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호대교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1976년 7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왕복 6차로로 개통되었다. 서울의 도시 팽창에 따른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18년 4월에는 왕복 10차로로 확장되었다. 1988년에는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사회적 충격을 주었으며, 교량 안전 관리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완공된 교량 - 카루더스빌브리지
카루더스빌브리지는 1976년 개통된 미시시피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서, 미주리주와 테네시주를 연결하며 412번 국도의 일부를 담당하고, 1949년 위원회 구성과 육군 공병대의 승인을 거쳐 건설되었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배재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는 1885년 아펜젤러가 설립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받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학교 중 하나로, 민족 교육의 전통을 이어가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했으나 과거 논란도 있었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 서울 광진구의 건축물 - 잠실철교
1977년 착공되어 1979년에 완공된 잠실철교는 도로와 철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잠실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로서 건설되었다.
천호대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천호대교 |
로마자 표기 | Cheonho daegyo |
한자 표기 | 千戶大橋 |
다른 이름 | 천호대교 |
위치 |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 광진구 |
횡단 | 한강 |
구조 및 규격 | |
형식 | 거더교 |
길이 | 1,150m |
너비 | 25.6m |
건설 정보 | |
착공일 | 1974년 8월 17일 |
완공일 | 1976년 7월 5일 |
개통일 | 1976년 7월 5일 |
건설사 | 동아건설 |
교통 정보 | |
노선 | 국도 제43호선 천호대로 |
교통량 (2009년) | 101,633 |
관리 정보 | |
관리 | 서울특별시청 |
연혁 | |
이전 다리 | 광진교 |
다음 다리 | 올림픽대교 |
기타 | |
참고 자료 | Nave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Naver / Doopedia |
2. 역사
1976년 7월 5일: 왕복 6차로로 개통되었다.[1]
2018년 4월 : 왕복 10차로 확장[1]
2. 1. 건설 및 개통

1976년 7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왕복 6차로의 천호대교가 개통되었다. 이는 당시 서울의 급격한 도시 팽창에 따른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8년 4월에는 왕복 10차로로 확장되었다.[1]
2. 2. 확장
1976년 7월 5일 왕복 6차로로 개통되었다. 2018년 4월, 교통량 증가와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왕복 10차로로 확장되었다.3. 관련 사건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는 1988년에 발생하여 교량 안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3. 1.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88년)
1988년에 발생한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는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사고는 이후 교량 안전 점검 및 관리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4. 갤러리
4. 1. 준공식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천호대교
http://terms.naver.c[...]
Naver
2014-01-18
[2]
웹사이트
천호대교[ 千戶大橋 ]
http://terms.naver.c[...]
Naver
2014-01-18
[3]
논문
천호대교 (千戶大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