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교황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교황청 대사관은 교황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1949년 교황청 사절 파견을 시작으로, 1963년 공사관 설립, 1966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역대 교황청 사절, 공사, 대사들이 임명되었으며, 현재는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가 대사로 재임 중이다. 대사관은 한국 사회와 가톨릭 교회 간 소통 창구 역할을 하며, 양국 간의 관계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성좌 관계 - 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
주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이 교황청과의 외교 관계 증진과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해 설치한 외교 공관으로, 1974년 초대 대사 부임 이후 현재까지 총 17명의 대사가 임명되었다. - 성좌의 재외 공관 - 주중국 교황청 대사관
주중국 교황청 대사관은 교황청과 중화민국 간의 외교 관계를 나타내며, 1951년 타이베이로 이전된 공사관이 1959년 대사급으로 격상, 1966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어 현재 대만과 중국 본토의 로마 가톨릭 교구에 대한 교무 연계를 담당하고 있다. - 성좌의 재외 공관 - 교황청 대사관
교황청 대사관은 교황청이 세계 각국 및 국제기구와 맺는 외교 관계의 대표적인 형태로, 전 세계에 외교관을 파견하여 평화와 정의를 증진하고 가톨릭교회의 사명을 수행한다. - 1966년 설립 - 대한민국 수산청
대한민국 수산청은 1966년 농림부 외청으로 발족하여 수산 정책을 담당하다가 해양수산부 출범과 함께 해체되었다. - 1966년 설립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한 교황청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라틴어) | Nuntiatura Apostolica in Corea |
이름 (한국어) | 주한 교황청 대사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
대사 |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 |
웹사이트 | 교황청 웹사이트 |
역사 | |
설립일 | 1966년 9월 5일 |
일반 정보 | |
관할 | 대한민국 |
상급 기관 | 바티칸 시국 (성좌, 로마 교황청) |
2. 주한 교황청 대표자 명단
주한 교황청 대표자는 교황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들은 단순한 외교 사절을 넘어, 한국 사회와 가톨릭 교회 간의 소통 창구 역할을 담당하며, 양측의 관계 증진에 기여해왔다.
초대 교황청 사절 방 파트리치오 주교를 시작으로, 여러 교황청 사절들이 한국에 파견되었다. 1963년에는 교황청 공사관이 설립되었고, 1966년에 주한 교황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24] 이후 교황청 공사, 교황청 대사를 거쳐 현재는 교황청 대사가 그 직책을 맡고 있다.
2. 1. 교황청 사절 (Apostolic Delegate)
- 초대 교황청 사절: 방 파트리치오(Patrick J. Byrne) 주교 (1949년 4월 7일[21] – 1950년 11월 25일)[22]
- 제2대 교황청 사절: 막스 데 푸르스텐베르크(Max de furstenberg) 대주교 (1950년)
- 교황청 사절 서리: 구 토마스(Thomas Quinlan) 주교 (1953년)
- 제3대 교황청 사절: 에가노 리기-람베르티니(Egano Righi-Lambertini) 주교 (1957년 12월 28일 – 1960년 7월 9일)
- 제4대 교황청 사절: 사베리오 주피(Xavier Zupi) 대주교 (1960년 10월 26일 - 1962년 1월 31일)
- 제5대 교황청 사절: 안토니오 델 주디체(Antonio del Giudice) 대주교 (1962년 4월 18일 - 1967년 8월 19일)
2. 2. 교황청 공사 (Apostolic Internuncio) / 교황청 대사 (Apostolic Pro-Nuncio)
1963년 대한민국에 교황청 공사관이 설립되었고,[23] 1966년 9월 5일에 주한 교황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24]직함 | 이름 | 재임 기간 |
---|---|---|
초대 교황청 공사 | 안토니오 델 쥬디체 대주교 | 1963년 |
초대 교황청 대사 | 안토니오 델 쥬디체 대주교 | 1966년 |
제2대 교황청 대사 | 히폴리토 로톨리 대주교 | 1967년 9월 2일 - 1972년 11월 15일 |
제3대 교황청 대사 | 루이지 도세나 대주교 | 1973년 2월 27일[25] – 1978년 10월 24일[26] |
제4대 교황청 대사 | 루치아노 안젤로니 대주교 | 1978년 11월 25일[27] – 1982년 8월 21일 |
제5대 교황청 대사 | 프란치스코 몬테리시 대주교 | 1982년 |
제6대 교황청 대사 | 이반 디아스 대주교 | 1987년 |
제7대 교황청 대사 | 조반니 블라이티스 대주교 | 1991년 |
2. 3. 교황청 대사 (Apostolic Nuncio)
대수 | 직함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1대 | 교황청 대사 | 안토니오 델 쥬디체 대주교 | 1966년 | 1967년 |
