  • 국제 관계 업무 조정
  • 조약 및 기타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 관장
  • 문화 협력, 대외 홍보 사무 관장
  •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 국제 정세 조사 및 분석, 이민 관련 사무 관장

4. 조직

대한민국 외교부의 조직은 크게 장관, 차관, 그리고 외교전략정보본부로 구성된다. 장관은 외교부 전체를 대표하며, 2명의 차관과 국립외교원장, 한반도 평화·안보 특별대표의 지원을 받는다. 제1차관은 주로 기획, 조정, 의전, 전략기획, 아시아태평양, 동북아시아, 아세안, 북미, 중남미, 유럽, 아프리카·아프리카중동 지역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제2차관은 다자외교, 경제외교, 기후변화대사, 국제안보, 원자력·비확산, 영사안전, 국제기구, 개발협력, 국제법률, 공공문화외교, 국제경제, 양자경제외교, 기후환경과학외교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16] 외교전략정보본부는 외교 전략 및 정보 기획, 한반도 정책, 국제 안보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4. 1. 간부

직위비고
장관2명의 차관, 한국외교안보연구원 차관급 원장, 한반도 평화·안보 특별대표의 지원을 받음.
대변인부대변인, 언론담당관실, 정책홍보담당관실[30]
공공외교대사
감사관실[30]감사담당관실, 감찰담당관실
장관정책보좌관실[31]
제1차관기획조정실, 의전장, 외교전략기획관실[30], 아시아태평양국, 동북아시아국, 아세안국, 북미국, 중남미국, 유럽국, 아프리카중동국 산하.
제2차관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후변화대사[30], 국제안보대사, 원자력·비확산외교기획관실, 영사안전국, 국제기구국, 개발협력국, 국제법률국, 공공문화외교국, 국제경제국, 양자경제외교국, 기후환경과학외교국 산하.
외교전략정보본부장국제사이버협력대사, 외교전략기획국, 외교정보기획국, 한반도정책국, 국제안보국 산하.


4. 2. 하부 조직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장관 산하 하부조직
대변인실부대변인언론담당관실ㆍ정책홍보담당관실[30]
공공외교대사
감사관실[30]감사담당관실ㆍ감찰담당관실
장관정책보좌관실[31]
제1차관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비상안전담당관실
style="border-top:hidden" |조정기획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ㆍ운영지원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재외공관담당관실
style="border-top:hidden" |인사기획관실
style="border-top:hidden" |정보관리기획관실정보화담당관실ㆍ외교통신담당관실ㆍ외교정보보안담당관실
의전장의전총괄담당관실ㆍ의전행사담당관실ㆍ외교사절담당관실
외교전략기획관실[30]정책기획담당관실ㆍ전략조정담당관실
아시아태평양국아시아태평양국심의관실아태1과ㆍ아태2과ㆍ아태지역협력과
동북아시아동북아시아국심의관실동북아1과ㆍ동북아2과ㆍ동북아협력과
아세안국아세안국심의관실동남아1과ㆍ동남아2과ㆍ아세안협력과
북미국북미국심의관실북미1과ㆍ북미2과ㆍ한미안보협력1과ㆍ한미안보협력2과
중남미국중남미국심의관실남미과ㆍ중미카리브과ㆍ중남미협력과
유럽유럽국심의관실서유럽과ㆍ중유럽과ㆍ유라시아1과ㆍ유라시아2과
아프리카·아프리카중동국아프리카중동국심의관실중동1과ㆍ중동2과ㆍ아프리카1과ㆍ아프리카2과
제2차관 산하 하부조직
다자외교조정관
경제외교조정관
기후변화대사[30]
국제안보대사
원자력·비확산외교기획관실원자력외교담당관실ㆍ군축비확산담당관실ㆍ수출통제·제재담당관실
영사안전국영사안전정책과ㆍ재외국민보호과ㆍ해외안전상황실ㆍ여권과
국제기구국유엔과ㆍ인권사회과ㆍ국제안보과
개발협력국개발전략과ㆍ개발의제정책과ㆍ개발협력과ㆍ다자협력·인도지원과
국제법률국국제법률국심의관실조약과ㆍ국제법규과[30]ㆍ영토해양과
공공문화외교국공공외교총괄과ㆍ유네스코과ㆍ문화교류협력과ㆍ정책공공외교과ㆍ디지털공공외교과
국제경제국다자경제기구과ㆍ경제협정규범과ㆍ지역경제기구과[30]
양자경제외교국양자경제외교국심의관실유럽경제외교과[30]ㆍ동아시아경제외교과ㆍ북미경제외교과
기후환경과학외교국에너지과학외교과ㆍ국제기술규범과ㆍ기후변화외교과ㆍ녹색환경외교과
외교전략정보본부 산하 하부조직
국제사이버협력대사
외교전략기획국외교정책기획과ㆍ인태전략과
외교정보기획국외교정보1과ㆍ외교정보2과
한반도정책국북핵정책과ㆍ대북정책협력과ㆍ한반도미래정책과
국제안보국국제안보ㆍ사이버협력과ㆍ군축비확산과ㆍ수출통제ㆍ제재과


