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드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의 대통령은 1960년 차드가 독립한 이후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와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초대 대통령은 프랑수아 톰발바예로, 1960년부터 1975년까지 재임했으며, 이후 군사 정권과 내전을 거쳐 이센 아브레의 철권 통치 시대를 맞이했다. 1990년 이드리스 데비가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여 2021년까지 장기 집권했으며,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가 현재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마하마트 데비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의 대통령 - 이센 아브레
차드의 정치인이자 독재자였던 이센 아브레는 1982년부터 1990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자행, '아프리카의 피노체트'라는 오명을 얻었으며, 특별 아프리카 법정에서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차드의 대통령 - 이드리스 데비
이드리스 데비는 1990년부터 2021년 사망할 때까지 차드를 통치한 대통령으로, 반군 단체를 통해 정권을 잡은 후 30년간 집권하며 정부 기능 회복과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수많은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2021년 반군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차드의 대통령 | |
|---|---|
| 기본 정보 | |
![]() | |
| 직책 | 차드의 대통령 |
| 원어 명칭 | |
| 관저 | 은자메나 대통령궁 |
| 웹사이트 | 차드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
| 상세 정보 | |
| 현직 | 마하마트 데비 |
| 임기 시작 | 2024년 5월 23일 |
| 임기 | 6년 (3선 연임 금지) |
| 설립일 | 1962년 4월 23일 |
| 첫 취임 | 프랑수아 톰발바예 |
| 급여 | 월 800,000 FCFA |
| 정치 | |
| 선거 | 2021년 2024년 |
| 의회 | 2011년 2024년 |
2. 역사
차드에서는 1960년 독립 이후 여러 차례 쿠데타와 정치적 위기를 겪었다. 대통령 외에도 다양한 직책을 가진 인물들이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 1960년 ~ 1975년: 프랑수아 톰발바예가 초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처음에는 국가 원수, 이후 공화국 대통령 직을 맡았다.
- 1975년: 노엘 밀라레우 오딩가르가 최고 군사 위원회 의장으로 잠시 권력을 잡았다. 이후 펠릭스 말룸이 최고 군사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 1979년: 내전으로 인해 구쿠니 우에데이, 롤 마하마트 추아 등 여러 인물이 임시 직책을 맡았다.
- 1979년 ~ 1982년: 구쿠니 우에데이가 국가 연합 과도 정부 대통령을 역임했다.
- 1982년: 히세네 하브레가 쿠데타를 일으켜 북부군 지휘 위원회 의장, 국무 위원회 의장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다.
- 1990년 ~ 1991년: 이드리스 데비가 쿠데타로 애국 구국 운동 총재, 국무 위원회 의장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다.
- 1991년 ~ 2021년: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장기 집권.
- 2021년: 이드리스 데비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가 과도 군사 위원회 위원장으로 권력을 승계했다.
- 2022년 ~ 현재: 마하마트 데비가 공화국 과도 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2. 1. 초대 대통령 프랑수아 톰발바예 (1960-1975)

프랑수아 톰발바예는 1960년 8월 11일부터 1962년 4월 23일까지 차드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다. 이후 1962년 4월 23일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1973년 8월 30일에는 응가르타 톰발바예로 개명하였다. 그는 차드 진보당(PTT) 소속이었으나, 이후 국가 문화 사회 혁명 운동으로 소속을 변경했다. 1975년 4월 13일 쿠데타로 암살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
2. 2. 군사 정권과 내전 (1975-1982)
1975년 프랑수아 톰발바예 대통령이 쿠데타로 암살된 후, 펠릭스 말룸이 최고 군사 평의회 의장으로서 국가 원수직을 맡았다. 그러나 말룸은 국가를 통합하고 반군을 진압하는 데 실패했다. 1979년 내전이 격화되면서 말룸은 사임하고 구쿠니 우에데이가 국가 임시 평의회 의장이 되었다.이후 롤 마하메트 쇼와가 국가 잠정 통일 정부 대통령이 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우에데이가 다시 임시 행정 위원회 의장으로 복귀했다. 1979년부터 1982년 사이에는 우에데이가 국가 잠정 통일 정부 대통령을 맡았으나, 이센 아브레가 주도한 쿠데타로 실각하고 망명길에 올랐다.
2. 3. 이센 아브레의 철권 통치 (1982-1990)
1982년 6월 7일, 이센 아브레는 구쿠니 우에데이 정부를 전복시키고 차드의 새로운 대통령이 되었다.[6] 그는 집권 초기에는 북부군 지도 평의회 의장과 국가 평의회 의장을 차례로 역임하다가,[6] 1982년 10월 21일 대통령에 취임했다.[6]아브레는 권력을 잡은 후, 독립과 혁명을 위한 국민 연합(UNIR)이라는 새로운 정당을 창설하여 1984년부터 1989년까지 이끌었다.[6] 1989년에는 재선되었으나,[6] 1990년 12월 1일 이드리스 데비가 주도한 쿠데타로 인해 축출되어 국외로 망명하였다.[6]
2. 4. 이드리스 데비의 장기 집권 (1990-2021)
이드리스 데비는 1990년 12월 2일 잠정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1990년 12월 4일부터 1991년 3월 4일까지 국가 원수를 역임했다. 이후 1991년 3월 4일부터 대통령으로 재임하기 시작하여 2021년 4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장기 집권하였다. 그는 애국 구원 운동(MPS) 소속이었다.데비 대통령의 재임 기간은 다음과 같다.
