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구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동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1914년 안동군 안동면의 일부가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중구동으로 통합되었으며, 삼산동, 서부동, 북문동 등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안동초등학교, 안동소방서, 안동의료원 등 다양한 교육, 공공, 문화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국도 5호선, 34호선, 35호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주요 문화재로는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안동 태사묘, 안동 임청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시의 행정 구역 - 용상동
    용상동은 경상북도 안동시의 행정동으로, 안동군 안동면 용상리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 통합과 안동시 승격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고, 유교 시설, 아파트 단지, 공공기관이 위치하며 국도 제34호선이 통과하고 과거 안동비행장이 있던 곳이다.
  • 안동시의 행정 구역 - 예안면
    예안면은 경상북도 안동시 동북부에 위치한 면으로, 삼국시대에는 매곡현과 선곡현으로 불렸고 고려시대에 예안 등으로 칭해졌으며, 1914년 안동군에 병합되었고 16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구성된 산간 지역이다.
  • 경상북도의 동 - 용상동
    용상동은 경상북도 안동시의 행정동으로, 안동군 안동면 용상리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 통합과 안동시 승격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고, 유교 시설, 아파트 단지, 공공기관이 위치하며 국도 제34호선이 통과하고 과거 안동비행장이 있던 곳이다.
  • 경상북도의 동 - 북문동 (상주시)
    북문동은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으로, 무양동, 초산동, 부원동 등 여러 법정동을 관할하며 상주중학교와 상산전자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 1964년 설치 - 녹양동
    녹양동은 조선 시대 군마 사육 목장이었던 녹양장에서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녹양역을 중심으로 택지 개발이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행정 구역이다.
  • 1964년 설치 - 경기도수원교육지원청
    경기도수원교육지원청은 경기도 수원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를 관할하는 교육 지원 기관으로, 수원시 각 구에 위치한 다양한 학교들을 관리한다.
중구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중구동
한자 표기中區洞
영문 표기Junggu - Dong
광역시도경상북도
시군구안동시
면적2.53
세대2,937
세대 조사2009
인구5059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동삼산동
서부동
북문동
율세동
옥정동
신세동
법흥동
동문동
동부동
운흥동
천리동
남부동
남문동
목성동
34
157
동주민센터안동시 서동문로 238(법흥동)
홈페이지중구동 주민센터

2. 연혁

1964년 3월 20일 동기구 개편으로 삼산·서부·북문동은 중구동, 옥정·율세동은 옥율동, 신세·법흥동은 신흥동, 동문·동부·운흥은 동구동, 남문·남부·천리동은 남구동으로 통합되었다.

1973년 7월 1일 목성동과 화성동이 중구동에 편입되었고, 1983년 2월 15일에는 동구동과 남구동이 동남동으로, 상아동 일부가 신흥동에 편입되었으며, 와룡면 중가구동·산야동·서지동 일부가 안동시에 편입되었다.

1997년 7월 1일 과소동 통폐합으로 중구동과 동남동은 중구동으로, 옥율동과 신흥동은 동구동으로 통합되었고, 화성동은 법상동으로 편입되었다. 1998년 12월 1일 중구동과 동구동이 다시 중구동으로 통합되었다.

2. 1. 조선 시대

1914년 3월 1일 일제강점기에 안동군 안동면 서부동, 율세동, 신세동, 동부동이 설치되었다. 1931년 4월 1일 안동읍으로 승격되면서 본정, 태사정, 앵정, 율세정, 남문정, 영남정이 되었다. 1947년 1월 1일 일본식 동 명칭을 개정하여 삼산, 서부, 북문, 옥정, 율세, 신세, 법흥, 동문, 동부, 운흥, 남문, 남부, 천리동이 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1914년 3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안동군 안동면 서부동, 율세동, 신세동, 동부동을 설치하였다. 1931년 4월 1일 안동읍이 승격되면서 이들 지역은 각각 본정, 태사정, 앵정, 율세정, 남문정, 영남정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지명 변화는 일제가 한국의 전통적인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꾸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

1947년 1월 1일 해방 이후 일본식 동 명칭을 개정하면서 삼산, 서부, 북문, 옥정, 율세, 신세, 법흥, 동문, 동부, 운흥, 남문, 남부, 천리동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2. 3. 광복 이후

1947년 1월 1일 일본식 동 명칭 개정에 따라 안동읍 내의 정(町) 단위 행정구역이 동(洞)으로 바뀌면서 삼산, 서부, 북문, 옥정, 율세, 신세, 법흥, 동문, 동부, 운흥, 남문, 남부, 천리동이 설치되었다.