4. 3. 소속 기관

국립외교원은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이며, 대한민국 재외공관은 장관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이다. 국립외교원 산하에는 외교안보연구소가 있다.

4. 4. 소속 위원회

위원회명주관부처설치근거비고
국제빈곤퇴치기여금운용심의위원회외교부한국국제협력단법 제18조의2
민관합동해외긴급구호협의회외교부해외긴급구호에관한 법률 제8조
여권정책심의위원회외교부여권법 제18조


5. 역대 장관 및 차관

역대 외교부 장관 및 차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대 장관
성명재임 기간대통령
1장택상1948년 8월 15일 ~ 1948년 12월 24일이승만
2임병직1948년 12월 25일 ~ 1951년 4월 15일이승만
3변영태1951년 4월 16일 ~ 1955년 7월 28일이승만
4조정환1955년 7월 29일 ~ 1959년 12월 21일이승만
직무대리최규하1959년 12월 22일 ~ 1960년 4월 24일이승만
5허정1960년 4월 25일 ~ 1960년 8월 19일대통령 권한대행 허정이 직접 겸임
6정일형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0일윤보선
7김홍일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윤보선
8송요찬1961년 7월 22일 ~ 1961년 10월 10일군사정권
9최덕신1961년 10월 11일 ~ 1963년 3월 15일군사정권
10김용식1963년 3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군사정권
11정일권1963년 12월 17일 ~ 1964년 7월 24일박정희
12이동원1964년 7월 25일 ~ 1966년 12월박정희
13정일권1966년 12월 ~ 1967년 6월 29일박정희
14최규하1967년 6월 30일 ~ 1971년 6월 3일박정희
15김용식1971년 6월 4일 ~ 1973년 12월 2일박정희
16김동조1973년 12월 3일 ~ 1975년 12월 18일박정희
17박동진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박정희·최규하
18노신영1980년 9월 2일 ~ 1982년 6월 1일전두환
19이범석1982년 6월 2일 ~ 1983년 10월 9일전두환
20이원경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6일전두환
21최광수1986년 8월 26일 ~ 1988년 12월 5일전두환·노태우
22최호중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7일노태우
23이상옥1990년 12월 27일 ~ 1993년 2월 26일노태우
24한승주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4일김영삼
25공로명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1월 7일김영삼
26유종하1996년 11월 7일 ~ 1998년 3월 3일김영삼
27박정수1998년 3월 3일 ~ 1998년 8월 4일김대중
28홍순영1998년 8월 4일 ~ 2000년 1월 14일김대중
29이정빈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김대중
30한승수2001년 3월 26일 ~ 2002년 2월 4일김대중
31최성홍2002년 2월 4일 ~ 2003년 2월 27일김대중
32윤영관2003년 2월 27일 ~ 2004년 1월 17일노무현
33반기문2004년 1월 17일 ~ 2006년 11월 10일노무현
34송민순2006년 11월 10일 ~ 2008년 2월 29일노무현
35유명환2008년 2월 29일 ~ 2010년 9월 4일이명박
36김성환2010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1일이명박
37윤병세2013년 3월 11일 ~ 2017년 6월 18일박근혜·황교안(대통령 권한대행)·문재인
38강경화2017년 6월 18일 ~ 2021년 2월 8일문재인
39정의용2021년 2월 9일 ~ 2022년 5월 12일문재인
40박진2022년 5월 12일 ~ 2024년 1월 9일윤석열
41조태열2024년 1월 10일 ~ 현재윤석열



