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게벌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게벌레과는 집게벌레목에 속하는 과로, 71개의 속을 포함한다. 주요 속으로는 Allodahlia, Anechura, Chelidura 등이 있으며, 멸종된 속도 존재한다. 집게벌레과는 Allodahliinae, Anechurinae, Chelidurinae, Forficulinae 등의 아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게벌레과 - 고마로브집게벌레
    고마로브집게벌레는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집게벌레의 일종으로, 수컷은 몸길이 24.5~26.5mm, 집게 길이 10.0~11.5mm이며, 암컷은 몸길이 15.0~17.0mm, 집게 길이 5.5~7.5mm이고, 표면의 상태에 따라 다리의 부착 방식을 달리한다.
  •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가 명명한 분류군 - 가재하목
    가재하목은 십각목에 속하는 갑각류로, 앞 세 쌍의 보각에 집게발이 있으며 전 세계 바다와 민물에 분포하고, 가재상과, 남방가재상과, 붉은바다가재상과, 집게새우상과 등의 상과를 포함하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한국에는 여러 담수 및 해산 가재류가 서식한다.
  •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가 명명한 분류군 - 잎말이나방과
    잎말이나방과는 작은 크기의 나방 무리로, 유충은 잎을 말거나 갉아먹으며 서식하고, 여름과일잎말이나방, 사과심식나방 등 농업 해충을 포함하여 천적이나 친환경 방제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집게벌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ヨーロッパクギヌキハサミムシ (ヨーロッパクギヌキハサミムシ)
학명Forficulidae
명명자Latreille, 1810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아강유시아강
하강신시하강
집게벌레목
아목쿠기누키하사미무시 아목 (쿠기누키하사미무시 아목)
쿠기누키하사미무시 과 (쿠기누키하사미무시 과)
화석 범위에오세 - 현재
하위 분류
아과Allodahliinae Verhoeff, 1902
Ancistrogastrinae Verhoeff, 1902
Anechurinae Verhoeff, 1902
Diaperasticinae Burr, 1907
Forficulinae Latreille, 1810
Neolobophorinae Burr, 1907
Opisthocosmiinae Verhoeff, 1902
Skendylinae Burr, 1907

