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는 매우 민감한 자기장 측정 장치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DC SQUID와 RF SQUID가 있으며,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SQUID는 생체 자기 측정, 재료 과학, 핵자기 공명 영상, 지질 탐사, 정밀 측정, 양자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뇌자도(MEG)와 같은 생체 자기 측정 분야에서 높은 시간 분해능을 제공하며, 암흑 물질 탐색, 군사적 응용 가능성 등 미래 기술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프슨 효과 - 조지프슨 소용돌이
  • 조지프슨 효과 - 조지프슨 위상
  • 센서 - 서미스터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저항 특성에 따라 NTC, PTC, CTR 서미스터로 나뉘며 온도 센서, 과전류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저항-온도 관계는 B 상수 방정식이나 슈타인하르트-하트 방정식으로 표현되어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 센서 - 기압계
    기압계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기구로, 17세기 중반 토리첼리에 의해 최초의 수은 기압계가 발명되었으며, 일기 예보, 고도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수은, 아네로이드, 전기식 등 여러 종류가 현대에 개발되어 사용된다.
  • 초전도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초전도 - 고온 초전도체
    고온 초전도체는 액체 질소 온도 이상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로, 구리 산화물 발견 이후 다양한 물질이 개발되었지만 작동 메커니즘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전자-전자 상호작용이 중요하고 송전, 의료, 자기부상열차 등에 응용될 잠재력을 가진다.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
개요
스퀴드 구성도
스퀴드의 기본적인 구성도
유형자력계
작동 온도최대 90 K
발명자제임스 E. 짐머만
발명 연도1964년
일반적인 성능
자장 감도5 aT
에너지 분해능양자 한계에 접근
전형적인 크기~1 cm3
상세 정보
주요 구성 요소조지프슨 접합
설명
정의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가장 민감한 자력계
활용매우 약한 자기장 측정에 사용
작동 원리
핵심 원리초전도 고리의 양자 간섭 효과를 이용
자기 플럭스 양자화초전도 고리 내의 자기 플럭스는 특정 양자화된 값의 정수배로 존재
종류
직류 스퀴드 (DC SQUID)2개의 조지프슨 접합을 병렬로 연결한 형태
전류-전압 특성의 변화를 통해 자기장 측정
무선 주파수 스퀴드 (RF SQUID)1개의 조지프슨 접합을 사용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통해 자기장 측정
응용 분야
지구물리학자기지전류 탐사 (MT 탐사)
유도분극 탐사 (IP 탐사)
의료뇌자도 (MEG)
심자도 (MCG)
비파괴 검사 (NDT)초전도 스퀴드 현미경을 이용한 결함 탐지
기초 과학 연구물질의 자기적 특성 연구
우주론 연구

2. 역사와 설계

포드 연구 실험실의 로버트 자클레빅, 존 람비, 제인스 머세로, 아놀드 실버가 1964년에 DC SQUID를 발명했다.[3] 이는 1962년 브라이언 조셉슨이 조셉슨 효과를 예측하고, 1963년 벨 연구소의 존 로웰과 필립 앤더슨이 최초의 조셉슨 접합을 만든 이후의 일이다.[4] DC SQUID는 두 개의 조셉슨 접합이 병렬로 연결된 초전도 루프 구조를 가지며, 직류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DC SQUID의 모형도. 전류 I는 두 경로로 나뉘어 각각 I_aI_b의 전류를 갖는다. 각 경로에는 조셉슨 접합이 있으며, \Phi는 루프를 통과하는 자속을 나타낸다.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 입력 전류 I는 두 개의 조셉슨 접합으로 균등하게 분배된다. 그러나 작은 외부 자기장이 초전도 루프에 가해지면, 루프에는 이를 상쇄하기 위한 순환 전류 I_s가 유도된다.[5] 이 유도 전류는 초전도 루프의 한쪽에서는 입력 전류와 같은 방향으로, 다른 쪽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한쪽 접합의 전류는 I/2 + I_s, 다른 쪽은 I/2 - I_s가 된다. 이 중 어느 한쪽이라도 조셉슨 접합의 임계 전류 (I_c)를 초과하면 접합에 전압이 발생한다.

