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전통 씨족 마을이다. 15세기 손소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길지에 자리 잡았다. 160채가 넘는 기와집과 초가집, 200년 이상 된 54채의 가옥을 포함하여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서백당, 무첨당, 향단(국보 제412호) 등이 주요 건축물이다. 1993년 찰스 3세가 방문하기도 했다. 한국의 양반 문화를 대표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감속편(국보 제283호), 손소 초상(보물 제1216호)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동마을 - 경주 양동 관가정
경주 양동 관가정은 조선 시대 건축물로, 사랑채와 독특한 대문 구조가 특징이며,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국가문화유산이다. - 여강 이씨 - 이한구 (정치인)
대한민국의 4선 국회의원 출신 정치인 이한구는 재무부, 대우경제연구소, 한나라당, 새누리당에서 활동하며 요직을 거쳤으나,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 이후 제명되었다. - 여강 이씨 - 이언적
이언적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으로, 김굉필 문하에서 성리학을 연구하고 이기론에 대한 독자적인 학설을 정립하려 했으며, 관료 생활과 을사사화 연루를 겪으면서도 학문 연구에 매진하여 영남학파 형성에 기여했고, 사후 동방 4현으로 추앙받았다.
경주 양동마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강동면, 경상북도 경주시 |
종류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지정 번호 | 1324-003 |
등재 연도 | 2010년 |
면적 | 91.6 ha |
완충 구역 | 237.4 ha |
문화재 지정번호 | 국가민속문화재 189호 |
지정일 | 1984년 12월 24일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
면적 (문화재) | 969,115m2 |
이름 | |
한국어 | 경주 양동 민속마을 |
한자 | 마을 |
로마자 표기 | Gyeongju Yangdong Minsok Maeul |
세계유산 | |
명칭 |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
영문명 | Historic Villages of Korea: Hahoe and Yangdong |
불문명 | Villages historiques de Corée : Hahoe et Yangdong |
등록 구분 | 문화유산 |
등록 년도 | 2010년 |
지정 번호 | 1324 |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위치 정보 | |
2. 역사
경주 양동마을은 조선 시대 양반 가문인 월성 손씨(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여주 이씨)가 집성촌을 이루어 약 600년 동안 이어져 온 마을이다.[24] 이 두 가문은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며 마을을 발전시켰다.
오늘날 일부는 비어 있지만, 빽빽한 숲 속에 160채가 넘는 기와집과 초가집이 지어져 있다. 200년이 넘은 54채의 역사적인 가옥도 보존되어 있다. 이 마을은 민속 관습과 더불어 조선 시대 전통 건축 양식의 건물들을 보존하고 있다. 1992년에는 찰스 3세가 양동마을을 방문했다.[22]
기타 문화재로는 적개공신논상록관(유형 문화재 제13호), 손소 유언(유형 문화재 제14호), 양동의 소나무[20], 대성헌[21], 손종로 정충비각(문화재자료 제261호), 경산서당(민속 문화재자료), 두곡 영당(민속 문화재자료) 등이 있다.
마을은 산과 계곡의 지형을 따라 길한 한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세심하게 보존되어 왔다.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 가문의 가옥과 그 후손들의 집은 산과 계곡의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다. 초가 지붕이 특징인 하층 계급의 집들은 낮은 지대에 지어졌다. 마을의 구성은 조선 시대 사회의 특징적인 엄격한 사회 계층화를 보여준다.
몇 차례의 전란을 겪은 한반도에서 당시의 모습을 현재까지 전하는 몇 안 되는 귀중한 마을이며, 현재도 약 150호의 가옥에 사람들이 살고 있다.
2. 1. 형성사
양동마을에 사람이 언제부터 살았는지는 정확히 기록된 문헌은 없다. 그러나 마을의 안산인 성주산 정상 구릉지에 청동기 시대 묘제인 석관묘 100여 기가 보고된 것을 바탕으로, 기원전 4세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고 추정된다.이웃 마을 안계리에 고분군이 있었던 점을 미루어 보아, 삼국시대인 4~5세기경에는 상당한 세력을 가진 족장급 유력자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 역사학자 善生助永氏의 자료와 1970년 문화재관리국의 안계리 고분군 발굴 자료에 따르면, 현재 마을의 주민 생활은 신라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고려에서 조선 초기까지는 오씨(吳氏), 아산 장씨(牙山 蔣氏)가 작은 마을을 이루었다고 하나, 이를 확인할 만한 자료는 없다.
