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이끼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롱이끼과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선류이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며, 불탄 곳을 좋아한다. 줄기와 잎이 분화된 배우체는 0.5-1cm 높이로 곧게 서며,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방사상 배열을 이룬다. 암수한그루로,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수정이 이루어지며, 접합자는 배를 형성하고, 포자체가 자라면 꼬투리 윗부분이 모자 모양의 선모가 된다. 꼬투리는 비대칭 서양배 모양이며, 봄에서 여름에 걸쳐 뚜껑이 열리면서 포자가 튀어나간다. 초롱이끼과에는 Cinclidium, Cyrtomnium, Mnium 등 여러 속이 포함되며, 한국에는 꼬마초롱이끼, 납작맥초롱이끼 등 11종이 자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초롱이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학명 | Mniaceae |
명명자 | Schwägr. |
속 | 본문 참조 |
2. 형태 및 생태
초롱이끼의 배우체는 줄기와 잎이 분화되어 있으며, 줄기는 높이 0.5-1cm 로서 곧게 서고 달걀 모양의 잎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줄기 밑부분에는 다세포로 분지된 많은 헛뿌리가 발달하며, 줄기 중심에는 원형질이 없는 길쭉한 세포로 이루어진 통도 조직(중심속)이 존재한다. 잎 중앙에는 잎맥과 같은 1개의 줄기(중륵)가 있는데, 중륵 이외의 잎 부분은 모두 1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1]
2. 1. 생식
초롱이끼는 암수한그루로서 장란기와 장정기는 서로 다른 가지의 끝부분에 만들어지며, 수정은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이루어진다. 접합자는 장란기 속에서 분열하여 배를 형성하는데, 이때 장란기 세포도 함께 분열하여 배를 보호하는 '칼립트라'라는 조직을 만들게 된다.[1]봄이 되어 포자체가 자라게 되면 칼립트라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갈라지는데, 그 윗부분은 꼬투리를 싼 채 들어올려져 모자(선모)가 된다. 이 선모는 배우체의 일부로서 핵상이 n인 세대에 속한다. 선모는 어린 꼬투리를 기계적으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호르몬을 내어 꼬투리의 형성을 조절하고 있다.[1]
꼬투리자루는 3-6cm 정도이며 위쪽이 굽어 있다. 꼬투리는 비대칭인 서양배 모양으로 경사져 있는 형태를 이룬다. 꼬투리 밑부분(목부)에는 동화 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고, 그 표피에는 기공이 있다. 또, 꼬투리의 중앙에는 유세포로 이루어진 축(기둥축)이 있고 꼬투리의 앞 끝부분에는 접시 모양의 뚜껑(선개)이 있으며, 그 밑에는 안팎에 16개씩 이중으로 배열된 연치가 있다. 봄에서 여름에 걸쳐 포자가 성숙하면 뚜껑이 벗어지면서 연치의 건습 운동에 의해서 포자가 튀어나간다.[1]
3. 분류
- Cinclidium Sw.|스벤덴la
- Cyrtomnium Holmen|홀멘la
- Epipterygium Lindb.|린드버그la
- Leucolepis Lindb.|린드버그la
- Mielichhoferia Nees & Hornsch.|니이스 & 호른슈.la
- Mnium Hedw.|헤드비히la
- Orthomnion Wilson|윌슨la
- Plagiomnium T.J.Kop.|T. J. 코포넨la
- Pohlia Hedw.|헤드비히la
- Pseudobryum (Kindb.) T.J.Kop.|킨드버그 T. J. 코포넨la
- Pseudopohlia R.S.Williams|R. S. 윌리엄스la
- Rhizomnium (Broth.) T.J.Kop.|브로트 T. J. 코포넨la
- Schizymenium Harv.|하비la
- Synthetodontium Cardot|카르도la
- Trachycystis Lindb.|린드버그la
3. 1. 하위 속
4. 한국의 초롱이끼
한국에는 다양한 초롱이끼과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4. 1. 한국 자생종
학명 | 우리말 이름 |
---|---|
Mnium heterophyllum | 꼬마초롱이끼 |
Mnium lycopodioides | 납작맥초롱이끼 |
Mnium stellare | 별꼴초롱이끼 |
Plagiomnium acutum | 아기들덩굴초롱이끼 |
Plagiomnium cuspidatum | 들덩굴초롱이끼 |
Plagiomnium maximoviczii | 덩굴초롱이끼 |
Plagiomnium vesicatum | 큰잎덩굴초롱이끼 |
Rhizomnium striatulum | 줄미선초롱이끼 |
Rhizomnium tuomikoskii | 좁은초롱이끼 |
Trachycystis flagellaris | 털아기초롱이끼 |
Trachycystis microphylla | 아기초롱이끼 |
참조
[1]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Mniaceae
https://www.itis.gov[...]
2019-12-15
[2]
서적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extant moss genera
http://bryology.ucon[...]
2020-05-01
[4]
간행물
Mniaceae
2019-12-16
[5]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