외부 자기장이 증가하여 자기 플럭스 양자의 절반 (\Phi_0/2)을 초과하면, 초전도 루프 내의 총 자속은 정수 개의 자속 양자를 유지해야 하므로, SQUID는 자속을 차폐하는 대신 \Phi_0로 증가시키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하다. 이때 순환 전류의 방향은 바뀌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외부 자기장이 \Phi_0의 반정수 배가 될 때마다 반복된다.

입력 전류가 임계 전류 I_c보다 크면, SQUID는 항상 저항 모드로 작동하며, 이때 전압은 인가된 자기장의 함수이고 주기는 \Phi_0이다. DC SQUID의 전류-전압 특성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접합에 션트 저항 R을 연결한다. (구리 산화물 기반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접합 자체의 고유 저항으로 충분하다.)[6][7]

스크리닝 전류는 링의 자체 인덕턴스로 나눈 인가 플럭스이다. 따라서 \Delta \Phi\Delta V(플럭스-전압 변환기)의 함수로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6][7]

:\Delta V = R \cdot \Delta I

:2 \cdot \Delta I = 2 \cdot \frac{\Delta \Phi}{L}, 여기서 L은 초전도 링의 자체 인덕턴스이다.

:\Delta V = \frac{R}{L} \cdot \Delta \Phi

SQUID의 전기 회로도: I_b는 바이어스 전류, I_0는 SQUID의 임계 전류, \Phi는 SQUID를 통과하는 자속, V는 자속에 의한 전압. X 기호는 조셉슨 접합을 나타낸다.


왼쪽: SQUID의 전압-전류 곡선. 위, 아래 곡선은 각각 nΦ0 와 (n+1/2)Φ0이다. 오른쪽: SQUID를 통과하는 자속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주기적인 전압 출력. 주기는 하나의 자속 양자 Φ0와 같다.


일반적인 경우, 루프의 자체 인덕턴스 L는 다음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lambda = \frac{i_cL}{\Phi_0}

여기서 i_c는 SQUID의 임계 전류이다. 일반적으로 \lambda는 1 정도의 크기이다.[8]

RF SQUID 시제품


고주파 SQUID (RF SQUID)는 1965년 포드사의 제임스 에드워드 지머먼과 아놀드 실버가 발명하였다.[7] 이는 교류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하며, 단 하나의 조셉슨 접합만을 사용한다. DC SQUID에 비해 감도는 낮지만, 소량 생산에는 더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다.[9][10]

RF SQUID는 공진 탱크 회로에 유도적으로 결합된다.[11] SQUID가 저항 모드로 작동할 때, 외부 자기장에 따라 탱크 회로의 유효 인덕턴스가 변화하여 탱크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이러한 주파수 측정은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회로의 부하 저항에 걸리는 전압으로 나타나는 손실은 \Phi_0주기의 주기적인 함수이다. 정확한 수학적 설명은 Erné 등의 원 논문을 참조한다.[6][12] 생체자기학의 대부분의 기본적인 측정은 RF SQUID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에는 전통적으로 순수한 니오븀 또는 10%의 금이나 인듐이 첨가된 납 합금이 초전도체로 사용된다. 순수한 납은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초전도성을 유지하려면 장치 전체를 절대 영도에 가깝게 유지해야 하며, 액체 헬륨으로 냉각한다.[13]

1980년대 후반에는 고온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고온 SQUID 센서가 개발되었다.[14] 주로 YBCO로 만들어지며, 액체 질소로 냉각된다.[15] 고온 SQUID는 기존 저온 SQUID보다 감도는 낮지만, 여러 응용 분야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15]

2006년에는 알루미늄 루프와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조셉슨 접합으로 제작된 CNT-SQUID 센서의 개념 증명이 발표되었다.[16] 이 센서는 크기가 수백 나노미터이며 1K 이하에서 작동하고, 스핀을 측정할 수 있다.[17]

2022년에는 마법각도 꼬인 이중층 그래핀(MATBG) 상에 SQUID가 제작되었다.[18][19]