1964년 3월 20일 동기구 개편에 따라 행정동이 다음과 같이 조정되었다.

구 행정동신 행정동
삼산 · 서부 · 북문동중구동
옥정 · 율세동옥율동
신세 · 법흥동신흥동
동문 · 동부 · 운흥동구동
남문 · 남부 · 천리동남구동



1973년 7월 1일 목성동과 화성동이 중구동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 동구동과 남구동이 동남동으로 통합되었고, 상아동 일부가 신흥동에 편입되었으며, 와룡면 중가구동, 산야동, 서지동 일부가 안동시로 편입되었다.

1997년 7월 1일 과소동 통폐합으로 중구동과 동남동이 중구동으로, 옥율동과 신흥동이 동구동으로 통합되었고, 화성동이 법상동으로 편입되었다. 1998년 12월 1일 중구동과 동구동이 다시 중구동으로 통합되었다.

3. 법정동

안동시 중구동의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법정동설명
삼산동삼뭇에서 유래하였다.
서부동안동부 서쪽에 있었다.
북문동안동부성 북문이 있던 곳이다.
율세동밤나무가 많았다.
옥정동맑고 큰 우물이 있었다.
신세동새 절이 있었다.
남문동안동부성 남문이 있던 곳이다.
법흥동법흥사가 있었다.
동부동안동부 동쪽에 있었다.
운흥동운흥사가 있었다.
천리동큰 샘이 있었다.
남부동과거 남문거리, 남부동이라 불렸다.
목성동목성산 아래에 있다.


3. 1. 삼산동

이 지역 동쪽으로 삼뭇들, 장거리들이 있어서 삼뭇돌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조선 시대 이 지역에는 객사가 많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삼산이란 명칭은 삼뭇에서 유래하였다.

3. 2. 서부동

조선 후기 안동부 서부에 속하여 안막리(安幕里), 삼곡리(三谷里), 천리(泉里), 당북리(堂北里), 북찰리, 내거천리, 외거천리 등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서문내동(西門內洞)과 천리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서부동이 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본정 4정목(本町4丁目)이 되었다가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서부동이 되었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서부동이 되었다. '서부'란 지명은 안동부의 서쪽에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3. 북문동

조선 후기 안동부 북부 지역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율세동에 편입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율세동 일부를 분할하여 일본식 지명인 태사정(太師町)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태사정이 북문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북문동이 되었다. 북문이란 지명은 안동부성의 북문이 있었다는 데 연유한다.

3. 4. 율세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에 속한 지역으로 밤절골, 밤적골 또는 율세리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세리(新世里)와 안막리(安幕里)의 일부를 통합하여 율세동이 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율세동이 일본식 지명인 앵정(櫻町), 태사정(太師町), 율세정(栗世町) 등으로 분할되었다가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율세정이 율세동으로 되었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율세동이 되었다. 율세란 지명은 밤나무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3. 5. 옥정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 지역에 속했으며, 맑고 큰 우물이 있어 신정리(新井里)라고 하였다. 1914년 7월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율세동에 편입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율세동 일부를 분할하여 일본식 지명인 앵정(櫻町)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옥정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옥정동이 되었다. 옥정이란 지명은 맑고 큰 우물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6. 신세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에 속한 지역으로 새절골, 새적골 또는 신사동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용상리, 용하리, 율세리 등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신세동이 되었다. 1931년 일제 강점기에 2지구로 분할하여 일본식 지명인 신세정(新世町)과 영남정(嶺南町)으로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신세정은 신세동, 영남정은 법흥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신세동이 되었다. 신세란 지명은 새 절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7. 남문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부동(東部洞)에 편입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남문정2정목(南門町2丁目)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남문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남문동이 되었다. 남문이란 지명은 안동부성의 남문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8. 법흥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에 속한 지역으로 법흥골 또는 법흥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세동(新世洞)에 편입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신세동 일부를 분할하여 일본식 지명인 영남정(嶺南町)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법흥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법흥동이 되었다. 법흥이란 지명은 법흥사가 있었다는 데 연유한다.