역대 차관
제1차관[18]재임 기간제2차관[18]재임 기간
한자 표기한국어 표기취임퇴임한자 표기한국어 표기취임퇴임
고창일 (高昌一)고창일1948년 8월 9일1949년 2월 13일colspan="4" rowspan="8" |
조정환 (曺正煥)조정환1949년 3월 7일1951년 7월 4일
박엄 (朴巖)박엄1951년 7월 1일1951년 7월 31일
갈홍기 (葛弘基)갈홍기1952년 2월 1일1952년 9월 30일
조정환 (曺正煥)조정환1952년 10월 2일1955년 7월 28일
김동조 (金東祚)김동조1957년 5월 3일1959년 9월 11일
최규하 (崔圭夏)최규하1959년 9월 12일1960년 5월 11일
이수영 (李寿榮)이수영1960년 5월 12일1960년 7월 31일
우희창 (禹熙昌)우희창1960년 8월 26일1961년 1월 29일김용식 (金溶植)김용식1960년 8월 30일1961년 5월 9일
김재순 (金在淳)김재순1961년 1월 30일1961년 5월 2일colspan="4" rowspan="30" |
이수영 (李寿榮)이수영1961년 6월 16일1961년 7월 6일
박동진 (朴東鎮)박동진1961년 7월 7일1961년 10월 10일
이원경 (李源京)이원경1961년 10월 13일1962년 8월 29일
최문경 (崔文卿)최문경1962년 8월 28일1963년 12월 15일
정일영 (鄭一永)정일영1963년 12월 17일1964년 10월 18일
문덕주 (文德周)문덕주1964년 10월 19일1965년 10월 24일
김영주 (金永周)김영주1965년 10월 25일1967년 9월 21일
진필식 (陳弼植)진필식1967년 9월 22일1969년 12월 7일
윤석헌 (尹錫憲)윤석헌1969년 12월 8일1974년 2월 3일
노신영 (盧信永)노신영1974년 2월 11일1976년 3월 24일
윤하정 (尹河珽)윤하정1976년 3월 25일1978년 5월 26일
이민용 (李玟容)이민용1978년 5월 27일1980년 5월 25일
김동휘 (金東輝)김동휘1980년 5월 26일1982년 5월 20일
노재원 (盧載源)노재원1982년 5월 24일1984년 3월 2일
이상옥 (李相玉)이상옥1984년 3월 3일1986년 9월 4일
오재희 (吳在熙)오재희1986년 9월 5일1987년 9월 6일
박쌍용 (朴双竜)박쌍용1987년 9월 7일1988년 3월 4일
신동원 (申東元)신동원1988년 3월 5일1989년 12월 28일
유종하 (柳宗夏)유종하1989년 12월 29일1992년 2월 26일
노창희 (盧昌熹)노창희1992년 2월 27일1993년 3월 3일
홍순영 (洪淳瑛)홍순영1993년 3월 4일1994년 5월 22일
박건우 (朴健雨)박건우1994년 5월 23일1995년 1월 16일
이시영 (李時榮)이시영1995년 1월 20일1995년 12월 25일
이기주 (李祺周)이기주1995년 12월 26일1998년 3월 8일
선준영 (宣晙英)선준영1998년 3월 9일2000년 1월 26일
반기문 (潘基文)반기문2000년 1월 27일2001년 4월 1일
최성홍 (崔成泓)최성홍2001년 4월 2일2002년 2월 3일
김항경 (金恒経)김항경2002년 2월 5일2003년 3월 2일
김재섭 (金在燮)김재섭2003년 3월 3일2004년 1월 28일
최영진 (崔英鎮)최영진2004년 1월 29일2005년 1월 24일
이태식 (李泰植)이태식2005년 1월 25일2005년 9월 29일유명환 (柳明桓)유명환2005년 7월 28일2005년 9월 29일
유명환 (柳明桓)유명환2005년 9월 30일2006년 11월 30일이규형 (李揆亨)이규형2005년 9월 30일2006년 11월 30일
조중표 (趙重杓)조중표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9일김호영 (金浩榮)김호영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8일
권종락 (權鍾洛)권종락2008년 3월 1일2009년 11월 16일김성환 (金星煥)김성환2008년 3월 1일2008년 6월 22일
신각수 (申珏秀)신각수2008년 7월 11일2011년 2월 8일
박석환 (朴錫煥)박석환2011년 2월 9일2012년 2월 27일천영우 (千英宇)천영우2009년 11월 17일2010년 10월 18일
안호영 (安豪榮)안호영2012년 2월 28일2013년 3월 13일민동석 (閔東石)민동석2010년 10월 28일2012년 2월 27일
김규현 (金奎顕)김규현2013년 3월 14일2014년 2월 4일김성한 (金聖翰)김성한2012년 2월 28일2013년 3월 13일
조태용 (趙太庸)조태용2014년 2월 28일2015년 10월 21일조태열 (趙兌烈)조태열2013년 3월 14일2016년 11월 18일
임성남 (林聖男)임성남2015년 10월 21일2018년 9월 28일안총기 (安總基)안총기2016년 11월 18일2017년 6월 1일
조현 (趙顯)조현2017년 6월 1일2019년 5월 23일이태호 (李泰鎬)이태호2018년 9월 28일2020년 12월 24일
조세영 (趙世暎)조세영2019년 5월 24일2020년 8월 14일
최종건 (崔鍾建)최종건2020년 8월 15일2022년 5월 9일최종문 (崔鍾文)최종문2020년 12월 25일2022년 5월 9일
조현동 (趙賢東)조현동2022년 5월 10일2023년 4월 12일이도훈 (李度勳)이도훈2022년 5월 10일2023년 6월 30일
장호진 (張虎鎮)장호진2023년 4월 12일2024년 1월 1일오영주 (吳姈姝)오영주2023년 7월 3일2023년 12월 29일
김홍균 (金烘均)김홍균2024년 1월현직강인선 (姜仁仙)강인선[19]2024년 1월 10일현직