경북 지방 고문서집성(영남대 발간)에 따르면, 여강 이씨(驪江 또는 驪州 李氏)인 이광호(李光浩)가 이 마을에 거주하였으며, 그의 손자 사위(손서, 孫壻)가 된 풍덕 류씨(豊德 柳氏) 류복하(柳復河)가 처가에 들어와 살았다. 이후 양민공(襄敏公) 손소(孫昭)가 540여 년 전 류복하의 무남독녀와 결혼한 후, 청송 안덕에서 처가인 양동으로 이주하여 처가의 재산을 상속받아 살게 되었고, 나중에 공신이 되어 고관의 반열에 올랐다.
또한, 이광호의 재종증손(再從曾孫)이자 성종의 총애를 받던 성균생원 찬성공(贊成公) 이번(李蕃)이 손소의 7남매 가운데 장녀와 결혼하여 영일(迎日)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살았다. 이들의 맏아들이자 동방5현의 한 분인 문원공 회재 이언적(文元公 晦齋 李彦迪, 1491-1553) 선생이 배출되면서, 손씨와 이씨 두 씨족에 의해 오늘날과 같은 양동마을이 형성되었다.
양동민속마을은 외손마을이라 불리며, 외가를 따라가서 사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풍덕 류씨의 후손은 절손되어 외손인 손씨 문중에서 제향을 받들고 있다.
양동마을은 손소(孫昭, 1433–1484)에 의해 건립되었다.[3] 월성 손씨 가문은 한국의 풍수지리(풍수지리)에 따라 길지에 자리 잡았다. 손소와 그의 아내 류복하의 딸은 여강 이씨의 이번과 결혼했고, 이 결혼으로 한국의 18현 중 한 명인 이언적이 태어났다. 양동마을은 15세기 길지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2. 2. 학문과 인물
양동마을은 학문과 교육의 전통이 깊어 오늘날까지 수많은 인물을 배출해 왔다. 조선 시대에는 영남지방을 여행하는 선비들의 주요 방문지 중 하나였으며, 흥선대원군도 이 마을을 방문하였다.조선 중기 중앙 정계에서 활동한 사림들 중에서도 이른 시기인 세조 5년(1459년)에 손소공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시애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다. 그의 둘째 아들 손중돈 선생은 성종 20년(1489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 우참찬 등 요직을 거치고 청백리에 올랐다.
대유학자이자 경세가인 문원공 회재 이언적 선생은 이황에 앞서 성리학의 이기철학을 체계화하고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다져 영남학파의 창시자가 되었다. 이황에게 영향을 주는 등 해동부자로 불렸으며, 문묘와 종묘에 종사되어 공자와 역대 임금의 위패와 함께 모셔졌다. 전국의 향교와 20여 개소의 서원에 배향되기도 했다.
손씨, 이씨 가문을 합쳐 문과 26명, 무과 14명, 사마 76명 등 총 116명의 과거 급제자가 나왔고, 음직은 부지기수였을 정도로 많은 인물이 배출되어 전국에서 가장 이름난 양반마을로 알려졌다.
월성 손씨 가문의 손소(孫昭, 1433–1484)는 풍수지리에 따라 길지에 마을을 건립하였다.[3] 손소와 그의 아내 유복하의 딸은 여강 이씨의 이번과 결혼했고, 이 결혼으로 이언적이 태어났다.
조선 시대 양반이었던 월성 손씨(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여주 이씨)의 집성촌으로,[24] 이 두 가문은 경쟁과 협력을 통해 약 600년 동안 마을을 발전시켜 왔다. 중종을 섬긴 학자 이언적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3. 지리 및 환경
경주시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20km쯤 떨어져 있다.
이 마을은 씨족마을의 대표적 사례인데, 씨족마을은 성씨를 매개로 하는 부계 혈연집단이 대를 이어 한 곳에 정착해 이뤄진 정주 형태다. 조선 전기 이후 재산과 제사의 장자 상속이 강화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하나 혹은 두 성씨의 양반이 마을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의사결정의 주도권을 가지는데, 벼농사를 경제적 기반으로 삼는다. 양동마을은 조선 전기 씨족마을 형성기의 한 가지 전형, 즉 혼인으로 처가에 들어와 살면서 자리를 잡는 처가입향의 경우다.