3. 9. 동부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용흥리(龍興里), 운흥리(雲興里), 입석리(立石里), 율곡리(栗谷里), 신정리(新亭里), 원북리(院北里) 등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문내동, 운흥리, 서문내동, 천리(泉里), 신세리(新世里), 용하리 등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동부동이 되었다. 1931년 일제강점기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본정2정목(本町2丁目)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동부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동부동이 되었다. 동부라는 지명은 안동부의 동쪽에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10. 운흥동

조선 후기 안동부 동부 지역에 속한 곳으로 운흥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부동(洞部洞)에 편입되었다가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팔굉정1정목(八紘町1丁目)이 되었다.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운흥동이 되었고,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운흥동이 되었다. 운흥이란 지명은 운흥사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11. 천리동

조선 후기 안동부 서부에 속한 지역으로 샘골 또는 천리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서부동에 편입되었다. 1931년 안동읍제 실시에 따라 일본식 지명인 팔굉정2정목(八紘町2丁目)이 되었다가 1947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천리동이 되었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천리동이 되었다. 천리란 지명은 큰 샘이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3. 12. 남부동

원래 안동군 안동면 동부지역으로 남문거리, 남부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안동면 동부동(東部洞)에 편입되었으며, 1931년 안동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동부동의 일부를 갈라서 일본식 지명인 남문정 1정목(南門町一丁目)이라 하였다. 1947년 남부동으로 개칭되었으며, 1964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안동시 남구동 관할의 법정동이 되었다.

3. 13. 목성동

조선 후기 안동부 서부에 속한 지역으로 잿골 또는 성야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법상동에 편입되었다가 1947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법상동에서 분리·독립되어 목성동이 되었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안동시 목성동이 되었다. 목성이란 지명은 목성산(일명 잠두산) 밑에 있다는 데 연유한다.

4. 주요 시설

안동초등학교, 안동동부초등학교, 안동시립 웅부도서관, 가톨릭상지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안동소방서, 안동세무서, 안동우편집중국, 안동상공회의소, 안동의료원, 안동시보건소 등 주요 기관이 있다.

안동탈춤공연장, 안동체육관, 안동시시설관리공단, 문화플랫폼 모디684, 안동웅부공원, 영가헌, 안동문화원 등 문화 시설과 홈플러스 안동점, 안동구시장 등 유통 시설도 있다.

4. 1. 교육 기관

안동초등학교, 안동동부초등학교, 안동시립 웅부도서관, 가톨릭상지대학교

4. 2. 주요 기관

안동소방서, 안동세무서, 안동우편집중국, 안동상공회의소, 안동의료원, 안동시보건소

4. 3. 문화 시설


  • 안동탈춤공연장 (운흥동)
  • 안동체육관, 안동시시설관리공단 (운흥동)
  • 문화플랫폼 모디684 (구 안동역 터, 운흥동)
  • 안동웅부공원, 영가헌 (동부동)
  • 안동문화원 (동부동)

4. 4. 유통 시설

홈플러스 안동점은 운흥동에, 안동구시장은 남문동에 있다.

5. 문화재

중구동에는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동부동 오층 전탑, 안동 태사묘, 법흥동 고성이씨 종택, 안동 임청각, 안동 운흥동 당간지주 등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은 통일신라 시대 전탑으로, 한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 중 하나이다. 동부동 오층 전탑은 균형 잡힌 비례와 정교한 조각이 특징이다. 안동 태사묘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운 김선평, 권행, 장정필 세 사람을 모신 사당이다.

5. 1. 국보 및 보물

5. 2. 기타 문화재

6. 교통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이 중구동을 지난다. 이 도로들은 중구동의 교통망 개선과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