5. 1. 역대 장관

성명재임 기간대통령
1장택상1948년 8월 15일 ~ 1948년 12월 24일이승만
2임병직1948년 12월 25일 ~ 1951년 4월 15일이승만
3변영태1951년 4월 16일 ~ 1955년 7월 28일이승만
4조정환1955년 7월 29일 ~ 1959년 12월 21일이승만
직무대리최규하1959년 12월 22일 ~ 1960년 4월 24일이승만
5허정1960년 4월 25일 ~ 1960년 8월 19일대통령 권한대행 허정이 직접 겸임
6정일형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0일윤보선
7김홍일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윤보선
8송요찬1961년 7월 22일 ~ 1961년 10월 10일군사정권
9최덕신1961년 10월 11일 ~ 1963년 3월 15일군사정권
10김용식1963년 3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군사정권
11정일권1963년 12월 17일 ~ 1964년 7월 24일박정희
12이동원1964년 7월 25일 ~ 1966년 12월박정희
13정일권1966년 12월 ~ 1967년 6월 29일박정희
14최규하1967년 6월 30일 ~ 1971년 6월 3일박정희
15김용식1971년 6월 4일 ~ 1973년 12월 2일박정희
16김동조1973년 12월 3일 ~ 1975년 12월 18일박정희
17박동진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박정희·최규하
18노신영1980년 9월 2일 ~ 1982년 6월 1일전두환
19이범석1982년 6월 2일 ~ 1983년 10월 9일전두환
20이원경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6일전두환
21최광수1986년 8월 26일 ~ 1988년 12월 5일전두환·노태우
22최호중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7일노태우
23이상옥1990년 12월 27일 ~ 1993년 2월 26일노태우
24한승주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4일김영삼
25공로명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1월 7일김영삼
26유종하1996년 11월 7일 ~ 1998년 3월 3일김영삼
27박정수1998년 3월 3일 ~ 1998년 8월 4일김대중
28홍순영1998년 8월 4일 ~ 2000년 1월 14일김대중
29이정빈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김대중
30한승수2001년 3월 26일 ~ 2002년 2월 4일김대중
31최성홍2002년 2월 4일 ~ 2003년 2월 27일김대중
32윤영관2003년 2월 27일 ~ 2004년 1월 17일노무현
33반기문2004년 1월 17일 ~ 2006년 11월 10일노무현
34송민순2006년 11월 10일 ~ 2008년 2월 29일노무현
35유명환2008년 2월 29일 ~ 2010년 9월 4일이명박
36김성환2010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1일이명박
37윤병세2013년 3월 11일 ~ 2017년 6월 18일박근혜·황교안(대통령 권한대행)·문재인
38강경화2017년 6월 18일 ~ 2021년 2월 8일문재인
39정의용2021년 2월 9일 ~ 2022년 5월 12일문재인
40박진2022년 5월 12일 ~ 2024년 1월 9일윤석열
41조태열2024년 1월 10일 ~ 현재윤석열


