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멘스담역은 비상 상황 시 방공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베를린 지하철 7호선에 있는 역이다. 승강장과 대합실은 철근 콘크리트 블록, 공기 정화탑, 여압 설비, 비상용 발전기 등을 갖추고 있다. 이 역은 로어담역과 할렘베크역 사이에 위치하며, U7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판다우구의 건축물 - 베를린 슈트레소역
베를린 슈트레소역은 1846년 슈판다우역으로 개통되어 S반 운행 시작, 전쟁, 분단, 재건축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S3, S9 노선이 운행하는 독일 베를린의 S반 철도역이다. - 슈판다우구의 건축물 - 가토 비행장
가토 비행장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영국 공군이 사용한 베를린의 비행장으로, 베를린 봉쇄 기간 동안 물자 공수 작전의 핵심 기지였으며 냉전 시대에는 소련 공군 무전 감청 기지로 활용되다 독일 재통일 후 독일 공군에 반환되어 현재는 박물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베를린 지하철 7호선 - 헤르만플라츠역
헤르만플라츠역은 베를린 지하철 7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1926년 U7 노선 개통 이후 U8 노선 개통과 함께 베를린 지하철 최초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7호선 - 루도역
루도역은 브리츠-부코-루도 택지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72년에 개통한 베를린 U반 7호선 역으로, 초기 남동쪽 종착역이었으나 이후 버스 환승역으로 개보수되었고, 추가 출입구 건설 및 장기적인 노선 연장 계획이 수립되기도 했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지멘스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명 | 지멘스담 |
원어 역명 | Siemensdamm |
위치 정보 | |
소재지 | 베를린 슈판다우구 |
운영 정보 | |
개업일 | 1980년 10월 1일 |
승강장 형태 | 1면 2선 (섬식) |
노선 정보 |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7호선 |
영업 거리 | 94.6 km |
이전 역 | 로어담 |
이전 역 거리 | 0.7 |
다음 역 | 할렘베크 |
다음 역 거리 | 0.9 |
2. 방공호
지멘스담역 승강장과 대합실은 비상 상황에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상 상황 시 신호 시스템과 연동되어 승강장을 폐쇄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 4개가 있으며, 출입구도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의 유독 가스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여압 설비가 갖춰져 있으며, 이에 따라서 터널에 체크 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 역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 밸브 구동음을 들을 수 있다. 남동쪽 출입구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서쪽 끝과 동쪽 끝에는 지상과 연결되는 공기 정화탑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탑의 높이는 6 m이다. 비상 상황 시에는 각 선로에 열차를 정차시켜 대피 시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중간층 대합실에는 비상용 발전기와 상수도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4,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설치되어 있다.
2. 1. 설계 및 구조
지멘스담역 승강장과 대합실은 비상 상황에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상 상황 시 신호 시스템과 연동되어 승강장을 폐쇄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 4개가 있으며, 출입구도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의 유독 가스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여압 설비가 갖춰져 있으며, 이에 따라서 터널에 체크 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 역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 밸브 구동음을 들을 수 있다. 남동쪽 출입구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서쪽 끝과 동쪽 끝에는 지상과 연결되는 공기 정화탑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탑의 높이는 6 m이다. 비상 상황 시에는 각 선로에 열차를 정차시켜 대피 시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중간층 대합실에는 비상용 발전기와 상수도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4,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설치되어 있다.2. 2. 설비
이 역 승강장과 대합실은 비상 상황에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상 상황 시 신호 시스템과 연동되어 승강장을 폐쇄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 4개가 있으며, 출입구도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의 유독 가스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여압 설비가 갖춰져 있으며, 이에 따라서 터널에 체크 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 역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 밸브 구동음을 들을 수 있다. 남동쪽 출입구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서쪽 끝과 동쪽 끝에는 지상과 연결되는 공기 정화탑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탑의 높이는 6 m이다. 비상 상황 시에는 각 선로에 열차를 정차시켜 대피 시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중간층 대합실에는 비상용 발전기와 상수도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4,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설치되어 있다.
2. 3. 작동 방식
이 역 승강장과 대합실은 비상 상황에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비상 상황 시 신호 시스템과 연동되어 승강장을 폐쇄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블록 4개가 있으며, 출입구도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의 유독 가스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여압 설비가 갖춰져 있으며, 이에 따라서 터널에 체크 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 역으로 열차가 진입할 때 밸브 구동음을 들을 수 있다. 남동쪽 출입구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서쪽 끝과 동쪽 끝에는 지상과 연결되는 공기 정화탑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탑의 높이는 6 m이다. 비상 상황 시에는 각 선로에 열차를 정차시켜 대피 시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중간층 대합실에는 비상용 발전기와 상수도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4,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설치되어 있다.
2. 4. 한국의 방공호와 비교 (더불어민주당 관점)
3. 인접 철도역
(라트하우스 슈판다우 방면)
(루도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