양동마을은 풍수의 길지에 입지했다. 마을의 뒷배경이자 주산인 설창산의 문장봉에서 산등성이가 뻗어 내려 네 줄기로 갈라진 능선과 골짜기가 여럿 나란히 있는 ‘勿(물)’자 형의 형국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 마을은 조선시대 유명한 지리지인 택리지에서 길지로 언급됐으며 조선의 풍수에서 ‘삼남의 사대길지’에 포함됐다. 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많은데, 일례로 勿 자의 아랫부분에 획 하나를 더하면 血(혈) 자가 된다 하여 일제가 계획한 마을 안으로의 철도 통과를 우회시켰고, 남향의 양동초등학교 건물을 동향으로 돌려 앉혔다.
내곡, 물봉골, 거림, 하촌의 4골짜기와 물봉 동산과 수졸당 뒷동산의 두 산등성이, 그리고 물봉골을 넘어 갈구덕으로 마을이 구성되어 있다. 마을의 진입로 쪽은 경사가 급한 산에 시선이 차단되고, 골짜기 밖에서는 마을의 모습이 드러나지 않아 마을 입구에서는 그 규모를 짐작하기가 어렵고, 고가들도 접근해야만 볼 수 있다.
양동마을의 가옥과 건물들은 이와 같은 지형에 잘 조화되어 자연과 일체화된 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지형의 경사에 기대어 집의 자리를 잡고, 집에서 바라보이는 조망점을 풍수의 원칙에 따라 조정한 결과이다. 아름답고 매력적인 자연환경과 집들이 잘 조화를 이루어 정감 어린 모습으로 다가오고, 숲속의 산새 소리에 젖어드는 안온한 분위기가 양동마을의 큰 특징이다.
4.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은 한국 지배계급 양반의 삶의 공간 원형과 정신유산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첫째, 양동마을은 한국의 씨족마을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 전기 씨족마을 형성기의 전형 중 하나인 처가입향 유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둘째, 양동마을은 산기슭 입지의 대표적이고 우수한 사례이다.
- 셋째, 양동마을은 생산, 생활, 의식 영역으로 구성되는 한국 씨족마을의 전통적인 공간 구성을 기능적이고 경관적으로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 넷째, 양동마을은 조선시대의 가장 시기가 이르고 뛰어난 살림집, 정사, 정자, 서원 등의 건축물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사례이다.
- 다섯째, 양동마을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학술적, 문화적 성과물인 고문헌과 예술작품을 보관하고, 전통적인 가정의례와 특징적인 무형의 마을 행사를 오늘날까지 유지하고 있는 가장 훌륭한 사례이다.[25]
조선 시대 양반이었던 월성 손씨(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여주 이씨)의 집성촌이며[24], 이 두 가문은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며 약 600년 동안 마을을 발전시켜 왔다. 중종을 섬긴 유명한 학자 이언적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몇 차례의 전란을 겪은 한반도에서 당시의 모습을 현재까지 전하는 몇 안 되는 귀중한 마을이며, 현재도 약 150호의 가옥이 현존하며 여전히 사람들이 살고 있다.
1992년, 영국의 찰스 3세(당시 왕세자)가 방문했다.
5. 건축 유산
경주 양동마을은 격식이 높은 살림집, 사당, 정자, 정사, 서원, 서당 등 역사적인 건축물들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3] 마을 내의 노거수는 600여 년의 오랜 역사를 증명해주며, 입향기인 15~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마을의 종가인 서백당은 15세기에 건립되었으며, 한국 주거건축 역사상 가장 오래된 예에 속한다. 17세기 이후에 지어진 건축물들도 수백 년에 걸친 마을의 역사를 잘 보여주고 있다.[4] 보물로 지정된 가옥은 향단, 관가정, 무첨당, 독락당 4건이며, 민속자료로 지정된 건축물은 12건이다. 옥산서원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오늘날 일부 마을은 비어 있지만, 빽빽한 숲 속에 지어진 160채가 넘는 기와집과 초가집이 있다. 200년이 넘은 54채의 역사적인 가옥도 보존되어 있다.[4] 이 마을은 민속 관습과 더불어 전통적인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의 전통 건물들을 보존하고 있다. 서백당은 월성 손씨 가문의 주요 가옥이며, 무첨당은 여강 이씨 가문의 주요 가옥이다.[4] 향단은 국보 제412호이다.[5] 이향정, 심수정, 강학당, 광아정,[6] 손소영정[7]도 이 마을의 주목할 만한 건축물이다.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인 《동감속편》(국보 제283호)[8]도 이 마을에 있다.