2. 1. 직류(DC) SQUID

DC SQUID는 1964년 포드 연구 실험실의 로버트 자클레빅, 존 람비, 제인스 머세로, 아놀드 실버가 발명하였다.[3] 이는 1962년 브라이언 조셉슨이 조셉슨 효과를 예측하고, 1963년 벨 연구소의 존 로웰과 필립 앤더슨이 최초의 조셉슨 접합을 만든 이후의 일이다.[4] DC SQUID는 두 개의 조셉슨 접합이 병렬로 연결된 초전도 루프 구조를 가지며, 직류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 입력 전류 I는 두 개의 조셉슨 접합으로 균등하게 분배된다. 그러나 작은 외부 자기장이 초전도 루프에 가해지면, 루프에는 이를 상쇄하기 위한 순환 전류 I_s가 유도된다.[5] 이 유도 전류는 초전도 루프의 한쪽에서는 입력 전류와 같은 방향으로, 다른 쪽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한쪽 접합의 전류는 I/2 + I_s, 다른 쪽은 I/2 - I_s가 된다. 이 중 어느 한쪽이라도 조셉슨 접합의 임계 전류 (I_c)를 초과하면 접합에 전압이 발생한다.

외부 자기장이 증가하여 자기 플럭스 양자의 절반 (\Phi_0/2)을 초과하면, 초전도 루프 내의 총 자속은 정수 개의 자속 양자를 유지해야 하므로, SQUID는 자속을 차폐하는 대신 \Phi_0로 증가시키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하다. 이때 순환 전류의 방향은 바뀌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외부 자기장이 \Phi_0의 반정수 배가 될 때마다 반복된다.

입력 전류가 임계 전류 I_c보다 크면, SQUID는 항상 저항 모드로 작동하며, 이때 전압은 인가된 자기장의 함수이고 주기는 \Phi_0이다. DC SQUID의 전류-전압 특성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접합에 션트 저항 R을 연결한다. (구리 산화물 기반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접합 자체의 고유 저항으로 충분하다.)[6][7]

스크리닝 전류는 링의 자체 인덕턴스로 나눈 인가 플럭스이다. 따라서 \Delta \Phi\Delta V(플럭스-전압 변환기)의 함수로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6][7]

:\Delta V = R \cdot \Delta I

:2 \cdot \Delta I = 2 \cdot \frac{\Delta \Phi}{L}, 여기서 L은 초전도 링의 자체 인덕턴스이다.

:\Delta V = \frac{R}{L} \cdot \Delta \Phi

일반적인 경우, 루프의 자체 인덕턴스 L는 다음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lambda = \frac{i_cL}{\Phi_0}

여기서 i_c는 SQUID의 임계 전류이다. 일반적으로 \lambda는 1 정도의 크기이다.[8]

2. 2. 교류(RF) SQUID



교류(RF) SQUID는 1965년 포드사의 제임스 에드워드 지머먼과 아놀드 실버가 발명하였다.[7] 이는 교류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하며, 단 하나의 조셉슨 접합만을 사용한다. DC SQUID에 비해 감도는 낮지만, 소량 생산에는 더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다.[9][10]

RF SQUID는 공진 탱크 회로에 유도적으로 결합된다.[11] SQUID가 저항 모드로 작동할 때, 외부 자기장에 따라 탱크 회로의 유효 인덕턴스가 변화하여 탱크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이러한 주파수 측정은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회로의 부하 저항에 걸리는 전압으로 나타나는 손실은 \Phi_0주기의 주기적인 함수이다. 정확한 수학적 설명은 Erné 등의 원 논문을 참조한다.[6][12] 생체자기학의 대부분의 기본적인 측정은 RF SQUID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2. 3. 사용 재료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에는 전통적으로 순수한 니오븀 또는 10%의 금이나 인듐이 첨가된 납 합금이 초전도체로 사용된다. 순수한 납은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초전도성을 유지하려면 장치 전체를 절대 영도에 가깝게 유지해야 하며, 액체 헬륨으로 냉각한다.[13]

1980년대 후반에는 고온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고온 SQUID 센서가 개발되었다.[14] 주로 YBCO로 만들어지며, 액체 질소로 냉각된다.[15] 고온 SQUID는 기존 저온 SQUID보다 감도는 낮지만, 여러 응용 분야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15]

2006년에는 알루미늄 루프와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조셉슨 접합으로 제작된 CNT-SQUID 센서의 개념 증명이 발표되었다.[16] 이 센서는 크기가 수백 나노미터이며 1K 이하에서 작동하고, 스핀을 측정할 수 있다.[17]