5. 2. 역대 차관

제1차관[18]재임 기간제2차관[18]재임 기간
한자 표기한국어 표기취임퇴임한자 표기한국어 표기취임퇴임
고창일 (高昌一)고창일1948년 8월 9일1949년 2월 13일없음
조정환 (曺正煥)조정환1949년 3월 7일1951년 7월 4일
박엄 (朴巖)박엄1951년 7월 1일1951년 7월 31일
갈홍기 (葛弘基)갈홍기1952년 2월 1일1952년 9월 30일
조정환 (曺正煥)조정환1952년 10월 2일1955년 7월 28일
김동조 (金東祚)김동조1957년 5월 3일1959년 9월 11일
최규하 (崔圭夏)최규하1959년 9월 12일1960년 5월 11일
이수영 (李寿榮)이수영1960년 5월 12일1960년 7월 31일
우희창 (禹熙昌)우희창1960년 8월 26일1961년 1월 29일김용식 (金溶植)김용식1960년 8월 30일1961년 5월 9일
김재순 (金在淳)김재순1961년 1월 30일1961년 5월 2일없음
이수영 (李寿榮)이수영1961년 6월 16일1961년 7월 6일
박동진 (朴東鎮)박동진1961년 7월 7일1961년 10월 10일
이원경 (李源京)이원경1961년 10월 13일1962년 8월 29일
최문경 (崔文卿)최문경1962년 8월 28일1963년 12월 15일
정일영 (鄭一永)정일영1963년 12월 17일1964년 10월 18일
문덕주 (文德周)문덕주1964년 10월 19일1965년 10월 24일
김영주 (金永周)김영주1965년 10월 25일1967년 9월 21일
진필식 (陳弼植)진필식1967년 9월 22일1969년 12월 7일
윤석헌 (尹錫憲)윤석헌1969년 12월 8일1974년 2월 3일
노신영 (盧信永)노신영1974년 2월 11일1976년 3월 24일
윤하정 (尹河珽)윤하정1976년 3월 25일1978년 5월 26일
이민용 (李玟容)이민용1978년 5월 27일1980년 5월 25일
김동휘 (金東輝)김동휘1980년 5월 26일1982년 5월 20일
노재원 (盧載源)노재원1982년 5월 24일1984년 3월 2일
이상옥 (李相玉)이상옥1984년 3월 3일1986년 9월 4일
오재희 (吳在熙)오재희1986년 9월 5일1987년 9월 6일
박쌍용 (朴双竜)박쌍용1987년 9월 7일1988년 3월 4일
신동원 (申東元)신동원1988년 3월 5일1989년 12월 28일
유종하 (柳宗夏)유종하1989년 12월 29일1992년 2월 26일
노창희 (盧昌熹)노창희1992년 2월 27일1993년 3월 3일
홍순영 (洪淳瑛)홍순영1993년 3월 4일1994년 5월 22일
박건우 (朴健雨)박건우1994년 5월 23일1995년 1월 16일
이시영 (李時榮)이시영1995년 1월 20일1995년 12월 25일
이기주 (李祺周)이기주1995년 12월 26일1998년 3월 8일
선준영 (宣晙英)선준영1998년 3월 9일2000년 1월 26일
반기문 (潘基文)반기문2000년 1월 27일2001년 4월 1일
최성홍 (崔成泓)최성홍2001년 4월 2일2002년 2월 3일
김항경 (金恒経)김항경2002년 2월 5일2003년 3월 2일
김재섭 (金在燮)김재섭2003년 3월 3일2004년 1월 28일
최영진 (崔英鎮)최영진2004년 1월 29일2005년 1월 24일
이태식 (李泰植)이태식2005년 1월 25일2005년 9월 29일유명환 (柳明桓)유명환2005년 7월 28일2005년 9월 29일
유명환 (柳明桓)유명환2005년 9월 30일2006년 11월 30일이규형 (李揆亨)이규형2005년 9월 30일2006년 11월 30일
조중표 (趙重杓)조중표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9일김호영 (金浩榮)김호영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8일
권종락 (權鍾洛)권종락2008년 3월 1일2009년 11월 16일김성환 (金星煥)김성환2008년 3월 1일2008년 6월 22일