2대 | 교황청 대사 | 히폴리토 로톨리 대주교 | 1967년 9월 2일 | 1972년 11월 15일 |
3대 | 교황청 대사 | 루이지 도세나 대주교 | 1973년 2월 27일[25] | 1978년 10월 24일[26] |
4대 | 교황청 대사 | 루치아노 안젤로니 대주교 | 1978년 11월 25일[27] | 1982년 8월 21일 |
5대 | 교황청 대사 | 프란치스코 몬테리시 대주교 | 1982년 | 1987년 |
6대 | 교황청 대사 | 이반 디아스 대주교 | 1987년 | 1991년 |
7대 | 교황청 대사 | 조반니 블라이티스 대주교 | 1991년 | 1997년 |
8대 | 교황청 대사 | 조반니 바티스타 모란디니 대주교 | 1997년 | 2004년 |
9대 | 교황청 대사 | 에밀 폴 체릭 대주교 | 2004년 | 2008년 |
10대 | 교황청 대사 | 오스발도 파딜랴 대주교 | 2008년 | 2018년 |
11대 | 교황청 대사 | 앨프리드 슈에레브 대주교 | 2018년 | 2023년 |
12대 | 교황청 대사 |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 | 2024년 | 현재 |
1966년 주한 교황청 대사관 승격 이후 현재까지의 교황청 대표자들이다. 이들은 한국과 교황청 간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대표하며, 양국 간 협력 증진에 힘쓰고 있다. 특히, 민주화와 인권, 사회 정의와 평화 등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데 있어 한국 사회와 긴밀히 협력해왔다.[24]
참조
[1]
뉴스
Kim Jong Un invites Pope Francis to North Korea
https://www.thetable[...]
2019-11-27
[2]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3]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4]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5]
서적
Christ and Caesar in Modern Korea: A History of Christianit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9-11-27
[6]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2-01
[7]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0-01-26
[8]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9]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10]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11]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19-11-27
[12]
간행물
Rinunce e Nomine, 06.03.2004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02
[13]
간행물
Rinunce e Nomine, 22.05.2004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03
[14]
간행물
Rinunce e Nomine, 26.01.2008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03
[15]
간행물
Rinunce e Nomine, 12.04.2008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06
[16]
뉴스
Filipino apostolic nuncio bids farewell to South Korea
https://www.ucanews.[...]
2019-05-06
[17]
간행물
Rinunce e nomine, 26.02.2018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06
[18]
뉴스
Rinunce e nomine, 08.12.2023
https://press.vatica[...]
2023-12-08
[19]
뉴스
Rinunce e nomine, 02.03.2024
https://press.vatica[...]
2024-03-02
[20]
뉴스
Kim Jong Un invites Pope Francis to North Korea
https://www.thetable[...]
2019-11-27
[21]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19-11-27
[22]
서적
Christ and Caesar in Modern Korea: A History of Christianit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2019-11-27
[23]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19-11-27
[24]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19-11-27
[25]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19-12-01
[26]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20-01-26
[27]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2019-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