마을의 주요 민속 자료는 다음과 같다.
기타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마을은 산과 계곡의 지형을 따라 길한 한자(囍)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세심하게 보존되어 왔다.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 가문의 가옥과 그 후손들의 집은 산과 계곡의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초가 지붕이 특징인 하층 계급의 집들은 낮은 지대에 지어졌다. 마을의 구성은 조선 시대 사회의 특징적인 엄격한 사회 계층화를 강조한다.
마을 안에는 국보 1점, 보물 4점, 중요민속문화재 12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점, 경상북도 기념물 1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점, 경상북도 향토문화재 2점 등 총 24점의 지정 문화재가 있으며, 마을 자체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
구분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283호 | 동감속편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보물 제411호 | 무첨당 | 조선 | 1964.11.14 | 여강 이씨 |
보물 제412호 | 향단 | 조선 | 1964.11.14 | 여강 이씨 |
보물 제442호 | 관가정 | 조선 | 1966.04.11 | 월성 손씨 |
보물 제1216호 | 손소 초상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23호 | 서백당 | 조선 | 1970.12.29 | 월성 손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3호 | 낙선당 | 불명 | 1979.01.26 | 월성 손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4호 | 사호고택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5호 | 상춘헌고택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6호 | 근암고택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7호 | 두곡고택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8호 | 수졸당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79호 | 이향정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80호 | 수운정 | 조선 | 1979.01.26 | 월성 손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81호 | 심수정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82호 | 안락정 | 조선 | 1979.01.26 | 월성 손씨 |
중요민속문화재 제83호 | 강학당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호 | 적개공신논상록권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 손소 선생 분재기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기념물 제8호 | 양동의 이끼(수목) | 조선 | 1974.12.10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 대성헌 | 조선 | 1982.02.24 | 여강 이씨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1호 | 손종로 정충비각 | 조선 | 1992.07.18 | 월성 손씨 |
또한, 세계 유산의 대상 범위로서는 마을 주변 수 km 위치에 있는 옥산서원(사적 제154호), 독락당(보물 제413호), 동강서원(경상북도 기념물 제114호) 등도 포함되어 있다.
6. 동산 유산
양동마을에는 조선시대 족보, 마을 재산 관련 문서, 서신 등이 남아있다. 통감속편은 금속활자로 인쇄된 초기 자료로 인쇄술 연구에 중요하다. 월성 손씨 가문이 보관하는 손소 영정(보물 제1216호)은 15세기 말에 그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초상화이다. 개인 간찰, 매매 계약 문서, 관혼상제 관련 문서 등도 잘 보관되어 있다.
동감속편[8]은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이며 국보 제283호이다. 마을 안에는 국보 1점, 보물 4점, 중요민속문화재 12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점, 경상북도 기념물 1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점, 경상북도 향토문화재 2점 등 총 24점의 지정 문화재가 있으며, 마을 자체가 대한민국의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
구분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283호 | 통감속편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보물 제1216호 | 손소 영정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호 | 적개공신논상록권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 손소 선생 분재기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기념물 제8호 | 양동의 이끼(수목) | 조선 | 1974.12.10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 대성헌 | 조선 | 1982.02.24 | 여강 이씨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1호 | 손종로 정충비각 | 조선 | 1992.07.18 | 월성 손씨 |
7. 무형 유산
양동마을에는 줄불놀이와 줄다리기 등 민속놀이가 전해지지만, 하회마을만큼 활발하지 않다.