| 임기 | 재임 기간 |
|---|---|
| 11 | 1991년 3월 4일 ~ 1996년 8월 8일 |
| 12 | 1996년 8월 8일 ~ 2001년 8월 8일 |
| 13 | 2001년 8월 8일 ~ 2006년 8월 8일 |
| 14 | 2006년 8월 8일 ~ 2011년 8월 8일 |
| 15 | 2011년 8월 8일 ~ 2016년 8월 8일 |
| 16 | 2016년 8월 8일 ~ 2021년 4월 20일 |
이드리스 데비는 2021년 4월 20일 반정부 세력과의 전투 중 전사하여, 그의 장기 집권은 막을 내렸다.
2. 5. 마하마트 데비의 권력 승계 (2021-현재)
2021년 4월 20일,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반군과의 전투 중 사망하자,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가 군사 평의회 의장으로서 권력을 승계했다.[4] 그는 2022년 10월 10일까지 원수 대행(군사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고, 이후 잠정 대통령으로 취임했다.[4] 2024년 5월 23일, 마하마트 데비는 대통령으로 정식 취임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대 | 대통령 | 소속 정당 | 임기 | 재임 기간 | 비고 | ||
|---|---|---|---|---|---|---|---|
| 마하마트 데비 Mahamat ibn Idriss Déby Itno | ![]() | 무소속 (군인) | - | 2021년 4월 20일 - 2022년 10월 10일 | 원수 대행 (군사 평의회 의장) | ||
| - | 2022년 10월 10일 - 2024년 5월 23일 | 잠정 대통령 | |||||
| 애국 구원 운동 (MPS) | 17 | 2024년 5월 23일 - (현직) | (총 ) | ||||
3. 역대 대통령 목록
국가 원수 1 1 1962년 4월 23일
- 1969년rowspan="3" | 2 1969년
- 1973년 8월 30일(1) 응가르타 톰발바예 국가 문화 사회 혁명 운동(MNRCS) 1973년 8월 30일
- 1975년 4월 13일개명[1], 재임 중 사망[1] - 노엘 밀라레우 오딩가 무소속
(군인)- 1975년 4월 13일
- 1975년 4월 15일원수 대행
(임시 대통령)2 펠릭스 말룸 -- 무소속
(군인)3 1975년 4월 15일
- 1975년 5월 12일원수
(최고 군사 평의회 의장)(2) 1975년 5월 12일
- 1978년 8월 29일국가 원수 (2) 4 1978년 8월 29일
- 1979년 3월 23일사임[1] 3 구쿠니 우에데이 -- 차드 민족 해방 전선(FROLINAT)
인민군(FAP)5 1979년 3월 23일
- 1979년 4월 29일원수
(국가 임시 평의회 의장)4 롤 마하마트 추아
Lol Mahamat Choua-- 차드 해방을 위한 대중 운동(MPLT) 6 1979년 4월 29일
- 1979년 9월 3일원수
(국가 잠정 통일 정부 대통령)- 구쿠니 우에데이 -- 차드 민족 해방 전선(FROLINAT)
인민군(FAP)- 1979년 9월 3일
- 1979년 11월 10일원수 대행
(임시 행정 위원회 의장)5 7 1979년 11월 10일
- 1982년 6월 7일원수
(국가 잠정 통일 정부 대통령)
재임 중 축출[1]6 이센 아브레 
북부군(FAN) - 1982년 6월 7일
- 1982년 6월 19일원수 대행
(북부군 지도 평의회 의장)(6) 8 1982년 6월 19일
- 1982년 10월 21일원수
(국가 평의회 의장)(6) 1982년 10월 21일
- 1984년 6월 24일rowspan="3" | 독립과 혁명을 위한 국민 연합(UNIR) 1984년 6월 24일
- 1989년신당 결성[1] 9 1989년
- 1990년 12월 1일재임 중 축출[1] - 장 알링게 바워유 -- 민주주의와 공화국을 위한 연합(UDR) - 1990년 12월 1일
- 1990년 12월 2일잠정 대통령 - 이드리스 데비 
애국 구원 운동(MPS) - 1990년 12월 2일
- 1990년 12월 4일잠정 대통령 7 10 1990년 12월 4일
- 1991년 3월 4일국가 원수 (7) 11 1991년 3월 4일
- 1996년 8월 8일rowspan="6" | 12 1996년 8월 8일
- 2001년 8월 8일13 2001년 8월 8일
- 2006년 8월 8일14 2006년 8월 8일
- 2011년 8월 8일15 2011년 8월 8일
- 2016년 8월 8일16 2016년 8월 8일
- 2021년 4월 20일재임 중 사망[1] - 마하마트 데비 무소속
(군인)- 2021년 4월 20일
- 2022년 10월 10일원수 대행
(군사 평의회 의장)- - 2022년 10월 10일
- 2024년 5월 23일잠정 대통령 8 애국 구원 운동(MPS) 17 2024년 5월 23일
- (현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