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경 설측 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경 설측 탄음은 폐장 기류를 사용하며,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이다. 혀 끝과 잇몸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치경음의 일종으로, 혀 옆으로 기류가 지나가는 설측음이자, 혀를 윗잇몸에 가볍게 쳐서 소리를 내는 탄음이다. 일본어, 카수아어, 와유어, 쿠리파코어, 일가르어, 이와이쟈어, 얄레어, 차가어 등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음 - 치경 탄음
    유성 치경 탄음은 혀끝을 치조에 튕겨 발음하는 자음으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탄음 - 무성 치경 탄음
    혀끝을 윗니 뒤쪽 잇몸에 튕겨 내는 소리인 무성 치경 탄음은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으로, 튀르키예어, 아이슬란드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영어의 "throw" 발음에서 'r' 소리와 유사하게 발음될 수 있다.
  • 설측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설측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 치경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치경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치경 설측 탄음
음성 정보
일반 정보
IPA 기호ɺ
10진수634
X-SAMPAl"
키르셴바움*
브라유 점자236
발음
조음 방법탄음
조음 위치치경음
발성유성음
조음 기제폐장기류음
소리의 종류설측음
예시
언어일본어
단어ハラール (harāru)
의미할랄
설명일부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ɾ/의 자유 변이음
기타 명칭
영어Voiced alveolar lateral flap
한국어유성 치경 설측 탄음

2. 특징


  • 기류 -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발음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
  • 조음 위치 -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쳐서 소리를 내는 치경음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기류가 혀 옆을 지나가는 측면음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순간적인 폐쇄 현상을 한 번만 만드는 탄음
  • ** 물렁입천장의 위치 - 물렁입천장을 들어서 비강의 통로를 막는 구강음
[1]

2. 1. 조음 방법


  • 기류의 발파 - 폐장 기류 기구에 의해 생기는 호흡.[1]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1]
  • 조음[1]
  • * 조음 위치 -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쳐서 소리를 내는 치경음.[1]
  • * 조음법[1]
  • ** 구강 내 기류 - 기류가 혀 옆을 지나가는 측면음.[1]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순간적인 폐쇄 현상을 한 번만 만드는 탄음.[1]
  • ** 물렁입천장의 위치 - 물렁입천장을 들어서 비강의 통로를 막는 구음.[1]

3. 사용되는 언어

치경 설측 탄음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자음이다. 일본어와 피다한어 등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

3. 1. 치경음

다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치경 설측 탄음에 대한 설명이다.

치경 설측 탄음이 나타나는 언어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일본어六(ろく)[ɺo̞kɯ̟ᵝ]여섯/ɾ/의 변이음. 일본어 음운론 참고.
일본어心(こころ)[ko̞ko̞ɺo̞]마음/ɾ/의 변이음. 일본어 음운론 참고.
카수아어hilila[hiɺiɺɑ]무거운단어의 처음이나 끝에는 오지 않음.
와유어püülükü[pɯːɺɯkɯ]돼지/r/과 대립.
쿠리파코어[ɺi.wa.'dzo.ɺe]치경 탄음과 교체.
일가르어(예시 필요)(의미 필요)/l, ɺ, ɭ, ɭ̆/와 대조.
이와이쟈어ayanjiɺin[1][ajanɟiɺin]연인/l, ɺ, ɭ, ɭ̆/와 대조. 아마도 /ʎ, ʎ̆/와도 대조.
얄레어Yaɺë[3][jaɺɛ]얄레[d]와 자유 변이.


3. 2. 치(경)음

언어IPA의미비고
차가어설단 치음[1]


3. 3. 기타

피다한어에서는 'toogixi' too'''g'''ixi|[tòːɺ͡ɺ̼ìʔì]myp (괭이)와 같이 특정한 종류의 발화에서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Mood and Character https://web.archive.[...] 2021-03-11
[2] 간행물 Organised Phonology Data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03-07
[3] 문서 Towards a grammar of the Yale language: taking another look at archived field data https://www.sil.org/[...] SIL International 2020
[4] 간행물 Organised Phonology Data http://www-01.sil.or[...] SIL International 20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