2022년에는 마법각도 꼬인 이중층 그래핀(MATBG) 상에 SQUID가 제작되었다.[18][19]

3. SQUID의 종류

4. SQUID의 응용

SQUID는 매우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1990년경 초기 SQUID의 내부 구조


; 생체 자기 측정

SQUID의 매우 높은 감도는 생물학 연구에 이상적이다.[20] 예를 들어, 뇌자도(MEG)는 SQUID 어레이를 사용하여 뇌 내 뉴런 활동을 추론한다.[20] SQUID는 뇌에서 발생하는 가장 높은 시간 주파수(kHz)보다 훨씬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가진 MEG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응용 사례로는 위의 약한 자기장을 기록하는 위자기장검사가 있다. SQUID의 새로운 응용 분야는 경구 투여 약물의 경로를 추적하는 자기 마커 모니터링 방법이다. 임상 환경에서 SQUID는 심장의 자기장을 진단 및 위험 평가를 위해 감지하는 심장학의 자기장 영상(MFI)에 사용된다.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275채널 SQUID


; 재료 과학

SQUID의 가장 일반적인 상용 응용 분야는 자기 특성 측정 시스템(MPMS)이다. 이 시스템은 여러 제조업체에서 제작한 턴키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300 mK~400 K의 온도를 가진 재료 샘플의 자기적 특성을 측정한다.[20] 지난 10년 동안 SQUID 센서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이러한 센서는 원자간력 현미경(AFM) 프로브의 끝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샘플 표면의 거칠기와 국부 자기 플럭스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21]

; 핵자기 공명 (MRI)

SQUID는 자기 공명 영상(MRI)을 수행하는 검출기로 사용되고 있다. 고자장 MRI는 1~수 테슬라의 세차장을 사용하는 반면, SQUID 검출 MRI는 마이크로테슬라 범위에 있는 측정장을 사용한다. 기존 MRI 시스템에서 신호는 측정 주파수(및 따라서 세차장)의 제곱으로 비례한다. 그러나 사전 편극된 스핀의 조정되지 않은 SQUID 검출의 경우 NMR 신호 강도는 세차장과 무관하므로 지구 자기장 정도의 매우 약한 장에서 MRI 신호 검출이 가능합니다. SQUID 검출 MRI는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저렴한 비용과 소형화와 같은 고자장 MRI 시스템에 비해 장점이 있다. 이 원리는 인체 말단을 영상화하여 입증되었으며, 향후 응용 분야에는 종양 선별 검사가 포함될 수 있다.[22]

; 지질 탐사

초전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 탐사, 광물 탐사[23], 지진 예측 및 지열 에너지 탐사에서 SQUID의 사용이 점점 더 널리 보급되고 있다.

; 정밀 측정

SQUID는 중력파 검출과 같은 다양한 과학적 응용 분야에서 정밀한 움직임 센서로도 사용된다.[24] 중력탐사선 B에 사용된 네 개의 자이로스코프 각각의 센서에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한계를 시험하기 위해 SQUID가 사용되었다.[1] 변형된 RF SQUID는 동역학적 카시미르 효과를 최초로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25][26]

; 양자 컴퓨팅

초냉각된 니오븀 와이어 루프로 구성된 SQUID는 D-웨이브 시스템즈 2000Q 양자 컴퓨터의 기반으로 사용된다.[27]

4. 1. 생체 자기 측정

SQUID의 매우 높은 감도는 생물학 연구에 이상적이다. 예를 들어, 뇌자도(MEG)는 SQUID 어레이를 사용하여 뇌 내 뉴런 활동을 추정한다. SQUID는 뇌에서 발생하는 가장 높은 시간 주파수(kHz)보다 훨씬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가진 MEG를 만들 수 있다. 뇌자도는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뇌 기능 연구 및 질병 진단에 기여한다.