신각수 (申珏秀)신각수2008년 7월 11일2011년 2월 8일
박석환 (朴錫煥)박석환2011년 2월 9일2012년 2월 27일천영우 (千英宇)천영우2009년 11월 17일2010년 10월 18일
안호영 (安豪榮)안호영2012년 2월 28일2013년 3월 13일민동석 (閔東石)민동석2010년 10월 28일2012년 2월 27일
김규현 (金奎顕)김규현2013년 3월 14일2014년 2월 4일김성한 (金聖翰)김성한2012년 2월 28일2013년 3월 13일
조태용 (趙太庸)조태용2014년 2월 28일2015년 10월 21일조태열 (趙兌烈)조태열2013년 3월 14일2016년 11월 18일
임성남 (林聖男)임성남2015년 10월 21일2018년 9월 28일안총기 (安總基)안총기2016년 11월 18일2017년 6월 1일
조현 (趙顯)조현2017년 6월 1일2019년 5월 23일이태호 (李泰鎬)이태호2018년 9월 28일2020년 12월 24일
조세영 (趙世暎)조세영2019년 5월 24일2020년 8월 14일
최종건 (崔鍾建)최종건2020년 8월 15일2022년 5월 9일최종문 (崔鍾文)최종문2020년 12월 25일2022년 5월 9일
조현동 (趙賢東)조현동2022년 5월 10일2023년 4월 12일이도훈 (李度勳)이도훈2022년 5월 10일2023년 6월 30일
장호진 (張虎鎮)장호진2023년 4월 12일2024년 1월 1일오영주 (吳姈姝)오영주2023년 7월 3일2023년 12월 29일
김홍균 (金烘均)김홍균2024년 1월현직강인선 (姜仁仙)강인선[19]2024년 1월 10일현직


6. 주요 정책 및 활동

대한민국 외교부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2006년 북한 핵 문제와 6자 회담에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평화교섭본부를 설치했고, 2011년 정규 조직으로 전환했다. 2020년 현재 본부장은 이도훈이다.

또한, 대한민국 외교부는 글로벌 외교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 5월에는 P4G 서울 정상회의를 온라인으로 개최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10]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한국과 미국, 덴마크 등 여러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11]

2015년 6월, 대한민국은 국가결정기여(NDC)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파리협정(COP21)을 비준하며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했다.[12] 그러나 한국은 '녹색 성장' 전략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석탄 사용량이 증가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13] 외교부는 녹색성장 동맹(2011년)을 통해 덴마크와 협력하며 P4G 서울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노력했다.[14]

6. 1. 한반도 평화와 안정

2006년 북한 핵 문제와 6자 회담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조직으로, 당초 일시적 조직이었으나 2011년 3월 29일 정규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2020년 현재 본부장은 이도훈이다.