8. 주요 문화재
경주 양동마을에는 국보 1점, 보물 4점, 국가민속문화재 12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점, 경상북도 기념물 1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점, 경상북도 향토문화재 2점 등 총 24점의 지정문화재가 있으며, 양동마을 자체가 국가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24]
구분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283호 | 통감속편 (通鑑續編)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보물 제411호 | 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 良洞 無忝堂) | 조선 | 1964.11.14 | 여강 이씨 |
보물 제412호 | 경주 양동 향단 (慶州 良洞 香壇) | 조선 | 1964.11.14 | 여강 이씨 |
보물 제442호 | 경주 양동 관가정 (慶州 良洞 觀稼亭) | 조선 | 1966.04.11 | 월성 손씨 |
보물 제1216호 | 손소 초상 (孫昭 肖像) | 조선 | 1995.03.10 | 월성 손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23호 | 서백당 (慶州 良洞마을 松簷 宗宅) | 조선 | 1970.12.29 | 월성 손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3호 | 낙선당 (慶州 良洞마을 樂善堂 古宅) | 미상 | 1979.01.26 | 월성 손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4호 | 사호당고택 (慶州 良洞마을 沙湖堂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5호 | 상춘헌고택 (慶州 良洞마을 賞春軒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6호 | 근암고택 (慶州 良洞마을 謹庵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7호 | 두곡고택 (慶州 良洞마을 杜谷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8호 | 수졸당 (慶州 良洞마을 守拙堂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79호 | 이향정 (慶州 良洞마을 二香亭 古宅)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80호 | 수운정 (慶州 良洞마을 水雲亭) | 조선 | 1979.01.26 | 월성 손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81호 | 심수정 (慶州 良洞마을 心水亭)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82호 | 안락정 (慶州 良洞마을 安樂亭) | 조선 | 1979.01.26 | 월성 손씨 |
국가민속문화재 제83호 | 강학당 (慶州 良洞마을 講學堂) | 조선 | 1979.01.26 | 여강 이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호 | 적개공신논상록권 (敵愾功臣論賞錄券)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 손소선생분재기 (孫昭先生分財記) | 조선 | 1972.12.29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기념물 제8호 | 양동의 향나무 (良洞의향나무) | 조선 | 1974.12.10 | 월성 손씨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 양동대성헌 (良洞對聖軒) | 조선 | 1982.02.24 | 여강 이씨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1호 | 손종로 정충비각 (孫宗老旌忠碑閣) | 조선 | 1992.07.18 | 월성 손씨 |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양동마을은 마을 주변 문화재인 옥산서원(사적 제154호), 독락당(보물 제413호), 동강서원(경상북도 기념물 제114호)를 포함한다.
9. 교통
경주 양동마을은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다소 불편하다. 마을까지 직접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없으며, 인근 지역에서 하차하여 도보나 택시를 이용해야 한다.
9. 1. 버스
10.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경주양동마을 慶州良洞─
https://archive.toda[...]
Doosan Encyclopedia
2009-08-17
[2]
Unesco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 Hahoe and Yangdong
https://whc.unesco.o[...]
[3]
웹사이트
손소(孫昭)
http://encykorea.aks[...]
[4]
웹사이트
Treasure No. Yu411
https://web.archive.[...]
2006-07-06
[5]
웹사이트
National Treasure No. 412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Treasure No. 442
https://web.archive.[...]
2006-07-06
[7]
웹사이트
Treasure No. 1216
https://web.archive.[...]
2006-07-06
[8]
웹사이트
National Treasure No. 283
https://web.archive.[...]
2006-07-06
[9]
웹사이트
No. 73
https://web.archive.[...]
2006-07-06
[10]
웹사이트
No. 74
https://web.archive.[...]
2006-07-06
[11]
웹사이트
No. 75
https://web.archive.[...]
2006-07-06
[12]
웹사이트
No. 76
https://web.archive.[...]
2006-07-06
[13]
웹사이트
No. 77
https://web.archive.[...]
2006-07-06
[14]
웹사이트
No. 78
https://web.archive.[...]
2006-07-06
[15]
웹사이트
No. 79
https://web.archive.[...]
2006-07-06
[16]
웹사이트
No. 80
https://web.archive.[...]
2006-07-06
[17]
웹사이트
No. 81
https://web.archive.[...]
2006-07-06
[18]
웹사이트
No. 82
https://web.archive.[...]
2006-07-06
[19]
웹사이트
No. 82
https://web.archive.[...]
2006-07-06
[20]
웹사이트
Monuments No. 8
https://web.archive.[...]
2006-07-06
[21]
웹사이트
Folk Material No. 34
https://web.archive.[...]
2006-07-06
[22]
웹사이트
Gyeongju Yangdong Village
https://web.archive.[...]
VisitKorea
2013-09-09
[23]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seven cultural sites on World Heritage List (英語)
http://whc.unesco.or[...]
[24]
웹사이트
여강이씨 > 문중소개 > 양동마을 > 경북 경주 양동마을
https://yangdong.inv[...]
2022-11-12
[25]
웹인용
http://www.ch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