다른 응용 사례로는 위의 약한 자기장을 기록하는 위운동자기측정(Magnetogastrography)이 있다. 새로운 응용 사례로는 경구 투여 약물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자기 마커 모니터링(Magnetic marker monitoring)이 있다. 임상 현장에서는 심장 자기장을 감지하여 진단 및 위험층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심자도(MCG)등 자기장 영상법이 심혈관학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4. 2. 재료 과학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의 가장 일반적인 상용 응용 사례는 자기 특성 측정 장치(MPMS)이다. 여러 제조업체에서 기성품으로 제조하고 있으며, 시료의 자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00 mK에서 약 400 K의 온도 범위에서 사용된다. 최근에는 원자간력 현미경(AFM)의 프로브에 SQUID 센서를 장착하여, 표면 거칠기와 국소적 자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SQUID는 저자장 핵자기 공명 영상(Low Field MRI)용 자기 센서로 사용된다. 강자장 MRI는 수 테슬라의 세차 자기장을 인가하는 반면, SQUID MRI는 편극 자기장을 인가한 후 마이크로테슬라 영역의 자기장으로 측정한다. SQUID MRI는 강자장 MRI 시스템과 비교하여 비용 면과 소형화 면에서 유리하다. 이 원리는 인체 사지 영상에서 실증되었으며, 향후에는 종양 스크리닝에도 응용될 예정이다.

4. 3. 지질 탐사

SQUID는 초전도 기술의 발전을 통해 석유 시추 및 광맥 탐사, 지진 예지, 지열 에너지 탐사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중력파 검출과 같은 고정밀 운동 센서로도 활용된다.

4. 4. 정밀 측정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는 초전도 전이단센서(Transition-edge sensor)의 신호를 읽는데 사용되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연구, X선 천문학, 암흑 물질 탐색, 싱크로트론 광원을 이용한 분광학 등 다양한 과학 연구에 활용된다. 수십만 개의 다중화된 SQUID가 전이단센서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SQUID는 매우 높은 감도를 가지므로 생물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뇌자도(MEG)는 SQUID 어레이를 사용하여 뇌 내 뉴런 활동을 추정하는데, SQUID는 뇌에서 발생하는 높은 시간 주파수보다 훨씬 빠르게 측정할 수 있어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제공한다. 위운동자기측정(Magnetogastrography), 자기 마커 모니터링, 심혈관학 분야에서 자기장 영상법 등에도 응용된다.

SQUID의 가장 일반적인 상용 응용 사례는 자기 특성 측정 장치(MPMS)로, 시료의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원자간력 현미경(AFM)의 프로브에 SQUID 센서를 장착하여 표면 거칠기와 국소적 자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SQUID는 저자장 핵자기 공명 영상(Low Field MRI)용 자기 센서로도 사용된다. 강자장 MRI와 달리 SQUID MRI는 마이크로테슬라 영역의 자기장으로 측정하므로, 매우 약한 자기장 하에서도 MRI 신호 검출이 가능하다. 이는 비용 및 소형화 측면에서 유리하며, 인체 사지 영상 및 종양 스크리닝에 응용될 수 있다.

SQUID는 주사형 SQUID 현미경, 석유 시추 및 광맥 탐사, 지진 예지, 지열 에너지 탐사, 중력파 검출, 일반 상대성이론 검증(Gravity Probe B)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동적 카시미르 효과의 최초 관측에도 개량된 RF SQUID가 사용되었다.

4. 5. 의료 분야

SQUID는 생물학 연구, 특히 뇌자도(MEG)에 이상적인 도구이다. SQUID 어레이를 사용하여 뇌 내 뉴런 활동을 추정하는 뇌자도는 SQUID가 뇌에서 발생하는 높은 시간 주파수보다 훨씬 빠르게 측정할 수 있어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제공한다.[29] 위운동자기측정(Magnetogastrography)과 같이 약한 자기장을 기록하는 분야에도 활용된다. 경구 투여 약물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자기 마커 모니터링(Magnetic marker monitoring)이나, 심장 자기장을 감지하여 진단 및 위험층 분류를 수행하는 심혈관 분야의 자기장 영상법도 새로운 응용 사례이다.

초상자성 완화법(SPMR)은 SQUID 센서의 높은 자기장 감도와 자철광 나노입자의 초상자성을 이용하는 기술이다.[30][31] 외부 자기장이 제거된 후 나노입자가 강자성 상태에서 상자성 상태로 감쇠하는 시간 상수를 측정하여 나노입자를 탐지하고 위치를 파악하며, 암 검출 등에 응용될 수 있다.[32]

저자장 핵자기 공명 영상(Low Field MRI)용 자기 센서로도 SQUID가 사용된다. SQUID MRI는 마이크로테슬라 영역의 자기장으로 측정하여, 강자장 MRI 시스템에 비해 비용과 소형화 면에서 유리하다. 이 원리는 인체 사지 영상에서 실증되었으며, 향후 종양 스크리닝에도 응용될 수 있다.