  • '''한반도평화교섭본부'''
  • * 북핵외교기획단장
  • ** 북핵협상과
  • ** 북핵정책과
  • * 평화외교기획단장
  • ** 평화체제과
  • ** 대북정책협력과

6. 2. 글로벌 외교

대한민국 외교부(MOFA)는 환경 정책 수립 및 전 세계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 5월 말 P4G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하였다.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 회의는 기후변화 상황 개선 및 글로벌 공공-민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10]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한국과 미국, 덴마크 등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주요 구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1]

2015년 6월, 대한민국은 국가결정기여(NDC)를 발표하였다. 이는 각국이 환경 목표 개선에 중점을 두는 계획으로,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파리협정(COP21)에 참여하여 2015년 12월 협정을 비준하는 등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12] 한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 성장' 전략을 추진해왔지만, 지난 10년 동안 석탄 사용량이 증가하는 등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설정된 목표치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13] 그러나 외교부는 P4G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녹색성장 동맹(2011년)을 통해 덴마크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14]

참조

[1] 뉴스 Foreign ministry's budget set at 4.19 trillion won for 2024 https://www.koreatim[...]
[2]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fa.go.k[...] 2014-01-01
[3] 웹사이트 Home http://www.mofat.go.[...] 2014-01-01
[4] 논문 The Republic of Korea's Public Diplomacy Strategy: History and Current Status https://uscpublicdip[...] 2019-01-01
[5] 웹사이트 History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https://www.mofa.go.[...] 2021-05-15
[6] 웹사이트 외교부 소개 https://www.mofa.go.[...] 2021-05-15
[7]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Republic of Korea http://www.mofat.go.[...] 2021-05-15
[8] 뉴스 English names of government ministries finalized https://en.yna.co.kr[...] 2021-05-15
[9] 웹사이트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omepage http://www.motie.go.[...] 2024-05-19
[10] 웹사이트 Promotional Campaigns in Full Swing as 2021 P4G Seoul Summit Reaches D-30 Point ViewPress Releases_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https://www.mofa.go.[...] 2021-05-16
[11] 뉴스 Gov't holds preparatory meeting for P4G summit https://en.yna.co.kr[...] 2021-05-16
[12] 웹사이트 Climate Change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https://www.mofa.go.[...] 2021-05-16
[13] 웹사이트 The Carbon Brief Profile: South Korea https://www.carbonbr[...] 2021-05-16
[14] 웹사이트 Outcome of Telephone Conversation between Foreign Ministers of Korea and Denmark ViewPress Releases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https://www.mofa.go.[...] 2021-05-16
[15] 웹사이트 在外同胞庁の総合窓口 ソウル中心部に開所=韓国 https://jp.yna.co.kr[...] 2023-06-27
[16] 법률 大統領令第29741号(2019年5月7日改正・施行)「外交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外交部令第65号(2019年5月7日改正・施行)「外交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施行規則」
[17] 웹사이트 역대 장관열린장관실 https://www.mofa.go.[...] 2023-06-27
[18] 웹사이트 역대외교부차관 외교부 https://www.mofa.go.[...] 2024-01-10
[19] 뉴스 [프로필]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이라크 종군기자 출신 https://www.yna.co.k[...] 2024-01-10
[20] 기타 여권과는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타운 6층 (서초동)에 있다.
[21] 법률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3 및 별표 8
[22]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2-12-31
[2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2-12-31
[24] 웹인용 외교부 소개 https://www.mofa.go.[...] 2024-04-28
[25] 법률 법률 제1호
[26] 법률 법률 제5529호
[27] 법률 법률 제11690호
[28] 법률 법률 제19228호
[29] 뉴스 외교부 조직개편 단행…한반도본부→외교전략정보본부로 확대 https://www.hankyung[...] 2024-07-11
[30] 기타 개방형 직위.
[31] 기타 2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나머지 1명은 3급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32] 기타 한시정원 4명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