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서벽고택, 사남고택은 종택을 중심으로 분가 시 터를 잡는 방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세 가옥은 지역 사대부 저택의 대표적인 주거 문화유산으로, 건축 평면 구성과 지붕 구성 등에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다. 2019년에는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별채가 보수공사 중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안동 하회마을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 집성촌으로, 15세기 조선 시대에 형성되어 씨족 마을 형태를 유지하며,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 2010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하회탈춤 등 다양한 민속 예술과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경상북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은 조선 시대 양반 문화를 잘 보존한 한국의 대표적인 씨족마을로, 손씨와 이씨 두 가문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건축 유산을 보유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청송군의 문화유산 - 청송 소류정
청송 소류정은 조선 말기 심성지가 후학 양성을 위해 건립한 정자로, 현재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청송 지방 정자 건축의 특징과 항일독립운동 사적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청송군의 문화유산 - 청송 만세루
청송 만세루는 경상북도 청송군에 위치한 누각이다. - 청송군의 건축물 - 청송버스터미널
청송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시외버스와 군내버스를 탈 수 있는 곳으로, 동대구, 동서울, 부산 방면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 청송군의 건축물 - 청송 소류정
청송 소류정은 조선 말기 심성지가 후학 양성을 위해 건립한 정자로, 현재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청송 지방 정자 건축의 특징과 항일독립운동 사적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
영문 이름 | Head House and Historic House of Pansa Branch of the Pyeongsan Sin Clan in Cheongsong |
유형 | 국가민속문화재 |
지정 번호 | 282 |
지정일 | 2014년 6월 19일 |
주소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16 (중평리) 외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평산신씨풍호파종중 외 |
면적 | 토지 5,575m2<5필지> |
수량 | 일곽(건물 10동, 토지 5,575㎡<5필지>) |
꼬리표 | 청송 중평리 |
2. 지정 사유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서벽고택 및 사남고택은 종택을 중심으로 종법적 질서 규범에 따라 서측으로 차례로 자리한 배치 유형을 통해 분가 시 터를 잡는 방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2019년 8월 8일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별채 1동이 보수 공사 중 붕괴되었다.[2]
세 가옥의 건축 평면 구성은 지역적 특성과 각자 나름의 독자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대지의 형상에 따른 건축 구조 수법과 지붕 구성 방법도 지역의 건축 특성을 잘 보여준다.
지역 사대부 저택의 대표적 주거 문화유산으로 물촌 신종위(申從胃, 1501∼1583) 선생 영정, 사남문집, 시헌서 등 기탁한 유물은 조선 시대 예학과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3. 지정 내용
번호 사진 문화재명 비고 제282-1호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제282-2호 서벽 고택 제282-3호 사남 고택
4. 건축물
명칭 시대 구조/형식/형태 크기/수량 소유자 비고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본채 조선시대 (1705) 목구조 3량가,
정면 7칸×측면 5칸, ㅁ자형128.07m2 평산신씨
풍호파종중별채 조선시대 (1784) 목구조 5량가,
정면 5칸×측면 3칸, ㅡ자형66.12m2 | 대문채 조선시대 목구조 3량가,
정면 5칸×측면 1칸, ㅡ자형26.5m2 | 사당 조선시대 목구조 3량가,
정면 3칸×측면 1칸, ㅡ자형16.38m2 | 서당 조선시대 목구조 3량가,
정면 3칸×측면 2칸, ㅡ자형46.75m2 | 영정각 조선시대 목구조 3량가,
정면 1칸×측면 1.5칸, ㅡ자형7.28m2 | 아래채 목구조 3량가, 초가,
정면 1칸×측면 1.5칸, ㅡ자형34.65m2 | 서벽 고택 본채 조선시대 (1739) 목구조 3량가,
정면 6칸×측면 4칸, ㅁ자형105.6m2 신효승 사남 고택 본채 조선시대 목구조 3량가,
정면 5칸×측면 4칸, ㅁ자형114.4m2 신재명 헛간채 목구조 3량가,
초가 정면 3칸×측면 1칸, ㅡ자형29.16m2 |
5. 사건 사고
5. 1. 평산 신씨 판사공파 종택 별채 붕괴 사건 (2019년)
2019년 8월 8일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별채 1동이 보수 공사 중 붕괴되었다.[2] 이 사건은 2017년부터 서까래 해체 및 지붕 공사를 마친 후, 가설 덧집을 해체하고 기단 터파기 공사를 하던 도중에 발생했다.[2]
참조
[1]
간행물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288호, 113면
2014-06-19
[2]
뉴스
"[단독]폭삭 무너진 국가민속문화재···감리도 시공업체 대리인도 없이 인부가 공사"
http://news.khan.co.[...]
2019-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