4. 6. 양자 컴퓨팅

양자 컴퓨터 구현에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를 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SQUID는 양자 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큐비트(qubit)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Wave Systems에서 개발한 양자 컴퓨터가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

4. 7. 군사적 응용 (잠재적)

잠수함 사냥에서 자력 이상 탐지기(MAD)로 해상 초계기에 장착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29] 군사적으로는, 대잠전에서 대잠초계기용 자기 이상 탐지기(MAD)에의 응용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4. 8. 암흑 물질 탐색

암흑 물질의 주요 후보 중 하나인 축전자를 탐색하는 실험에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가 사용된다.[28] 워싱턴 대학교의 암흑물질 축전자 실험(ADMX)에는 근 양자 한계 SQUID 증폭기가 기반 기술로 활용된다.[28]

5. 한국에서의 SQUID 연구 및 활용

6. 미래 전망

참조

[1] 서적 Gravity Probe B: Exploring Einstein's Universe with Gyroscopes http://einstein.stan[...] NASA
[2] 논문 Highly sensitive and easy-to-use SQUID sensors https://web.archive.[...]
[3] 논문 Quantum Interference Effects in Josephson Tunneling
[4] 논문 Probable Observation of the Josephson Superconducting Tunneling Effect
[5] 웹사이트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Vol. III Ch. 21: The Schrödinger Equation in a Classical Context: A Seminar on Superconductivity, Section 21–9: The Josephson junction https://feynmanlectu[...] 2020-01-08
[6] 서적 Magnetism: Materials and Applications Springer
[7] 서적 The SQUID handbook Wiley-Vch
[8] 논문 Quantum-interference phenomena in point contacts between two superconductors
[9] 논문 Biomagnetic instrumentation
[10] 논문 Biomagnetism using SQUIDs: Status and perspectives
[11] 논문 Observation of a $cos\ensuremath{\varphi}$ term in the current-phase relation for "Dayem"-type weak link contained in an rf-biase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1975-09-01
[12] 논문 Theory of the RF biase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for the non-hysteretic regime
[13] 논문 SQUIDs https://www.jstor.or[...] 2022-08-18
[14] 논문 Radiofrequency SQUID operation usinga ceramic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15] 논문 Monolithic 77K DC SQUID magnetometer
[16] 논문 Carbon nanotube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17] 논문 The nanoSQUID makes its debut
[18] 논문 A tunable monolithic SQUID in twisted bilayer graphene https://www.nature.c[...] 2022-10-24
[19] 웹사이트 A new quantum component made from graphene https://ethz.ch/en/n[...] 2022-11-03
[20] 논문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s: State of the art and applications
[21] 웹사이트 Microscopie à microsquid - Institut NÉEL http://neel.cnrs.fr/[...]
[22] 서적 Nuclear Magnetic and Quadrupole Resonanc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ley-Vch # 추정값, harvnb 참조 필요
[23] 논문 GETMAG—A SQUID magnetic tensor gradiometer for mineral and oil exploration
[24] 서적 "Superconducting Transducer for Gravitational-Wave Detectors" in [volume 2 of] "The SQUID Handbook: Applications of SQUIDs and SQUID Systems" Wiley-Vch # 추정값, harvnb 참조 필요
[25] 잡지 First Observation of the Dynamical Casimir Effect http://www.technolog[...]
[26] 논문 Observation of the Dynamical Casimir Effect in a Superconducting Circuit
[27] 웹사이트 Not Magic Quantum http://www.lanl.gov/[...] 2016-07-01
[28] 논문 A Squid-Based Microwave Cavity Search For Axions By ADMX
[29] 간행물 SQUID Sensors Penetrate New Markets https://web.archive.[...] The Industrial Physicist
[30] 논문 A biomagnetic system for in vivo cancer imaging
[31] 논문 Magnetic relaxometry as applied to sensitive cancer detection and localization 2015-10-01
[32] 논문 Detection of breast cancer cells using targeted magnetic nanoparticles and ultra-sensitive magnetic field sensors 2011-01-01
[33] 문서 SQUID의 단열 및 공간 분해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