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산별곡은 고려 시대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문학 작품이다. 개인 창작 또는 민요로 보기도 하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 작품은 청산과 바다를 배경으로, 고향을 잃고 떠도는 화자의 고뇌와 삶의 애환을 노래한다. 8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의 마지막에 반복되는 후렴구는 다양한 해석과 기능을 가진다. 후렴구는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 악기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 노래의 리듬감을 살리는 역할 등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특수 문자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특수 문자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청산별곡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곡 정보 | |
| 곡명 | 청산별곡 |
| 원어 곡명 | 靑山別曲 |
![]() | |
| 장르 | 고려가요 |
| 관련 정보 | |
| 수록 | 시용향악보 |
| 작사/작곡 정보 | |
| 작사 | 미상 |
| 작곡 | 미상 |
2. 전문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쳥산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ᄒᆞ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ᄯᅩ 엇디 오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ᄂᆞᄆᆞ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ᄅᆞ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ᄉᆞ미 지ᇝ대에 올아셔 ᄒᆡ금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ᄇᆡ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ᄆᆡ와 잡ᄉᆞ와니 내 엇디 ᄒᆞ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3. 작자
3. 1. 개인 창작 대 민요
《청산별곡》은 개인 창작으로 보는 견해와, 민중의 공동작 즉 민요로 보는 견해가 있다. 구전 가요로 전하다가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나서야 문자로 옮겨졌다는 점에서, 민요로 보는 견해가 더 일반적이다.
4. 작품의 구조
〈청산별곡〉은 1연부터 6연까지를 한 단락으로, 7연과 8연을 다른 단락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1연부터 6연까지는 '청산에 살어리랏다'와 '바라래 살어리랏다'라는 지향을 드러내는데, 여기서 청산과 바다는 크게 구별되는 세계가 아니다. 둘 다 자연을 표상하는 시어로서, 1연에서 화자는 청산이라는 자연에서 살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2연에서 5연까지는 그러한 내면적 심경을 노래한다. 제3연에서는 날아가는 새를 보며 고향 농토를 잃고 삶의 터전을 잃은 화자의 속세에 대한 미련을, 제4연에서는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제5연에서는 동네 사람의 돌팔매질에 쫓겨나는 유랑 생활의 서러움을, 6연에서는 다시 한번 자연에서 살겠다는 의지를 강조한다.
제3연의 ‘장글란’은 연장으로 해석되면서도, 문맥상 새의 ‘날개’를 비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7연의 ‘에졍지’는 ‘[한 끼] 에[울] 부엌’ 또는 ‘부엌 참’으로 풀이된다. ‘사슴, 짐대’로 해독되어 온 구절은 ‘사(寺) 사미(沙彌)’, ‘짐 [놓은] 대(臺/坮)’로 해석된다. 제8연의 ‘설진 강술’은 화자에게 ‘(낯)설은 강(羌)술’로, ‘조롱 곳’은 ‘조롱 [모양] (소줏)고리’로 해독하였다. 제7‧8연의 ‘ㅎ 금’과 ‘조롱’이 악기인 점을 고려하면, 제5연의 ‘돓’도 경쇠로, 제2연의 ‘울다’는 ‘노래하다’의 뜻일 수 있다. 이러한 재해석을 통해 작품의 주제를 유랑 가인이 겪은 삶의 애환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로 한정할 수 있다.
바다(바라래)는 청산과 유사하게 파악되어 왔으나,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화자는 바라래를 떠나 물 아래, 에졍지로 가고 싶어하지만, 제6연까지 바라래에 머물고 있다. 이는 바라래에서의 삶이 욕망이 아닌 현실임을 의미한다. 과거에 바라래에서의 삶이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확인하는 것은 화자가 현재 바라래에 살고 있음과 모순되지 않는다. ‘살어리랏다’는 살아야 한다는 판단과 의지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바라래는 동경의 세계로서의 자연 혹은 이상향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화자가 머물고 있는 구체적인 공간으로 보아야 한다.
4. 1. 연별 해석
4. 2. 후렴구의 기능과 의미
〈청산별곡〉의 후렴구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우선, 고려 시대에 구전되는 과정에서 몽골어 요소가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얄리 얄리 얄라셩(또는 ‘얄랑셩’) 얄라리 얄라"는 몽골어 명사 šeng(‘되[升]’)이 주어인 자동사 yali-(‘매우 많은 양이 되다; 좋은 품질이 되다’)의 2인칭 명령형(yali)들과 자원형들(yali-ya, yali-ya-n), 그리고 yali-의 현재 동명사형에 대격 조사가 붙은 말(yalii-yi 등)을 목적어로 한 타동사 ali(‘주어라! 나에게 다오!’)의 명령형이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대량(또는 양질)이 되십시오! 대량이 되십시오! (우리) 대량이 되게 하십시다, 되가(곡식이)! 대량이 됨을 주십시오! 대량이 되게 하십시다!" 또는 ‘주어라! 나에게 다오!’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용향악보>의 '얄리얄리 얄라 얄라 얄라'는 몽골어 'яла- 얄라'에서 유래했으며, 'ялах' (이기다, 승리하다, 정복하다, 극복하다)의 어간 'яла-[얄라]'가 사용되었다. 몽골어는 어간만으로도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종결어미-'лаа'와 'в':ялаа [얄라]'는 '이겼다', '방금 이겼다'를, ['сан'상,승]: ['яласан'얄르상,얄승]은 '이겼다. 이겼노라'를, 미래 시제: 'х' 뒤에 'сан' 붙여 'ялахсан'[얄라흐승]은 '이겼으면 좋겠다'를, 청유형: ['ялъя'알리야]는 '이기자, 이깁시다.'를 뜻한다.다른 해석으로는, 후렴구가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돋우고 노래의 리듬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한, 'ㄹ'음과 'ㅇ'음의 연속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를 주며, 노래의 내용과는 달리 낙천적이고 명량한 느낌을 주어 현실의 삶의 고뇌와 갈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후렴구는 연과 연을 나누는 분연의 역할을 하고, 각 장의 끝에 배치되어 한 장을 마무리하며, 악률을 맞추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후렴구는 작품 전체에 구조적 통일감과 안정성을 부여한다.
5. 작품의 해석
5. 1. '에졍지'의 해석
5. 2. 3연과 7연의 불교적 성격
5. 3. 8연의 "매와" 해석
6.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의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