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1966년 1월 16일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따라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 관계 수립의 일환으로 개설되었다. 영사부는 여권 발급, 사증 발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공보문화부는 일본 문화 홍보를, 경제부는 경제 정보 제공을, 정무부는 정치 관련 정보 수집 및 분석 업무를 수행한다.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매주 수, 토, 일요일과 대한민국의 공휴일, 일본의 일부 공휴일에 휴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은 2016년 3월 10일에 개관하여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관할한다.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부산, 울산, 대구, 광주, 경상도, 전라도 지역의 영사 업무를 수행한다.
  • 일본의 재외 공관 - 주한 일본 대사관
    주한 일본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공관으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기도 하다.
  • 일본의 재외 공관 - 주일본 중국 대사관
    1973년 중일 관계 정상화로 개설된 주일본 중국 대사관은 이전에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비공식 외교 창구 역할을 했었다.
  • 일본의 영사관 - 주제주 일본 총영사관
    주제주 일본 총영사관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1991년 개설되어 1997년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전 지역을 관할하고 다케다 가츠토시 총영사가 2022년 8월부터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일본의 영사관 - 주샌프란시스코 일본 총영사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배터리 스트리트에 위치한 주샌프란시스코 일본 총영사관은 일본의 총영사관이다.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제국 문장
일본 제국 문장
이름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현지어 이름在釜山日本国総領事館
설립일1966년 1월 16일
소재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고관로 18 (우편번호: 48792)
관할 구역
관할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조직
기관장 직책총영사
기관장 성명마루야마 고헤이(Maruyama Kohei)
상급 기관일본 외무성(주한 일본 대사관)
기타
웹사이트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웹사이트

2. 연혁

2. 1. 설립 배경

1965년 6월 22일 도쿄에서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어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국교가 정상화되었다.[2] 이에 따라 양국 간 외교 관계 수립의 일환으로 1966년 1월 16일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이 개설되었다.[2]

2. 2. 주요 연혁


  • 1966년 1월 16일: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개설[2]

3. 관련 부서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1][2][3]


  • 영사부: 재외국민 등록, 국적, 호적, 병역, 여권, 사증 등 각종 민원 업무와 재외국민 보호, 사건/사고, 영사 확인, 재외선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공보문화부: 일본 내 한국 문화 홍보, 문화 교류, 교육, 홍보, 한국 유학 안내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경제부: 경제 동향 파악, 경제 교류, 통상 진흥, 투자 유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정무부: 정무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4. 관할 구역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다음 지역을 관할한다.[3]


5. 영사 업무 시간

영사 업무 시간은 다음과 같다.[1]

구분시간
오전09시 30분 ~ 12시 00분
오후13시 30분 ~ 17시 00분


6. 휴관일

7. 역대 총영사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의 역대 총영사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일본의 정권 교체 및 외교 정책 변화에 따라 다른 성향이나 활동 방식을 보였다. 예를 들어, 자민당 장기 집권 시기와 민주당 정권 시기의 총영사들은 서로 다른 외교적 접근 방식을 취했을 수 있다. 각 총영사의 재임 기간 중에는 소녀상 설치 문제, 강제징용 문제 등 한일 관계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7. 1. 역대 총영사 목록

이름부임 기간
神原 富比古|간바라 도미히코일본어1966년 1월 ~ 1967년 11월
森 純造|모리 준조일본어1967년 11월 ~ 1972년 1월
田村 坂雄|다무라 사카오일본어1972년 1월 ~ 1976년 1월
浅田 泰三|아사다 다이조일본어1976년 8월 ~ 1978년 1월
福田 孝三郎|후쿠다 고자부로일본어1978년 6월 ~ 1981년 1월
浜中 季一|하마나카 도시카즈일본어1981년 4월 ~ 1983년 5월
吉田 喜久夫|요시다 키쿠오일본어1983년 5월 ~ 1984년 6월
安藤 浩|안도 히로시일본어1984년 7월 ~ 1986년 3월
沼田 順|누마타 준일본어1986년 4월 ~ 1989년 1월
打尾 茂|우치오 시게루일본어1989년 1월 ~ 1991년 3월
川上 俊之|가와카미 도시유키일본어1991년 6월 ~ 1993년 6월
町田 貢|마치다 미쓰구일본어1993년 9월 ~ 1996년 5월
久一 昌三|히사이치 쇼조일본어1996년 5월 ~ 1998년 3월
堀 泰三|호리 다이조일본어1998년 4월 ~ 2002년 3월
阿部 孝哉|아베 다카야일본어2002년 4월 ~ 2006년 2월
民辻 秀逸|다미쓰지 슈이쓰일본어2006년 2월 ~ 2011년 3월
余田 幸夫|요덴 유키오일본어2011년 5월 ~ 2013년 3월
松井 貞夫|마쓰이 사다오일본어2013년 4월 ~ 2016년 3월
森本 康敬|모리모토 야스히로일본어2016년 6월 ~ 2017년 7월
道上 尚史|미치가미 히사시일본어2017년 7월 ~ 2019년 8월
丸山 浩平|마루야마 고헤이일본어2019년 8월 ~ 현재


8. 같이 보기

=== 일반 주제 ===



=== 부산에 설치된 다른 영사관 ===

8. 1. 일반 주제

8. 2. 부산에 설치된 다른 영사관

참조

[1] text
[2] text
[3]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