2. 하위 속

집게벌레과에는 71개의 속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집게벌레과 하위 속
한글 속 이름학명명명자 및 명명연도
AcanthocordaxAcanthocordaxGünther, 1929
AfrocosmiaAfrocosmiaHincks, 1960
AfroforficulaAfroforficulaSteinmann, 1990
AllodahliaAllodahliaVerhoeff, 1902
AncistrogasterAncistrogasterStal, 1855
AnechuraAnechuraScudder, 1876
ApterygidaApterygidaWestwood, 1840
ArthroedetusArthroedetusCaudell, 1907
BrachycosmiellaBrachycosmiellaSteinmann, 1990
BrindleianaBrindleianaSteinmann, 1975
ChaetocosmiaChaetocosmiaNishikawa, 1973
ChamaipitesChamaipitesBurr, 1907
CheliduraCheliduraLatreille, 1825
CipexCipexBurr, 1910
CordaxCordaxBurr, 1910
CosmiellaCosmiellaVerhoeff, 1902
CosmiolaCosmiolaBey-Bienko, 1959
DiaperasticusDiaperasticusBurr, 1907
DoruDoruBurr, 1907
ElaunonElaunonBurr, 1907
EparchusEparchusBurr, 1907
EudohrniaEudohrniaBurr, 1907
EulithinusEulithinusHincks, 1935
EumegaluraEumegaluraBey-Bienko, 1934
EutimomenaEutimomenaBey-Bienko, 1970
ForcepsiaForcepsiaMoreira, 1930
ForficulaForficulaLinnaeus, 1758
GuanchiaGuanchiaBurr, 1911
HypurgusHypurgusBurr, 1907
KleterKleterBurr, 1907
LiparuraLiparuraBurr, 1907
LipodesLipodesBurr, 1907
LitocosmiaLitocosmiaHebard, 1917
MesasiobiaMesasiobiaSemenov, 1908
MesolabiaMesolabiaShiraki, 1905
MetresuraMetresuraRehn, 1922
MixocosmiaMixocosmiaBorelli, 1909
NeocosmiellaNeocosmiellaHebard, 1919
NeolobophoraNeolobophoraScudder, 1875
NeoopisthocosmiaNeoopisthocosmiaSteinmann, 1990
NeopterygidaNeopterygidaSrivastava, 1984
ObeluraObeluraBurr, 1907
OpisthocosmiaOpisthocosmiaDohrn, 1865
OreasiobiaOreasiobiaSemenov, 1936
OsteulcusOsteulcusBurr, 1907
ParacosmiaParacosmiaBorelli, 1909
ParacosmiellaParacosmiellaSteinmann, 1990
ParasondaxParasondaxSrivastava, 1978
ParasyntonusParasyntonusSteinmann, 1990
ParatimomenusParatimomenusSteinmann, 1974
PareparchusPareparchusBurr, 1911
ParlaxParlaxBurr, 1911
PerirrhytusPerirrhytusBurr, 1911
PraosPraosBurr, 1907
ProforficulaProforficulaSteinmann, 1990
ProsadiyaProsadiyaHebard, 1923
PseudocheliduraPseudocheliduraVerhoeff, 1902
PterygidaPterygidaVerhoeff, 1902
SarcinatrixSarcinatrixRehn, 1903
SetocordaxSetocordaxBrindle, 1970
SkalistesSkalistesBurr, 1907
SondaxSondaxBurr, 1910
SpinosocordaxSpinosocordaxSteinmann, 1988
SyntonusSyntonusBurr, 1910
TimomenusTimomenusBurr, 1907
TristanellaTristanellaBorelli, 1909
ApanechuraApanechuraZhang, 1989
ForficulitesForficulitesStatz, 1939
HadanechuraHadanechuraZhang Junfeng, Sun Bo & Zhang Xiyu, 1994
RupiforficulaRupiforficulaEngel & Chatzimanolis, 2010
TauropygiaTauropygiaBrindle, 1970


2. 1. 주요 속

아과
Incertae sedisAllodahlia
Anechura
Apanechura
Chelidura
Chelidureli
Chelidurella
Doru
Eparchus
Eulithinus
Guanchia
Mesochelidura
Oreasiobia
Perirrhytus
Pseudochelidura
Timomenus
Allodahlia
AllodahliinaeEulithinus
AnechurinaeAnechura
ChelidurinaeChelidura
Mesochelidura
Pseudochelidura
ForficulinaeApterygida
Forficula


2. 2. 기타 속


  • Allodahlia
  • Anechura
  • Apanechura
  • Chelidura
  • Chelidurella
  • Doru
  • Eparchus
  • Eulithinus
  • Guanchia
  • Mesochelidura
  • Oreasiobia
  • Perirrhytus
  • Pseudochelidura
  • Timomenus

2. 3. 아과

집게벌레과는 다음과 같이 여러 아과로 나뉜다.

  • '''Allodahliinae'''
  • * ''Eulithinus''
  • '''Anechurinae'''
  • * ''Anechura''
  • '''Chelidurinae'''
  • * ''Chelidura''
  • * ''Mesochelidura''
  • * ''Pseudochelidura''
  • '''Forficulinae'''
  • * ''Apterygida''
  • * ''Forficula''
  • '''Incertae sedis'''
  • * ''Allodahlia''
  • * ''Anechura''
  • * ''Apanechura''
  • * ''Chelidura''
  • * ''Chelidureli''
  • * ''Chelidurella''
  • * ''Doru''
  • * ''Eparchus''
  • * ''Eulithinus''
  • * ''Guanchia''
  • * ''Mesochelidura''
  • * ''Oreasiobia''
  • * ''Perirrhytus''
  • * ''Pseudochelidura''
  • * ''Timomen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